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199
한자 住生活
영어의미역 Dwelling Lif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수

[정의]

부산 지역의 주거지 형성과 주거 유형의 변천 과정.

[조선 시대 이전 부산의 주거]

정착 형태의 주거 생활은 일반적으로 신석기 시대에 들어와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동 생활을 하던 구석기인들과는 달리 신석기인들은 해안, 강가 등지에서 정착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산 지역에서도 신석기 시대의 주거 형태가 해안과 강가에서 확인된다. 신석기 시대의 주거는 자연적인 지형지물에 구덩이를 파거나 기둥을 세워 지붕을 얹는 등 최소한의 인위적인 노력이 부가된 형태였다.

이들은 주로 자연 동굴[혈(穴) 주거]과 바위 그늘[암음(岩陰) 주거] 형태로 확인된다. 부산 지역의 유적은 자연 동굴이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패총], 강서구 범방동, 영도구 영선동, 강서구 강동동 북정, 다대포 유적지에서, 바위 그늘이 북구 금곡동 율리 유적에서 확인된다. 신석기 후반으로 추정되는 금곡동 율리 유적에서는 조리 시설인 노지(爐址)[화덕 자리]가 확인되고 있다.

부산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청동기 이후 삼한 시대의 주거 생활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내성 유적기장군 정관읍 가동 유적에서 나타난다. 내성 유적은 기원전 2~1세기, 가동 유적은 3~6세기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삼한 시대의 주거 생활에서 보이는 특징은 부뚜막과 아궁이, 온돌 등의 시설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핵가족화에 따른 집터의 축소와 밀집 취락 형태이다. 이러한 특징은 삼국 시대 주거 생활 유적인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기장군 정관읍 가동 유적, 기장읍 청강리·대라리 유적, 일광면 유적 등에서도 아궁이와 부뚜막, 구들 등의 조리·난방 시설들의 흔적이 발견된다. 특히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대의 유적은 기원전 2세기부터 5세기까지 지속하였던 독로국(瀆盧國)의 중심 마을로 추정되기도 한다.

[개항기 이전의 부산의 주거]

수렵에서 농경 생활로 생활 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거주 지역도 해안, 강가에서 내륙의 평야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주거의 형태도 간이 구조의 움집 형식에서 목조 가구식(木造架構式)[수직의 기둥과 보를 이용하여 골조를 형성하는 방식] 구조가 나타나, 이후 초가와 와가(瓦家)[기와집] 형태의 전통 주거 형식으로 변화하게 된다. 고려 시대 이후부터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부산 지역이 왜국[현 일본]과의 군사·외교·통상을 위한 중심지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고려 말·조선 초의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조선 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1904년(고종 41)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慶尙南道東萊郡家戶案)』을 보면, 당시 부산의 주거와 인구수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동래현과 기장현의 호구(戶口)는 각각 389호, 1,400구와 174호, 397구이며 실제 호구는 3~5배로 추정된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는 동래군 8개 면에 4,779호가 있었다고 나오지만, 이 역시 실제 호수와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 1871년(고종 8)의 통계에는 7,662호로 기록된 자료가 있다. 조선 후기 동래와 기장의 인구수는 기록된 자료를 통해 보면 1832년 동래가 3만 2158명, 1855년 기장이 2,726호에 1만 256명으로 확인되며, 실제 호구 수는 7,521~1만 946호와 2만 7284~5만 3597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동래 지역이 상업과 외교의 중심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인구 유입이 많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주거의 형태는 대부분 초가였으며, 기와집의 비율은 전체 가구 수의 2%에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왜관의 설치와 새로운 도심의 형성]

고려 말 이후 왜구들의 해안가 침탈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자 1407년(태종 7) 상업 이외의 목적을 가지고 부산항을 출입하는 선박을 통제하기 위해 부산포에 왜관을 설치하여 머물도록 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왜관을 폐쇄하기도 하고 두모포(豆毛浦)[현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로 이전 설치하기도 하였지만, 왜인들이 불편함을 호소하여 1677년 용두산 인근인 초량 왜관[현 동구 초량동]으로 확장 이전하였다.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초량 왜관은 일본인들의 거류 중심지가 되었다. 개항기 이전 행정적 중심지였던 동래읍성 지역에는 전통적인 주거지가 형성되었고, 초량 왜관과 작은 포구로 형성된 어촌 마을들이 자리하였던 부산포 지역은 일본인들의 주거지가 자리하였다. 하지만 이후 부산은 전통적 주거지 동래군과 일본인 주거지인 부산부로 행정 구역이 분리되었다. 1877년에는 ‘「부산구 조계 조약(釜山口租界條約)」’을 통해 용두산 동측 지역을 중심으로는 공공, 상업, 업무 시설 등이 자리하였고 평탄한 땅이 있는 서측 지역에는 새로운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도심의 이동과 시가지의 확대]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초량 왜관을 중심으로 한 부산포 지역에는 전통적 조선인의 주거지였던 동래와 달리, 새로운 유형의 일본인 주거지가 형성되었다. 당시 일본인 거류지를 중심으로 도시 기반 사업과 항만 매립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새로운 도시 골격을 형성하였고, 이로 인해 부산의 중심도 동래군에서 부산부로 이동하게 되었다.

