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077 |
---|---|
한자 | 綜合病院 |
영어의미역 | General Hospital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송식 |
[정의]
부산광역시 일대에 있는 대형 의료 기관.
[개설]
종합 병원은 각종 의료 인력을 갖춘 대형 의료 기관을 말한다. 「의료법」[법률 제12069호, 2013. 8. 13] 제3조의 3에 의거,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거나, 100개 이상 300개 이하의 병상을 갖춘 경우에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 과목,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와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거나, 병상 30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둔 의료 기관을 의미한다.
[상급 종합 병원]
「의료법」 제3조의 4에 의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20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고, 전문의가 되려는 자를 수련시키는 기관이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인력·시설·장비 등을 갖추고, 질병군별 환자구성 비율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합 병원[대형 의료 기관]은 중증 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 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상급 종합 병원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급 종합 병원은 외국인 환자를 병원 내 병상 수 5% 이하까지만 유치할 수 있다.
[전국 종합 병원 현황]
전국의 의료 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 58개, 부산 27개, 대구 12개, 인천 15개, 광주 21개, 대전 8개, 울산 4개 등으로, 부산은 7대 광역시 중 두 번째로 종합 병원 수가 많았고, 전체 광역 자치 단체 중 서울, 경기[54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종합 병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이후 상급 종합 병원으로 선정된 종합 병원은 전국에 44개로, 부산 지역에는 7대 광역시 중 대구와 함께 두 번째로 많은 네 개의 상급 종합 병원이 있다. 전체 광역 자치 단체 중 서울[17개], 경기[5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상급 종합 병원이 있다. 경상남도 권역에는 5개의 상급 종합 병원이 있으며, 경상남도 진주시의 경상대학교병원을 제외한,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동아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등 네 개의 상급 종합 병원이 부산에 있다.
[부산의 종합 병원 현황]
2012년 12월 현재 부산의 종합 병원 현황을 살펴보면, 중구 1개소[메리놀병원], 서구 4개소[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동아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부산위생병원], 동구 3개소[일신기독병원, 김원묵기념봉생병원, 좋은문화병원], 영도구 2개소[해동병원, 영도병원], 부산진구 4개소[춘해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동의의료원, 온종합병원], 동래구 3개소[대동병원, 광혜병원, 동래봉생병원], 남구 1개소[부산성모병원], 북구 1개소[부민병원], 해운대구 1개소[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 금정구 1개소[왈레스기념침례병원], 연제구 1개소[부산광역시 의료원], 수영구 2개소[BHS한서병원, 좋은강안병원], 사상구 2개소[부산보훈병원, 좋은삼선병원], 기장군 1개소[동남권원자력의학원]까지 총 27개의 종합 병원이 있다.
종합 병원의 병상 수는 총 1만 2,725개이며, 16개 구·군 중 서구에 있는 종합 병원이 네 개[병상 수 3,454개]로 다른 구·군보다 압도적으로 병상 수가 많다. 다음으로는 종합 병원 네 개[병상 수 1,892개]가 있는 부산진구 지역이 두 번째로 병상 수가 많다. 한편 사하구와 강서구 지역에는 종합 병원이 한 곳도 없다.
국립 종합 병원은 서구의 부산대학교병원 한 곳이고, 부산광역시 시립 등 공립 종합 병원은 연제구의 부산광역시 의료원, 사상구의 부산보훈병원, 기장군의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의 세 곳이며, 나머지 23곳의 종합 병원은 민간 종합 병원이다. 또한 종합 병원 중 상급 종합 병원은 네 개이며, 의과 대학의 부속 병원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동아대학교병원, 동의의료원[한방], 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 등 6개이다.
[부산의 의료 관광과 종합 병원]
부산 지역의 종합 병원은 부산광역시가 역점을 두고 지원·시행하고 있는 의료 관광에도 참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의료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의료 관광 설명회, 의료 관광 관계자 초청 팸 투어, 민간 홍보단 해외 홍보, 국제 의료 관광 컨벤션 개최, 국제 행사 참여 외국인 건강 검진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통역 지원, 의료 관광 코디네이터 양성, MOU 체결, 우호 협정 체결 등을 통해 의료 관광을 추진하고 있다.
2012년 12월 현재 의료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료법」 제27조 2에 의거,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등록한 부산광역시에 있는 의료 기관은 229개소이다. 229개의 외국인 환자 유치 의료 기관에는 종합 병원 19개, 병원 26개, 성형외과 17개, 치과 57개, 산부인과 23개, 외과 7개, 한방 30개, 피부과 18개, 안과 9개, 건강 검진 3개, 가정의학과 5개가 포함되어 있다. 그 가운데 종합 병원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춘해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 온종합병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부산대학교병원, 부산광역시 의료원, 부산위생병원, 좋은문화병원, 좋은강안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동의의료원, 영도병원, 동아대학교병원, 김원묵기념봉생병원, 동래봉생병원, 좋은삼선병원, BHS한서병원, 왈레스기념침례병원이 선정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