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058 |
---|---|
한자 | 新仙洞一-二-三街 |
영어의미역 | Sinseon-dong |
이칭/별칭 | 신선동,신선동 1가,신선동 2가,신선동 3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진숙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0.94㎢ |
가구수 | 4,094가구 |
인구(남, 여) | 6,992명[남 3,468명|여 3,524명] |
개설 시기/일시 | 1944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에서 부산부 사중면 산수정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 부산부 사중면 산수정에서 부산부 사중면 신선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사중면 신선동에서 부산시 사중면 신선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사중면 신선동에서 부산시 영도출장소 신선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영도출장소 신선동에서 부산시 영도구 신선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영도구 신선동에서 부산직할시 영도구 신선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영도구 신선동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으로 개편 |
법정동 | 신선동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신선동(新仙洞)은 일제 강점기 부산항의 발달로 급격히 성장한 지역으로, 광복 이후 법정동인 신선동 1가, 신선동 2가, 신선동 3가로 분할되었다. 행정동인 신선동은 영선동 2가, 봉래동 4가와 함께 법정동인 신선동 1가, 신선동 2가, 신선동 3가를 관할한다.
[명칭 유래]
신선동은 봉래산 기슭의 신선(神仙)이 사는 선경(仙境)에 새로운 사람들이 모여들어 산다 하여 ‘새 신(新)’ 자를 써 신선동(新仙洞)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신선동은 봉래산의 고지대에 위치하여, 1934년 영도 대교가 개통되고 인구가 유입되기 전까지는 인가가 거의 없이 울창한 산림과 밭만 있던 지역이다. 이 지역은 1940년대 징용으로 부산항 하역 작업에 투입되었던 조선인 노동자들의 막사가 지어지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1944년 지역 인구가 늘어나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이 6개 정(町)으로 분할될 때 산수정(山手町) 1정목, 산수정 2정목, 산수정 3정목으로 독립된 동명을 지니게 된다.
1947년 일본식 동명을 개칭하며 신선동 1가, 신선동 2가, 신선동 3가가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편되고, 1951년 영도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57년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82년 법정동의 구역 조정으로 영선동 3가 일부가 신선동 3가로, 신선동 1가 일부가 영선동 1가로, 신선동 2가 일부가 영선동 2가로 편입되고, 1984년에는 신선동 3가 일부가 영선동 4가로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북서쪽으로는 영선동, 북쪽과 동쪽은 봉래동 및 청학동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봉래산 정상부를 기준으로 동삼동과 접하고 있다. 봉래산의 북서쪽에 위치하여 영도구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접하지 않은 법정동이다. 동의 남쪽에 봉래산의 조봉과 자봉이 자리 잡고 있다.
[현황]
2024년 11월 현재 행정동인 신선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94㎢이며, 인구는 4,094가구에 총 6,992명으로 남자가 3,468명, 여자가 3,524명이다. 신선동의 주거지는 산기슭을 따라 밀집되어 있는데, 해방 후 귀환 동포와 6·25 전쟁으로 유입된 피난민들에 의해 무허가 판자촌이 형성되어 부산의 대표적인 영세민거주 지역이 되었다. 이에 주거 환경을 개선하려고 1961년 산복 도로 개통과 1967년 중복 도로 개설로 버스 노선이 개통되고, 1976년 불량 주택 정비 사업을 시작으로 주택 계량 사업이 진행되어 주거 환경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도 일부 불량주택들이 남아 있다. 또한 이 지역은 봉래산의 정상부와 가까운 지역적 특성 때문에 영도의 수호신을 모시는 산제당·하씨당이 있어 봄·가을로 마을의 안녕을 비는 제가 행해지며, 영도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인 복천사(福泉寺)를 비롯해 영광사·대흥사·영화사·호국관음사·극락암·다보사·대법사·대불사 등 종교 시설이 많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4.30 | 전자문서 민원(2025.04.01.) 수정 요청 | [가구수], [인구(남, 여)], [현황] 현행화 |
2024.07.11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5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1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신선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94㎢이며, 인구는 4,930가구에 총 9,135명으로 남자가 4,576명, 여자가 4,559명이다 |
2020.05.25 | 현행화 | [현황] - 빨강색 부분을 수정(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신선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0.94㎢이며, 인구는 5,036가구에 총 9,649명으로 남자가 4,840명, 여자가 4,809명이다. |
2019.04.29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