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417
한자 釜山惠星學校
영어의미역 Busan Hyeseang Specai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166번길 10-19[대연동 1573-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특수 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637-6211
홈페이지 부산혜성학교(http://hyeseong-s.sc.kr)
인가 시기/일시 1974년 1월 15일 - 부산혜성학교로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74년 5월 8일연표보기 - 부산혜성학교로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5월 12일 - 한·독·일 정신 지체아 미술 작품 교환전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11월 17일 - 전국 특수 학교 직업 보도 경진 대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10월 24일 - 전국 특수 학교 학생 실기 대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 - 특수 교육 연구 학교 운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0월 20일 - 전국 장애 학생 직업 기능 발표 대회 개최 주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9월 1일 - 교원 능력 개발 평가 선도 학교 운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2월 10일 - 바른 인성 교육 실천 사례 전국 대회 우수상 독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2월 26일 - 장애 학교 진로 직업 우수 학교 수상
최초 설립지 부산혜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 166번길 10-19[대연동 1573-8]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혜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 166번길 10-19[대연동 1573-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특수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능력과 적성을 계발하여 사회생활에 조화롭게 적응하는 사람을 기른다’이다.

[변천]

1974년 1월 15일에 부산혜성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5월 8일에 정신 지체 초등부 입학으로 개교하였다. 1976년 3월 8일에 지체 부자유 초등부가 입학하였고, 1977년 3월 1일에 정신 지체 및 지체 부자유 중학부가 개설되었다. 1980년 3월 1일에는 정신 지체 및 지체 부자유 고등부가 개설되었으며, 1989년 3월 1일에 정신 지체 유치부를 개설하였다. 같은 해 3월 2일에 지체 부자유부를 ‘부산혜남학교’로 분리하였다. 2008년 3월 1일에 부산전환교육지원센터를 개소하였다. 2011년 11월 17일에 학교 기업 꿈이룸관을 개관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초등부는 제37회, 중학부는 제34회, 고등부는 제31회, 전공과는 제16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혜성학교는 학생의 사회 적응력을 신장시켜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하여 통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며 학생의 소질, 적성 계발 및 취미와 특기 신장을 위하여 방과 후 학교 및 방학 중 특기 적성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졸업 후 직업 재활을 위해 전공과 및 학교 기업 ‘꿈이룸’에서 직업 훈련을 실시하고, 원예·도예·비누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1981년 5월 12일에 한·독·일 정신 지체아 미술 작품 교환전을 개최하였고, 같은 해 11월 17일에 전국 특수 학교 직업 보도 경진 대회를 개최하였다. 1986년 10월 24일에 전국 특수 학교 학생 실기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에는 교육부 지정 특수 교육 연구 학교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2005년 10월 20일에 전국 장애 학생 직업 기능 발표 대회 개최를 주관하였고, 2009년 9월 1일에 교원 능력 개발 평가 선도 학교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4월 21일에 특수 학교 기업형 직업 훈련실 설치교로 선정되었다. 2011년 2월 10일에 바른 인성 교육 실천 사례 전국 대회에서 우수상 독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26일에 장애 학교 진로 직업 우수 학교를 수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하재우/작곡 송태옥]

산이 반겨 우리를 감싸 주고/ 바다가 출렁이며 우리를 부른다/ 우리는 산도 넘고 바다도 건너/ 힘찬 내일을 창조하리라/ 들이 반겨 우리를 감싸 주고/ 산새들 노래하며 우리를 부른다/ 우리는 산새들과 노래 부르며/ 힘차게 뻗어 나갈 부산혜성.

2. 교표: 전체 모양은 어미 새가 어린 새를 감싸는 모양으로 원형에 양쪽으로 머리와 꼬리를 형상화하였다. 좌측이 머리, 우측이 꼬리의 형태이다. 좌우의 머리와 꼬리를 3색, 3선으로 표시한 것은 장애아의 안정 상태 육성이 어느 한 사람의 노력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교사[학교], 부모[가정], 이웃[사회·국가]이 삼위일체로 뜻을 함께해야 함을 뜻한다. 중앙에는 역삼각형과 삼각형을 겹쳐 그렸는데, 중앙의 역삼각형은 장애아들의 불안정한 상태를 도식화한 것이며, 그 위의 정삼각형은 불안정한 장애아를 교육하고 사랑으로 이끌어 자활인으로 육성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3. 교목: 향나무이다. 어려운 조건에서도 항상 고유한 향기를 뿜어내는 향나무처럼 어떤 환경 속에서도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고유한 개성을 살려 나가는 학생을 상징한다.

4. 교화: 영산홍이다. 곱고 다양한 아름다움을 피워 내며 추위에 강한 영산홍처럼 역경을 이겨 내고 꿈과 희망을 아름답게 피워 내는 학생을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40학급에 241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초등부는 9학급에 43명, 중학부는 14학급에 75명, 고등부는 13학급에 93명, 전공과는 4학급에 30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2명, 교사 70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69명으로 총 142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3634㎡이며, 부속 토지 면적은 3만 7669㎡이다. 본관 건물은 초등부·중등부·고등부 교육 시설로, 별관 건물은 전공과 교육 시설 및 학교 기업 꿈이룸관 시설로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혜성학교(http://hyeseong-s.s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