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914 |
---|---|
한자 | 釜山女子大學校 |
영어공식명칭 | Busan Women's College |
이칭/별칭 | 부산여대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남로 506[양정동 74-16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일훈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국가관과 민주 시민 의식이 확립된 여성 전문 직업인 양성,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하는 여성 인재 양성, 전문 지식과 기능을 갖춘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 현장 실습과 취업 지도를 통한 맞춤형 전문 직업인 양성’이다. 교훈은 ‘창의, 성실, 예절’이다.
[변천]
1968년 12월 14일에 혜화학원[1954년 12월 6일 설립 인가] 산하 부산여자실업고등전문학교로 설립 인가를 문교부로부터 받아, 1969년 3월 15일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으로 정남이가 취임하였다. 개교 당시에는 입학 정원이 3개 학과, 160명이었다. 이후 1974년 11월 22일에 부산여자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9년 1월 1일에는 부산여자전문대학으로 개편 승격되었다. 1998년 5월 1일에는 부산여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12년 1월 1일에 다시 부산여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대학이 발전하는 동안 학생들의 직업 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과들이 개설되었고, 그중에서도 2007년 10월에 치위생과[3년제]를 비롯하여 2012년에는 간호학과[3년제]를 신설하였다. 2011년 기준 제41회 학위 수여식을 거행하여 총 5만 704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여자대학교는 다양한 산업 현장이 요구하는 전문 직업인 양성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교육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교육 수요자인 산업체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특성화된 현장 중심 교육, 맞춤형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인성 교육을 위하여 대학의 설립 이념에 맞는 한국 전통의 다도 및 예절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수요자 중심 교육, 전공별로 특성화된 교육 과정, 산업체 현장 교육, 취업 지원 활동의 강화, 최첨단 실험 실습 교육 환경의 구축, 학생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 활동 전개 등을 통해 ‘우수한 여성 직업 전문인 양성’을 수행해 나가고 있다. 2010년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3년 연속 대표 브랜드 사업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2011년부터 2년 연속 교육 역량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2년에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전문 대학 평가에서 14위로 선정되었다.
[교가와 상징물]
밝은 얼 연연히 서리는 행경산 기슭에/ 향그럽게 피어나는 빛을 보아라/ 겨레의 정성 모아 영원한 생명/ 펼치는 곳 의와 참을 생명 삼는/ 자유와 진리의 전당 부산여대 부산여대/ 영원히 빛내리 부산여자대학.
2. 교표: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의 형상을 하고 있다. 가운데 원은 넓은 학문의 세계를 포용함을 나타내며, ‘大’ 자를 꽃잎과 조화를 이루게 단순화시킨 형상이 새겨져 있다. 진선미와 성실, 인내를 포함한 여성을 상징한다.
3. 교목: 은행나무로 봉사와 헌신, 이타심, 진취적 기상 및 미덕과 포용성, 강인함을 의미한다.
4. 다시비: 다시비는 한국다도협회 회장이자 혜화학원의 설립자인 설송 정상구 박사의 다도와 다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다. 부산대학교 교수 김정명이 동판에 새겼으며, 다촌관 안에 세워져 있다.
[현황]
2012년 7월 현재 대학 교육 기관은 총 33개의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부 학생은 총 3,516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전임 교원 82명, 일반직 및 기능직 65명명, 조교 41명이 근무하고 있다. 대학 부지 면적은 12만 6497㎡이며, 교사 면적은 5만 806㎡이다.
행정 기관은 총장 직할 부서로 부속실, 대학 본부는 기획처, 교무처, 학생처, 입학 홍보처, 산학 협력처, 사무처의 6처로 편성되어 있고, 14개의 부속 기관과 7개의 부설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전문 대학의 특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산학 협력단이 운영되고 있다. 부속 기관으로 중앙 도서관, 어린이 도서관, 부속 유치원, 종합 정보 센터, 교수 학습 지원 센터, 여대생 커리어 개발 센터, 국제 교류관, 장애 학생 지원 센터, 학생 생활 상담소, 차 문화 치료 센터, 학보·교지 편집국, 교육 방송국, 혜지 생활관, 치매 예방 재활 센터 등이 있다. 부설 기관으로는 차 문화 연구원, 사회 교육원, 사서 교육원, 국제 교육원, 관광 서비스 교육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