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908
한자 特殊學校
영어의미역 Specialized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수 학교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 지역에서 신체·지능에 장애가 있는 아동에게 특수 교육을 행하는 학교.

[개설]

특수 학교는 일반 교육 현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지체부자유아·맹아·농아 등 장애 학생들의 장애 상황과 능력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고자 설립된 학교이다. 맹아 학교, 농아 학교 등의 특수 학교는 다양한 국가 수준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장애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특수 교육의 한 축으로써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의 특수 학교 설립은 1953년 국립서울맹학교의 부산 분교인 부산맹아학교에서 시작되어, 맹·농교육으로부터 정신 지체, 지체 장애, 정서 장애 영역으로 확산되어 현재 13개 특수 학교가 부산에 설치되어 있다. 2012년 현재 공립 6개 학교, 사립 7개 학교가 있어 공립 학교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 또한 특수 학교 운영 형태도 영아부터 전공과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2013년 개교 예정인 부산해마루학교는 중·고등학교 직업 전문 특수 학교로 개교할 예정이다.

[장애 교육별 특수 학교 변천]

특수 학교 교육 과정은 1967년 4월 15일 시각 장애 및 청각 장애 영역의 1차 교육 과정 공포[문교부령 제 181호]로 시작하여, 1983년 12월 31일 제 5차 교육 과정에 이르러 시각·청각·정신 지체·지체 부자유의 4개 장애 영역에 대한 초·중·고등부별 교육 과정이 획기적으로 개정 고시되었다. 부산의 특수 학교도 시각 장애 및 청각 장애 영역에서부터 시작되어 정신 지체, 지체 부자유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1. 시각 장애 교육

부산의 시각 장애 교육은 1950년부터 시작되었다. 6·25 전쟁으로 서울맹학교가 피난을 와서 1951년 9월 1일 부산시 대신동 가교사에서 수업을 개시하며 시작되었다. 이후 1953년에 서울로 환교하며 분교인 부산맹아학교로 남아 시각 장애 교육이 시작되었다. 혜성구화학교가 1978년 2월 15일 부산직할시로 편입되며 맹아 교육 시설이 늘어났으나, 1995년 부산혜원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정신 지체와 정서 장애아 교육 담당으로 변경하여 현재는 부산맹학교만이 시각 장애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2. 청각 장애 교육

1950년 6·25 전쟁으로 부산으로 피난 왔던 서울맹학교가 1953년 환교하며 남긴 분교인 부산맹아학교에서 농아 교육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후 1974년 12월 26일 맹·농 분리가 인가되어 부산맹학교가 신설되고, 부산맹아학교는 부산농아학교로 개칭하게 되었다. 사립 교육 기관으로는 1966년 부산시 서구 남부민동에 부산구화학원이 설립되었고, 1970년에 부산구화학교로 재인가를 받았다. 부산농아학교는 1992년 부산배화학교로 개칭하였고, 현재는 청각 장애 및 정신 지체와 발달 장애 교육을 함께 하고 있다. 또한 사립 교육 기관인 부산구화학교도 1970년대부터 정신 지체 교육을 겸하고 있다.

3. 지체 부자유 교육

지체 부자유 교육은 1974년 부산혜성학교가 정신 지체와 지체 부자유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를 개교하며 시행되었다. 현재는 부산혜남학교, 부산구화학교, 부산솔빛학교, 부산천사의학교, 부산혜송학교, 부산동암학교, 부산두레학교, 부산은애학교, 부산혜원학교, 부산성우학교 등에서 지체 부자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신 지체 및 지체 부자유 영역에 대해서는 교육 시설과 영아부터 고등부까지 교육 대상의 지속적 증가가 나타난다.

[부산 특수 학교 현황]

부산 특수 학교는 1953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공립 특수 학교 6개교와 사립 특수 학교 7개교가 설립되어 운영 중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정신 지체·지체 부자유·발달 장애 영역 교육이 강화되었으며, 교육 대상도 초등·중등·고등부로 확대되고, 최근에는 영·유아로 확대되며 조기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부산의 특수 학교 현황은 아래와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은 공립 학교 중심의 특수 학교가 설립되어 있으며, 시각·청각·지체 부자유 교육 등 다양한 장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장애인들의 통합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분리된 환경 하에서의 특수 교육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으며, 또한 중복·중증화된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보육적인 측면에 더 치중한다는 비판도 듣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특수 학교 체제는 통합 교육과 특수 교육에 더욱 치중할 수 있도록 지역 사회와 연계된 특수 학교 운영과 특수 교육 센터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부산 지역은 전국 최초로 부산특수교육지원센터를 개소하여 특수 학교의 교육 여건을 현실화 하는 등 장애 학생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 교육사』(부산광역시 교육청, 1998)
  • 『특수 교육 백서』(교육부, 1993)
  • 부산광역시 교육청(http://www.pen.go.kr)
  • 부산혜남학교 (http://hyenam.sc.kr/)
  • 부산혜성학교 (http://hyeseong-s.sc.kr/)
  • 부산구화학교 (http://pskuhaw.sc.kr/)
  • 부산맹학교 (http://busanmaeng.sc.kr/)
  • 부산솔빛학교 (http://solvit.sc.kr/)
  • 부산천사의학교 (http://cheonsa.sc.kr/)
  • 부산혜송학교 (http://hyesong-s.sc.kr/)
  • 부산배화학교 (http://baehwa.sc.kr/)
  • 부산동암학교 (http://dongam.sc.kr/)
  • 부산두레학교 (http://doorhe.com/)
  • 부산은애학교 (http://eunae.sc.kr/)
  • 부산혜원학교 (http://hyewon-s.sc.kr/)
  • 부산성우학교 (http://sungwoo.sc.kr/)
  • 『부산 교육사』(부산직할시 교육위원회, 1987)
  • 『부산 교육사』(부산광역시 교육청, 2008)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