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911
한자 牧島公立普通學校
영어의미역 Mokdo Public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꿈나무길 41[신선동 1가 100]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초등 교육 기관|공립 보통학교
설립자 영도 유지
개교 시기/일시 1908년 8월연표보기 - 사립옥성학교로 설립
개교 시기/일시 1920년 4월 10일 - 재개교
개칭 시기/일시 1916년연표보기 - 사립옥성학교에서 사립옥성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0년 4월 10일연표보기 - 사립옥성보통학교에서 목도공립보통학교로 개칭[재개교]
개칭 시기/일시 1941년연표보기 - 목도공립보통학교에서 목도공립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5년 9월연표보기 - 목도공립국민학교에서 영도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영도국민학교에서 영도초등학교 개칭
최초 설립지 사립옥성학교 - 부산광역시 영도구 꿈나무길 41[신선동 1가 100]지도보기

[정의]

개항기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에 있었던 공립 교육 기관.

[변천]

1908년(순종 2) 8월에 사립옥성학교(私立玉成學校)로 설립되었으며, 1916년에 사립옥성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부산에서는 3·1 운동 뒤 민족적 자각이 크게 일어나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자녀들을 취학시키는 데 전에 없이 열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수업료가 30전으로 올랐으나 입학 지원자는 계속 늘어나 각지에서 학교 설립의 요구가 높아졌다.

1920년에 학교비령이 제정되어 한국인 학교는 한국인이 비용을 부담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이때 영도 주민들이 1,270원을 모아 부산부청에 납부하고 같은 해 4월 10일에 신축 교사가 마련되어 공립 학교로 전환하면서 목도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바꾸어 4학급 170명으로 개교하였다[여자는 18명 정도]. 1921년에 수업 연한을 6년 과정으로 연장하였으며, 1922년 3월 15일에 2층 건물의 본관을 신축, 낙성하였다. 보통학교가 학생 수용을 다 하지 못하자 각 보통학교에 속수(速修) 학교를 부설하게 되었는데, 1924년 4월 1일에 목도공립보통학교에도 속수 학교를 부설하였다. 이때 남자만 40명이 재학하였고, 1926년 3월 31일에 속수 학교를 폐지하였으며, 1941년에 목도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목도공립보통학교의 대표 중심인물은 다음과 같다. 교장은 신서위즉(伸西威則)[1920~1925], 중강수등(中江壽登)[1934]이며, 교직원은 훈도와 촉탁(囑託)으로 구분된다. 훈도는 강용성(姜鎔成)[부훈도, 1920~1924], 사천천하(砂川千賀)[1921~1923], 홍후봉(洪厚奉)[1923~1926], 김창엽(金昌燁)[1924~1925], 김쌍남(金雙南)[1925], 설과하(薛科廈)[1922~1923], 김영신(金永信)[1924~1925]이며, 촉탁은 이태우(李台羽)[1924~1925], 박중태(朴重泰)[1920~1921], 장덕률(張德律)[1921~1922], 백운옥(白雲玉)[1923~1924], 김현식(金玄植)[1924~1925]이다. 당시 학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1945년 9월에는 목도공립국민학교에서 영도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는 영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목도공립보통학교는 일제 강점기 영도 지역 최초의 공립 학교로, 조선인 아동의 초등 교육을 담당하였다. 영도 지역민의 교육열을 잘 알 수 있게 해 주는 자료가 되고 있다.

[현황]

목도공립보통학교는 2013년 현재 영도초등학교로 명맥을 이어 나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