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040
한자 貨物連帶本部釜山支部
이칭/별칭 화물연대 부산지부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261[용당동 168-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일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노동조합
전화 051-635-5626|051-637-5626
설립 시기/일시 2002년 10월 27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6월 6일 - 화물노동자공동연대[준] 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5월 9일 - 제1차 파업 돌입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5월 15일 - 제1차 파업 철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1일 - 제2차 파업 돌입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연표보기 - 파업 돌입[2008]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6월연표보기 - 파업 돌입[2009]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6월연표보기 - 파업 돌입[2012]
현 소재지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261[용당동 16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화물연대본부 소속 지부.

[설립 목적]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는 부산 지역 화물 운송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근로 기준법」, 산재 보험, 노동 3권 인정과 같은 제반 권익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화물 운송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90% 이상이 위탁·수탁이나 지입제 등 특수 고용 형태로 일하고 있지만, 특수 고용 형태로 자영업자로 분류되어 노동권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었다. 2002년 6월 6일에 화물 운송업 종사 노동자들은 노동권을 인정받기 위해 화물노동자공동연대[준]를 결성하였고, 같은 해 10월 27일에 화물연대본부를 출범시켰으며, 이와 함께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도 설립하였다. 이후 화물연대본부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 가입하고 2006년 11월에 전국운수산업노동조합 화물운송특수고용직연대본부로 산별 전환을 하면서,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 역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속하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항은 한국의 물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의 비중 역시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난 기간 화물연대본부의 노동조합 활동에서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 화물연대본부의 파업은 부산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2003년 5월 8일에 부산항 봉쇄 및 파업을 예고하고 그해 5월 9일에 조합원 2,000명이 부산항 신선대 부두·감만 부두·우암 부두와 부산본부세관에서 집회를 가지며 파업에 돌입하였다. 그 결과 부산항에 반·출입하는 컨테이너 물량의 90%가 감소하였다. 이후 화물연대본부와 운송사가 운송료 합의 과정을 거쳤으며, 동년 5월 15일에 부산대학교 학생회관에서 화물연대본부가 노정 합의를 수용하고 파업을 철회하였다.

2006년 12월 1일에는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가 2차 파업에 돌입하여 표준 요율제와 주선료 상한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법」 개정안을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 상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8년 6월에 있었던 파업의 결과로 대형 화주들과 첫 운송료 합의를 타결하는 성과를 남겼으며, 이후 2009년 6월과 2012년 6월에도 파업을 실시하였다. 2012년 6월 파업에서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장 박원호는 표준 운임제의 법제화 등에 관해 정부의 성실 교섭을 요구하며 부산 신항 국제 터미널 150m 탑의 30m가량 지점에서 고공 농성에 돌입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화물연대본부와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는 그해 6월 29일에 컨테이너 운송료 9.9% 인상안에 합의하였고, 이날 오전 11시 30분부터 운송료 인상안과 업무 복귀 여부를 놓고 지부별로 찬반 투표에 들어간 뒤 파업을 종료하였다.

[현황]

2014년 현재 화물연대본부 부산지부의 대표자는 조익열이며, 회원 수는 약 1,800명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운** 트위터 에글좀올립시다 표준운임 독촉방법은 트위터에 도배뿐이라오 2018.03.0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