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684
한자 特殊學級
영어의미역 Special Class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교육 특수 학급 - 부산광역시

[정의]

특수 교육 대상자의 통합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일반 학교에 설치된 학급.

[개설]

한국 최초의 특수 학급은 의료 선교사인 로세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여사에 의해 1894년 5월 평양에 설립된 정진소학교에서의 맹교육이다. 이후 1937년 서울 동대문공립초등학교에는 병·허약아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 학급으로 양호 학습을 설치하였다. 1971년 대구 칠성초등학교에 학력 구제의 성격을 띤 1개의 특수 학급이 자생적으로 운영된 것을 계기로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1973년에는 33개의 특수 학급이 설치되었다.

[연혁]

부산은 1949년 제정된 「교육법」에 명시되어 있는 특수 학급의 설치 조항에 따라 1973년 처음 설치되었다. 1973년 문교부의 전국 시·군·교육청 및 교육구청 단위로 1개 학급씩을 설치하라는 지침에 따라 국민학교에서 먼저 특수 학급이 설치되었다. 1973년 중앙국민학교에 1개 학급이 설치되고, 1974년 부산진국민학교에 1개 학급이 설치되었다. 중앙국민학교는 2~6학년 가운데 지능이 낮고 학업이 부진한 아동 15명으로 편성하였다. 당시는 특수 학급 담당 유자격자를 별로도 임용한 것도 아니고, 일반 교사 가운데 적격자로 선정되었다. 국민학교의 특수 학급은 1980년 방문 교육이 있던 신애원[2학급: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초읍동 603번지]과 천성재활원[3학급: 영도구 청학동 57번지]의 지체부자유아를 특수 학급으로 대체하며 모두 7개 학급이 설치되었다. 이후 1983년 일반 국민학교에 15개 학급을 증설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인다.

중학교는 1985년 동평중학교, 부산남중학교, 부산내성중학교에 각 1개의 특수 학급이 설치되는 것을 시작으로 확대되었으며, 2000년에는 동래원예고등학교에 부산 최초로 고등학교 특수 학급이 신설되었으며, 2002년에는 사직고등학교에 일반계 고등학교로서는 처음 특수 학급이 신설된 이후,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공립 학교에는 대부분 특수 학급이 설치되어 있어 장애 학생들의 통합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설치 목적]

통합 교육 대상자 개개인의 교육 요구와 특성에 적합한 교육 기회 제공을 위해 교육 방법과 여건 개선을 위해 설치된다. 중증 장애아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 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장애 개선과 사회 적응력을 촉진할 수 있게 한다.

[설치 현황]

특수 학급은 초등학교 설치가 시작된 이래 중학교, 고등학교, 유치원으로 그 설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수 학급의 운영은 대부분 시간제 학습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영역에서 특수 학급의 교육 과정 내실화를 위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의 특수 학급은 통합 교육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장으로, 현재 부산 특수 교육의 큰 축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특수 학급이 통합 교육의 첨병으로서 그 역할이 매우 크고, 일반 교육 현장에 특수 교육을 이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