일본은 대륙 진출을 위한 교두보의 확보와 급증하는 일본 내의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통하여 이주 식민 정책을 펼침으로써 많은 일본인들이 부산으로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포 지역에는 도시 부속 시설 및 기반 시설들이 대거 필요하게 되어 항만 건설을 위한 매립 사업과 경부선 철도 건설 등과 같은 도시 기반 구축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영선산 착평 공사와 북쪽 해안 일대[북항]를 매립함으로써 용두산 인근 지역에서부터 초량 지역[부산역 인근]에 이르기까지 일본인의 거주 범위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일본식 주거 형태가 자리 잡게 되었다.

초량 지역은 영국·러시아·청국영사관을 비롯하여 청관(淸館) 설치가 예정된 국제 지역이었지만, 1905년 을사 보호 조약 체결로 외교권을 상실하면서 영사관 건립이 무산되고 일부 청국의 소유권을 인정받아 청관거리를 형성하였다. 이 지역은 광복 이후에도 중국인이 거주하면서 차이나타운을 형성하였고 1950년대 중반부터 주한미군과 외국 선원들이 모여들면서 텍사스 거리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이곳에는 청관거리, 일본인 주거지, 원주민이었던 조선인들의 주거 형태가 서로 융합되면서 독특한 주거 문화를 형성하였다. 현재까지도 이곳에는 중국의 상점들이 남아 있으며 등록 문화재로 등록된 부산 초량동 일식 가옥, 정란각 등 약 30여 채의 일본식 주택이 현존하고 있다.

[급격한 사회 변동과 도시 구조의 기형화]

해방 당시 28만 명에 불과하였던 부산의 인구가 1948년에는 해외 동포들의 유입 등으로 50만 명으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6·25 전쟁을 거치면서 수많은 피난민들이 부산으로 집중되면서 일반 시민 약 89만 명 외에도 피난민이 40~50만 명에 달하였다. 해방 직후부터 6·25 전쟁 시기를 거치면서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부산의 도시 구조가 기형화되기 시작하였다. 농촌에서 이탈하여 일자리를 찾아 부산으로 몰려든 빈민층과 6·25 전쟁 시 부산으로 이동해 온 피난민들이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지[소위 산동네라고 불림]에 싼 비용으로 손쉽게 지을 수 있는 판잣집[하꼬방]을 지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판잣집들로 이루어진 빈민촌이 난립하기 시작하면서 부산의 도시 구조는 한층 기형화되어 갔다.

[산업화에 따른 도시의 확대와 주거 환경의 개선]

1960년대에 접어들어,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등에 따른 산업화 정책은 부산에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인구가 급증[1965년 150만 명, 1972년 200만 명, 1975년 250만 명, 1979년 300만 명, 1985년 350만 명 등]하면서 시역은 계속 확대[1961년 사하구 지역 편입, 1963년 연산동 지역, 구포읍, 사상면, 북면, 기장읍 송정리 편입, 1973년 동래군 편입, 1981년 대저 지역 편입 등과 1980년대 이후 용호, 부산항, 수영만, 민락동 등의 매립]되었다. 여러 차례에 걸친 도시 계획과 토지 구획 사업 등으로 인근 지역에 새로운 거주 지역이 탄생하였고, 빈민촌의 과밀화 해소와 주택 개선 사업들로 주거 환경에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부산 지역의 인구 급등은 주택 보급률의 감소[1963년 주택 보급률 73.7%, 1983년 주택 보급률 56.0%]를 불러왔고, 1970년대 이후 엄청난 주택난[1980년 51.3%로 하락]과 마주하게 되었다. 부산시와 주택공사, 민간 사업자 등에 의한 주택 보급과 모라, 주례, 망미, 개금·당감, 만덕, 해운대, 금곡, 학장, 덕천 등지의 택지 개발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소위 ‘아파트 단지’라 불리는 주거지에 들어선 고층[소방법상 15층 이상] 아파트는 심각하였던 부산의 주택난을 점차 해소시키게 되었다. 실제로 부산 지역의 가구 수가 가장 많았던 2001년 121만 902가구에 89만 4222호로 주택 보급률이 83.3%까지 상승하였다.

2002년 이후 해운대 신도시, 화명 신도시, 정관 신도시 등지의 신도시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다. 한편 부산 지역에 인접한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나 양산시 지역에도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부산 인구의 역외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주택 보급률은 빠르게 완화되어 2010년 부산 지역의 주택 보급률은 108.6%[95만 3177가구에 103만 5110호]까지 상승하게 되었다. 현재 부산 지역의 주거 형태는 전체 103만 5110호 중 아파트가 62만 7916호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순으로 단독 주택이 25만 790호로 확인된다.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의 비율이 57.8%, 월세 비율이 19.1%, 전세 비율이 18.8% 등의 순으로 확인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