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991 |
---|---|
한자 | 水營洞 |
영어의미역 | Suyeo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홍섭 |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조선 시대 동해 쪽 해상 방어를 담당하던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수군절도사영의 수(水)와 영(營)을 따서 ‘수영(水營)’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수영동(水營洞) 지역에 언제부터 사람이 거주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1021년(현종 12)에 동래군의 군 치소를 지금의 수영에서 동래읍으로 옮겼다고 전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1652년(효종 3)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옮겨 와 좌수영성이 건립되었다. 이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남촌면 상단(上端) 동부리·서부리·북문외리·남문외리로 기록되어 좌수영성과 관련된 동명을 확인할 수 있다. 1895년(고종 32) 경상 좌수영이 폐지되었으나, 성지와 건축물 등의 일부 유적과 지명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남상면(南上面) 남외동·서일동·서이동·서삼동·동일동·동이동·동삼동에 속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남면 수영리가 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 수영리가 되었고,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였다. 1957년 구제 실시로 동래구 수영출장소 관할이 되었고,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75년 남구 수영동이 되었다. 1979년 수영동의 일부가 망미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2년 법정동 명칭 변경 및 경계 조정으로 망미동 일부가 수영동에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고, 법정동 경계 조정으로 민락동 일부가 수영동에 편입되었으며, 남구에서 수영구가 분구되어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이 되었다.
[자연 환경]
수영동 동쪽은 수영강을 경계로 해운대구 재송동과 접하고, 북쪽은 망미동, 서쪽은 광안동, 남쪽은 민락동과 접해 있다. 서쪽에 금련산이 자리한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0.72㎢이며, 인구는 7,839가구에 총 1만 4,180명으로 남자가 6,740명, 여자가 7,440명이다. 관내 중앙에 연수로와 수영로가 교차하는 수영 교차로가 자리한다. 또한 연수로를 따라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이 지나고, 수영로를 따라 도시 철도 2호선의 환승역인 수영역이 자리한 교통 요지이다. 수영 교차로 북쪽으로 수영 팔도 시장과 수영 사적 공원이 있다. 수영 사적 공원은 좌수영성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8호]에 조성되어 수영성 남문[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과 25의용단[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2호], 곰솔[천연기념물 제270호], 푸조나무[천연기념물 제311호]가 있으며, 무형 문화재인 「수영 야류」[중요무형문화재 제43호], 「좌수영 어방놀이」[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수영 농청놀이」[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가 전한다. 자연 마을로 남수 마을과 보리진 마을이 있었으며,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5.01.10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5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0.72㎢이며, 인구는 7,872가구에 총 1만 5,076명으로 남자가 7,218명, 여자가 7,858명이다 |
2020.06.01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0.72㎢이며, 인구는 7,773가구에 총 1만 5,366명으로 남자가 7,376명, 여자가 7,990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