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990
한자 水營區
영어의미역 Suyeong-g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홍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면적 10.22㎢
인구(남, 여) 176,812명[남 83,375명|여 93,437명]
개설 시기/일시 1995년 - 남구의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이 수영구로 분구되며 부산광역시 수영구가 됨
변천 시기/일시 1999년 - 해운대구 재송 1동 일부가 수영구 수영동과 망미 2동에, 남구 대연제 3동 일부가 남천 1동에, 남천 1동 일부가 남구 대연제 3동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2004년 - 동래구 안락 2동 일부를 수영구 망미 2동에 편입
행정 구역 수영구 - 부산광역시 수영구

[정의]

부산광역시에 속하는 자치구.

[명칭 유래]

조선 시대 동해 쪽 해상 방어를 담당하였던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수군절도사영의 수(水)와 영(營)을 따서 ‘수영’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수영구 지역은 삼한 시대 변한에 속하였으며, 6가야 이후 금관가야 거칠산국동평현에 속하였다가 삼국 시대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양주군에 편입되었고, 조선 전기 동래진에 소속되었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동면남촌면 상단(上端)[숭정리·동부리·서부리·북문외리·남문외리·축산리·감포리·칠포리]과 하단(下端)[남천리]에 속하였으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남상면(南上面)[구락동·북외동·남외동·서일동·서이동·서삼동·동일동·동이동·동삼동·감포동·덕민동·평민동·호암동·남천동]에 속하였다.

『구 한국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一覽)』[1912]에서는 남면(南面)[북외동·남외동·서일동·서이동·서삼동·동일동·동이동·동삼동·감포동·덕민동·평민동·호암동·남천동]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용주면[남천리 일대]과 남면[현재의 수영구 일대]으로 분할되었다. 1936년[부산부 출장소 설치 직전의 행정 구역]에는 남면[남수동·광안동·남천동·망미동·민락동]에 속하였다.

1942년 동래군의 수영과 해운대 일부가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수영출장소가 설치되며 남천동·수영동·광안동·민락동 등을 관할하였다. 1949년 부산부가 폐지되고 부산시가 되었다. 1953년 부산진출장소에서 분리되어 남천동은 대연출장소 관할이 되고, 수영동·광안동·민락동은 수영출장소[우동, 중동, 좌동 관할의 해운대출장소를 설치해 분리] 관할이 되었다가, 1957년 구제 실시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와 동래구 수영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73년 부산진구 대연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으며, 1975년 대연출장소 및 수영출장소가 폐지되며 남구가 신설되었다. 1979년 수영동수영동망미동으로 분동되며 광안동 일부가 망미동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망미동에 접한 재송동 일부가 남구에 편입되고, 1982년 법정동 명칭 변경 및 경계 조정으로 남천동광안동 일부는 대연동에 편입, 망미동 일부는 수영동에 편입되었다. 이때 행정동 조정도 함께 이루어져 망미동망미 1동망미 2동으로, 광안 2동광안 2동광안 4동으로 분동되었다.

1983년 남천동이 남천 1동과 남천 2동으로 분동되고, 1987년에는 동래구 연산동 일부가 남구로 편입되는 동시에 망미동 일부가 연산동에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고, 법정동 경계 조정으로 민락동 일부가 수영동에 편입되었으며, 남구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수영구로 분구되었다. 1999년 해운대구 재송 1동 일부가 수영동망미 2동에, 남구 대연 3동 일부가 남천 1동에, 남천 1동 일부는 남구 대연 3동에 편입되는 행정 구역 경계 조정이 이루어졌다. 2004년 행정 구역 경계 조정으로 동래구 안락 2동 일부를 수영구 망미 2동에 편입하여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수영구는 동쪽으로는 해운대구, 북쪽으로는 동래구, 서쪽으로는 연제구남구 등 4개의 자치구와 접한다. 구의 북서쪽으로 배산이 자리하고, 서쪽으로 금련산 줄기가 이어진다. 북쪽으로 수영강이 흘러 남해로 유입하며, 동쪽은 남해와 접한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0.22㎢이며, 인구는 8만 8,299가구에 총 17만 6,486명으로 남자가 8만 2,787명, 여자가 9만 3,699명이다. 부산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이 지나며, 부산 제1 도시 고속 도로인 번영로가 구를 통과하고 있고 수영 교차로를 중심으로 도심과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이 잘 발달되어 있다. 또한 수영만과 접하여 바다를 경계로 광안리 해수욕장, 민락 회 센터, 민락 수변 공원이 있으며, KBS 부산방송총국, MBC 부산문화방송, 금련산 청소년 수련원이 있다.

「수영 야류」 등 유형 문화재와 무형 문화재가 산재한 문화의 중심지이자, 광안리 앞바다를 가로지르는 광안 대교와 이 주변에서 열리는 불꽃 축제 등 풍성한 행사를 겸비하고 있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또한 임진왜란 때 조국을 위해 몸 바친 25인의 의로운 넋을 기리기 위한 ‘25의용단’에서 위패를 보시고 있으며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향사를 봉행하여 그들의 충절을 기리고 있다. 수영구의 상징물로 구화는 함박꽃, 구목은 곰솔, 구조는 동박새이다. 관내에 법정동으로 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09.23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25 현행화 [상세정보], [현황] 면적, 가구수,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10.21㎢이며, 인구는 8만 4,311가구에 총 17만 8,589명으로 남자가 8만 4,332명, 여자가 9만 4,257명이다
2020.05.28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10.21㎢이며, 인구는 8만 1,452가구에 총 17만 7,897명으로 남자가 8만 4,349명, 여자가 9만 3,548명이다
2019.05.02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