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980 |
---|---|
한자 | 望美洞 |
영어의미역 | Mangmi-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망미동(望美洞)이란 이름은 배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배산은 척산(尺山) 또는 배산(盃山)이라고 불렸는데, 이 지역에서는 배미산(盃美山) 또는 잘미산이라고도 한다. 수영동과 망미동 사이에 있는 산을 망산(望山)이라고 한다. 망미동은 망산의 ‘망’과 배미산의 ‘미’ 자를 합성하여 붙인 지명으로 보인다. 한편 일설에는 좌수영성의 북문 밖에 위치하여 이곳에서 좌수영의 수사(水使)가 초하루와 보름에 망배(望拜)[멀리서 임금이 있는 쪽을 향하여 절한다는 의미]를 올렸다고 하여 임금을 사모한다는 의미의 망미인(望美人)에서 유래된 지명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망미동 지역에 언제부터 사람이 거주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신라 시대의 토성이 있었다고 전하며, 1021년(현종 12) 동래군의 군 치소를 지금의 수영에서 동래읍으로 옮겼다고 전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이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남촌면 상단(上端) 숭정리로 나타나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남상면(南上面) 구락동(求樂洞)으로 나타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남면 수영리가 되었으며,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 수영리가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으며, 1957년 구제 실시로 동래구 수영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다. 1975년 남구 수영동이 되었다. 1979년 수영동에서 망미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2년 법정동 명칭 변경 및 경계 조정으로 망미동 일부가 수영동에 편입되고, 행정동 조정도 함께 이루어져 망미동이 망미 1동과 망미 2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이 되었다. 1999년 해운대구 재송 1동 일부가 수영동과 망미 2동에 편입되고, 2004년에는 동래구 안락 2동 일부를 수영구 망미 2동에 편입하는 행정 구역 경계 조정이 이루어졌다.
[자연 환경]
망미동은 동쪽으로는 수영강을 경계로 해운대구 재송동·우동, 서쪽과 북쪽은 연제구 연산동, 남쪽은 수영구 수영동·광안동과 접한다. 북서쪽으로 배산과 접하고 남서쪽으로는 금련산과 접한다. 북쪽에서부터 굽어져 흐르는 수영강이 망미동의 동쪽으로 흘러 남해로 유입한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65㎢이며, 인구는 1만 7,165가구에 총 3만 6,635명으로 남자가 1만 7,523명, 여자가 1만 9,112명이다. 북쪽 배산과 남쪽 금련산 사이로 연수로와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이 통과하며, 도시 철도 망미역이 있다. 망미역은 과정로·연수로·망미 번영로가 교차하는 망미역 사거리에 위치한다.
금련산과 배산에 둘러싸인 쾌적한 주거 환경을 갖추어 전형적인 주택 밀집 지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정과정 유적지가 있다. 수영강에는 수영 3호교와 수영 4호교가 개통되어 북동쪽의 해운대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자연 마을로 무억 마을, 북문외리 마을, 새앙골 마을, 구락리 마을, 옥성골 마을, 조치막 마을이 있었으며, 행정동은 망미 1동과 망미 2동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1.10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0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65㎢이며, 인구는 1만 7,478가구에 총 3만 9,605명으로 남자가 1만 9,090명, 여자가 2만 515명이다 |
2020.06.01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65㎢이며, 인구는 1만 7,406가구에 총 4만 698명으로 남자가 1만 9,698명, 여자가 2만 1,000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