콘텐츠목차

문화 예술 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586
한자 文化藝術運動
영어의미역 Culture and Arts Movement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해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부산민족문화운동협의회 결성
부산민족문화운동협의회 - 부산광역시

[정의]

1980년대 이후 부산 지역에서 인간 정서 및 사회 구조에 변화의 분위기를 확산시키려고 전개한 문화 예술 활동.

[개설]

문화 예술 운동은 ‘한 사회가 요구하는 문제를 사람들의 집단적, 지속적, 계획적인 움직임으로 해결하고자 추구’하는 일련의 복합적인 문화 예술 활동이다. 문화 예술 운동은 상업적인 대중문화, 상류층과 지식 계층에 독점된 고급문화, 전통문화와 같은 기존 문화에 대한 대항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적 배경]

문화 예술 운동사의 단초를 여는 일들을 사건별로 짚어 보면, 1965년 5월 20일 한일 회담 반대 운동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던 ‘향토 의식 초혼굿: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 1970년 김지하의 시 「오적」 필화 사건, 1960년대 후반의 창작극 운동 및 마당극 운동과 197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각 대학의 탈춤 부흥 운동, 1974년 11월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결성, 1975년 5월 22일 서울대학교에서 있었던 김상진의 장례식 시위, 1980년 봄의 문화패 활동, 5·18 민주화 운동과 같은 정치적 사건이 벌어졌을 때 문화패가 선전 활동을 맡았던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역사적 배경으로 문화 예술 운동은 활동 분야를 확장하고, 전국의 대학가와 종교계 및 생산 현장으로 영역을 확산하였다. 동시에 양적인 팽창과 함께 재생산 구조를 확립하였으며, 단순한 문화 예술 활동에서 나아가 자신의 활동에 정치적 성격을 부여하게 되었다.

[경과]

기존의 문화 예술이 지닌 반(反)사회적인 요소에 대항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문화 예술 운동은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되었다. 1980년대 이후 문화 예술 운동은 지금까지 공연, 문학 중심의 문화 운동에서 노래와 미술, 여성 문화 운동 등의 새로운 장르가 가세함으로써 문화 예술 운동의 영역이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대폭 확산되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마당극[굿], 연극 등과 같은 공연 분야, 대중가요에 반하는 운동가요 중심의 노래 운동이 있으며, 이외에도 미술 운동, 출판 운동, 여성 문화 운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1984년 이들을 하나로 결집시키는 ‘민중문화운동협의회’가 탄생하였다.

1980년대 초부터 시작된 부산의 문화 예술 운동은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더욱 활발해졌다. 부산의 문화 예술 운동은 5·18 민주화 운동을 비롯하여 빈부 격차, 농촌 문제, 노동 문제, 분단과 반미 문제 등이 주된 내용을 이루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마당극[굿] 운동은 ‘극단 자갈치’, ‘놀이패 일터’, ‘극단 새벽’ 등 전문 연희 단체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의 현실에 해학과 풍자를 가미하여 관중들의 적극적인 현실 참여를 이끌었다.

노래야 나오너라’, ‘노래극단 통일의 노래 희망새’ 등 노래 운동 전문 단체는 각종 집회에서 대중의 집단 신명을 이끌어 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84년 ‘시민미술학교’를 토대로 시작된 미술 운동은 ‘그림패 낙동강’과 그 뒤를 이은 ‘부산미술운동연구소’를 중심으로 생활 속에 뿌리박은 민중 미술 운동을 이끌면서 분화 발전되어 나갔다. 여기에 사진과 풍물 및 영상 운동이 가세하였다.

그 결과 1989년 부산에서는 최초의 장르별 협의체인 ‘부산민족문화운동협의회’가 결성되는 결실을 맺었다. 이후 부산의 문화 예술 운동은 선전과 선동에 주로 의존했던 이전의 시위 분위기를 바꾸고, ‘민중 사실’을 토대로 ‘있음직한 민중 진실’의 전망을 드러냄으로써 민주화 운동의 한 부문을 형성하면서 한층 확산되어 나갔다.

[의의와 평가]

부산의 문화 예술 운동은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하여 민주화 운동에 대한 대중의 동의와 참여를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