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747 |
---|---|
한자 | 釜山恩愛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Eunae Special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예전로 107[청룡동 276-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이천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사립 특수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생활에 필요한 신변 자립 능력과 기초적인 기능을 향상시켜 미래 사회에 적응하는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명랑한 사람, 스스로 서는 사람, 은혜와 사랑을 아는 사람’이다.
[변천]
1998년 2월 17일에 금정구 남산동에서 전국 최초의 유아 특수 학교인 은애학교로 설립 인가[유치원 어린이 38명]를 받아, 그해 3월 2일에 개교하였다. 2003년에 이전 계획을 수립하여, 2004년 4월 29일에 현 위치[금정구 청룡동]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5월 21일에 부산은애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5년에 초등부 교사를 증축하여 2006학년도부터 초등학교 학생들이 입학하였으며, 1,527.9㎡의 학교 숲, 야생화 동산을 조성하여 자연 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2010년에 영아 학급 2학급을 개설하였으며, 2011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을 위한 교사를 증축하여 2012학년도부터 중학생과 고등학생들도 입학하게 되었다.
[교육 활동]
부산은애학교는 개교 당시부터 통합 교육을 인근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까지 주 1회씩 정기적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알맞은 개별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연구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여 『사례 연구집』을 발간[2005년, 2010년]하고, 일상생활 향상을 위한 「기초 신변 자립 기능 지도 자료」[2009년 부산광역시 교육청 연구 자료]를 발간하였으며, 또한 숲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숲에서 배우는 아이들』이라는 지도서를 개발하는 등 장애 학생들에게 자연 친화적이며 정서 순화적인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정규 과목 시간 외 ‘신나는 교실’[유치원]과 재량 활동[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을 통하여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방과 후 예술, 체육, 조작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에게 활동적이며 흥미로운 교육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가정에서 어린이들이 쉽게 체험하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 공연 관람과 지역 사회를 이용한 다양한 현장 학습을 추진하고 있다.
2005년에 통합 교육 우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25일에 학교 숲 시범 학교로 선정되었다. 2006년에 통합 교육 최우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에도 통합 교육 최우수 학교로 선정되었다. 그해 10월 24일에는 전국 우수 교과 연구회로 선정되었다. 2009년 5월 15일에 아름다운 학교 교육 공동체상[부산 YMCA, 부산광역시 교육청]을 수상하였고, 2011년 6월 3일에는 부산 녹색 환경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5월 3일에 CPR[심폐 소생술] UCC 공모전에서 특별상[대한적십자]을 수상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권윤일/작곡 권윤일]
아름다운 금정산 정기를 안고/ 희망으로 모여든 맑은 눈망울/ 사랑으로 어우러진 이 터전 위에/ 곧고 밝게 뻗어 가는 은애의 동산/ 은혜와 사랑의 그 터전 위에/ 빛나라 그 이름 은애학교.
2. 교목: 대나무이다.
3. 교화: 동백꽃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유치원 5학급에 18명, 초등학교 7학급에 49명, 중학교 3학급에 19명, 고등학교 3학급에 19명 등 총 18학급에 10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29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1명으로 총 62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4,215.4㎡로, 이 중 본관[3층] 연건평이 3,813.36㎡, 신관[6층] 연건평이 1,161.01㎡, 학교 숲[자연 학습장] 면적이 1,527.9㎡이다. 치료 교육실[언어 치료실, 감각 운동실, 작업 치료실, 심리 안정실], 놀이실, 음악실, 미술실, 과학실, 일상생활 훈련실, 도서실, 유희실, 컴퓨터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각 교실 및 특별실 내에 화장실을 개별로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