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도병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020
한자 影島病院
영어공식명칭 Youngdo Hospital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5[대교동 2가 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향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료 기관|종합 병원
설립자 정준환
전화 051-412-8881
홈페이지 영도병원(http://www.ydh.co.kr)
설립 시기/일시 1981년 4월연표보기 - 부산영도외과의원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84년 9월연표보기 - 부산영도외과의원에서 영도병원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6월 - 종합 병원 승격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 24일 - 방문 간호 센터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9월 - 별관 증축, 척추·관절 센터 개소
최초 설립지 부산영도외과의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 2가 71지도보기
현 소재지 영도병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5[대교동 2가 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 2가에 있는 종합 의료 기관.

[개설]

종합 병원은 「의료법」 제3조 3항에 의하여,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대형 의료 기관이다. 300병상 이하인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 과목, 영상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설립 목적]

영도병원은 지역 사회에 대한 의료 봉사 제공을 목표로, 부산 시민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81년 4월 부산직할시 영도구 대교동 2가 71번지에 부산영도외과의원을 개원하였다. 1984년 9월 영도병원[5개 진료과]으로 개칭하였고, 1996년 6월 종합 병원[10개 진료과]으로 승격하였다. 2008년 6월 24일 방문 간호 센터를 개소하였으며, 2011년 9월 별관을 증축하고, 척추·관절 센터를 개소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영도병원은 내과[소화기, 신장, 순환기, 호흡기, 내분비대사], 신경내과,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가정의학과, 비뇨기과, 치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등을 두고 있다. 전문 센터로 인공 신장 센터, 전자 내시경 센터, 척추 관절 센터, 운동 재활 센터, 복강경 수술 센터, 종합·일반 건강 검진 센터 등을 두고 있으며, 하지 정맥류 클리닉, 통증 클리닉, 골다공증 클리닉, 당뇨 클리닉 등의 전문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영도병원은 연면적 1만 882.9㎡의 본관[지하 2층 지상 12층], 연면적 1,789.7㎡의 별관[지하 1층 지상 5층] 등 2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수 병상[응급실, 중환자실, 수술·회복실, 인공 신장실, 물리 치료실] 66개를 포함하여 314병상 규모를 갖추고 있다. 전문의·의사 등 의료진을 포함하여 총 274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골밀도 검사기, 내시경 자동 세척기, 내시경 장비, 동맥 경화 협착 검사기, 디지털 컬러 초음파 영상 진단기, 디지털 뇌파 분석 검사기, 디지털 방사선 투시 촬영 장치, 심전도 진단기, 유방 촬영기, C-ARM,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장치, 자동 시력 측정기, 체외 충격파 치료기, 호흡기 질환 폐기능 검사기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영도병원은 부산 시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장비와 기구를 첨단화하여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 영도병원(http://www.ydh.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