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77
한자 釜山培花學校
영어의미역 Busan Baehwa School for the Deaf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연수로310번길 73[망미동 78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특수 학교
설립자 문교부
전화 051-760-2500
홈페이지 부산배화학교(http://baehwa.sc.kr)
인가 시기/일시 1955년 9월 19일 - 부산맹아학교로 문교부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53년 9월 5일연표보기 - 서울맹아학교 부산분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77년 2월 28일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산 35번지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0년 3월 31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서 부산광역시 수영구 연수로 310번길 73[망미동 787번지]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75년 3월1일연표보기 - 부산맹아학교에서 부산농아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2년 9월 16일연표보기 - 부산농아학교에서 부산배화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서울맹아학교 부산 분교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산 35
주소 변경 이력 부산농아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농아학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연수로 310번길 73[망미동 787]
현 소재지 부산배화학교 - 부산광역시 수영구 연수로 310번길 73[망미동 78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에 있는 공립 특수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능력과 소질을 계발하여 사회생활에 슬기롭게 적응하는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힘써 말 배워 스스로의 힘으로 바르게 살자’이다.

[변천]

1953년 9월 5일에 서구 남부민동 산35번지에서 서울맹아학교 부산분교로 개교하였다. 1955년 9월 19일에 공립 부산맹아학교로 문교부 인가를 받았으며, 1957년 3월 25일에 초등부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같은 해 4월 20일에 중학부 인가를 받았으며, 1963년 1월 1일에 경상남도립에서 부산직할시립으로 전환하였다. 1974년 12월 26일에 부산맹학교와 부산농아학교로 분리되고 고등부 인가를 받아, 1975년 3월 1일에 부산농아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7년 2월 28일에 중구 중앙동의 구 대창국민학교로 교사 이전을 하였고, 1980년 3월 31일에 수영구 망미동의 현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1983년 10월 4일에는 유치부 인가를 받았으며, 1992년 9월 16일에 부산배화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8년에 특수 학교 교육 과정 개정에 따라 특수 학교 내 학교 급별 명칭을 ‘유치부, 초등부, 중학부, 고등부’에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명명하게 되었다. 2012년 3월 1일에 제15대 권숙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8일에 초등학교 제57회, 중학교 제54회, 고등학교 제36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배화학교의 교육 중점은 ‘소통하고 공감하는 사람[정서인], 열심히 학습하는 사람[학습인], 스스로 찾아서 하는 사람[자주인], 건강하고 따뜻한 사람[건강인], 생활을 바르게 하는 사람[생활인],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창조인]’을 기르는 것이다. ‘미래를 열어 가는 희망찬 학교’를 만들기 위해 ‘배우고 실천하여 자립하는 학생, 사랑과 열정으로 가르치는 전문성 높은 교사, 믿음과 협력으로 함께하는 신뢰 깊은 학부모, 꿈을 이루는 희망찬 학교’를 이루고자 한다. 학교 특색 교육으로 ‘스스로 만들어 가는 학습 플래너로 꿈과 실력 키우기’, ‘올바른 품성과 태도를 기르는 창의·인성 교육’,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몸 튼튼, 키 쑥쑥 즐거운 체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청각 장애 학생 맞춤형 학교 교육 과정을 편성·운영함으로써 개별화 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있다.

교육 과정 운영 중점으로는 기초 교과 특성화 운영을 위한 맞춤형 워크북 활용, 맞춤 독서 지도를 통한 언어 능력 신장, 한국 수화를 통한 국어 능력 신장과 창의적 체험 활동 특성화 운영을 위해서는 ‘내가 주인공이 되는 자율 활동, 지·덕·체를 기르는 동아리 활동, 협력으로 선(善)을 이루는 봉사 활동, 나의 꿈을 가꾸는 진로 활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진로·직업 교육 특성화를 위해서는 ‘소통을 향한 영상 미디어 프로그램 운영, 사업체 연계 ‘열림’ 취업 프로그램 운영, ‘징검다리’ 대학 진학 프로그램 운영, 선배와 만남 ‘나의 꿈 멘토링’ 운영’을 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특기 적성을 기르기 위해 방과 후 학교와 토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방재/작곡 김대근]

아늑한 보금자리 금련산 아래/ 소리 찾는 건아들이 함께 손잡고/ 말 배우는 보람 속에 갈고닦아서/ 자랑스런 우리 학교 길이 빛내세.

2. 교표: 둥근 원 안에 월계수관이 그려져 있고, 월계수 관 안에는 청진기를 안고 있는 비둘기가 그려져 있으며, 중안에 ‘N’이 표시되어 있다. 중앙의 ‘N’은 흔히 번개들을 표시하듯, 전원(電源), 전자, 에너지원을 나타낸다. 보청기를 안고 있는 비둘기는 평화를 상징하는 동시에 전서구(傳書鳩)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둘레의 잎 묶음은 보청기를 활용한 청능의 자신감과 전서구가 상징하는 ‘글[書]’이 화합한 전인 교육의 희망을 나타낸다.

3. 교목: 향나무이다. 언제나 푸른빛을 잃지 않고 남을 위해 희생하며, 어떠한 역경에도 굴함이 없는 향나무의 기상처럼 부산배화학교 학생들이 모든 어려움을 이기며 늘 푸른 꿈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을 갖고 있다.

4. 교화: 장미이다. 장미가 긴 겨울을 이겨 내고 아름답고 탐스럽게 꽃피듯이 모든 부산배화학교 학생들이 꿈을 위하여 젊음을 불태우고 삶을 아름답게 가꾸어 감을 의미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3학급에 9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유치원은 7학급에 30명, 초등학교는 8학급에 29명, 중학교는 4학급에 13명, 고등학교는 4학급에 23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5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4명으로 총 71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2756㎡로, 이 중 교사 대지 면적이 3,210㎡, 체육장 면적이 8,250㎡, 부속 토지 면적이 1,296㎡이다. 과학 준비실, 감각 운동실, 학부모 대기실, 배화 역사실, 컴퓨터실, 방송 정보실, 특수 교육 지원 센터, 놀이실, 체력 단련실, 가사실, 초등 연구실, 청력 검사실, 치료 교육실, 언어 치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배화학교(http://baehwa.s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