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004 |
---|---|
한자 | 大同病院 |
영어공식명칭 | DAEDONG HOSPITAL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87[명륜동 53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성향숙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종합 의료 기관.
[개설]
종합 병원은 「의료법」 제3조 3항에 의하여,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대형 의료 기관이다. 300병상 이하인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 과목, 영상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설립 목적]
대동병원은 대한민국 교육 이념에 입각하여 교육 연구 및 진료를 통해 의학 발전을 도모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하며, 지역 주민의 질병 퇴치 및 건강 증진, 주민 보건의 기여, 복지 사회 건설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45년 10월 1일 부산시 동래구 수안동에 대동의원으로 개원하였다. 1954년 10월 1일 대동외과병원으로 변경하였고, 1967년 3월 25일에 대동병원으로 개칭하였다. 1980년 2월 21일 종합 병원 인가를 받았고, 1984년 4월 28일 신축 병원 건립 공사를 시작하여 1986년 6월 14일 명륜동으로 이전하였다. 2010년 4월 8일 병원을 증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동병원은 내과[내분비내과, 신장내과,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소아청소년과, 피부과, 신경내과,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비뇨기과, 이비인후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재활의학과, 성형외과 등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전문 클리닉·센터로는 내시경 클리닉, 인공 신장실, 갑상선 레이저 클리닉, 혈관 외과 등 18개가 있으며 소아 언어 치료실, 소아 작업 치료실, 성인 물리 치료실 등의 재활 치료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농촌 의료 봉사, 지역 사회 복지 기관과의 결연, 불우 이웃 돕기, 지역 노인 대학 출장 강좌, 무료 건강 강좌, 당뇨 교실 개설, 환자를 위한 연주회 등의 활동도 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대동병원은 대지 면적 7,649㎡, 건물 연면적 2만 6306.2㎡의 지하 1층 지상 10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 시설은 170대[장애인 6대, 응급 4대 포함] 규모이며, 특수 병상[응급실, 분만실, 신생아실, 중환자실, 수술·회복실, 인공 신장실] 68개를 포함하여 523병상을 갖추고 있다. 전문의·의사 등 의료진을 포함하여 총 536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분야별 특수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시경실, 인공 신장실 등의 부속 기관과 인공 관절 센터, 척추 센터, 스포츠 의학 센터, 심혈관 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PACS 시스템, 다선출 나선형 CT, 1.5T MRI, PET-CT, 체외 충격파 쇄석실, 요역동 검사실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동병원은 지역 주민에게 가장 믿을 수 있는 이웃이 되고, 봉사를 통한 보람을 추구하며, 의료 서비스에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실력 있는 병원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부산 시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장비와 기구를 첨단화시키고 있으며, 전문 클리닉과 다양한 센터의 운영을 통하여 환자를 위한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