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466 |
---|---|
한자 | 全國勞動組合釜山地方評議會 |
영어의미역 | Busan Regional Council of the Labor Unions across the Country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광욱 |
[정의]
1945년 부산지역에서 결성된 전국노동조합 소속 평의회.
[설립 목적]
1945년 11월 5일 설립된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약칭 전평]의 지방 조직으로, 노동자의 권익을 옹호하고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변천]
전국노동조합 부산지방평의회[약칭 부평]는 1945년 12월에 발기했다. 주요 간부는 지한종·강대갑·이용환·김일립·김시엽·안고덕 등이었다. 지한종은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의 결성 대회에 부산 지역 대표로 참여했던 인물이다. 강대갑은 일제 강점기 김해농민조합에서 활동했으며,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 결성 대회에 부산섬유노조의 대의원으로 참여했다. 이용환은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 결성 대회에 부산철도노조의 대의원으로 참여하여 중앙 집행 위원이 되었다. 김일립은 기장 지역에서 노동 운동을 이끌었던 인물로,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 결성 대회에 부산광산노조의 대의원으로 참여했다. 김시엽은 김두봉의 사촌으로,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 결성 대회에서 집행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안고덕은 부산조선노조의 대의원이었으며,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 결성 대회에서 집행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일제 강점기에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한 인물이었다. 전국노동조합 부산지방평의회에 소속된 산별 조직은 전국조선노조 부산지부, 전국금속노조 부산지부, 전국화학노조 부산지부, 전국교통운수노조 부산지부, 전국토목노조 부산지부, 부산해상노조, 부산자유노조, 부산섬유노조 등이었다. 1946년 9월 총파업과 10월 인민 항쟁 이후 미군정의 탄압으로 전국노동조합 부산지방평의회는 해체되고 지하로 잠적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의 행동 강령인 최저 임금제 실시, 14세 미만의 유아 노동 금지, 여성 노동자의 산전 산후 2개월 유급 휴가 등 진보적인 내용을 내걸고 활동했다. 1946년 9월 전국노동조합 부산지방평의회는 열악한 철도 노무자들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철도 노조의 파업을 계기로 시작된 9월 총파업과 그 뒤를 잇는 10월 인민 항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의의와 평가]
전국노동조합 부산지방평의회는 해방 직후의 정치 공간에서 막강한 대중 동원력을 구사하며 진보적인 민중 운동의 구심으로 활동을 전개한 단체라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