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휴 공공 시설 창조 공간 재생 사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44
한자 遊休公共施設創造空間再生事業
영어의미역 Project for Establishing Creative Space by Reorganizing Non-operational Public Facilitie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남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영

[정의]

유휴 공공시설을 사회 문화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 공간 등으로 재생하는 부산광역시의 사업.

[창조 도시 조성]

오늘날의 도시 조성의 전반적인 추세는 ‘세계 도시’에서 ‘창조 도시’로 도시 발전의 방향 전환을 꾀하고 있으며, ‘작지만 강한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정책이 대두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사람 중심의 창조 도시 구현’을 목표로 기존의 단편적인 물리적 재생에서 물리[공간]적, 사회·경제적 재생을 요구하는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 재생을 지향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창조 도시 조성 정책은 창조 환경·창조 계층·창조 산업의 육성을 통한 부산형 창조 도시를 구축하고 도심과 부도심이 조화를 이루는 특색 있는 창조 도시를 조성하며, 도시 빈곤 지역의 통합적 재생을 위한 지역 공동체 복원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통한 마을 만들기, 도시 인프라 수준에 걸맞은 소프트 파워와 창조 콘텐츠 발굴을 통한 문화적·공간적·생활적 도시 재생 등을 추구하고 있다.

[창조 공간 조성과 유휴 공공시설]

창조 도시 조성을 위한 전략은 창조 공간 조성, 창조 산업 육성, 창조 인재 양성 등이 있다. 창조 공간 조성은 도시의 물리적 재생에 해당하며, 기존 공간의 재생과 새로운 공간의 조성의 방법으로 진행되며, 창조 거점, 창조 마을, 창조 시설 등으로 구분된다. 기존 공간의 재생은 산복 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강동권 창조 도시 조성, 원도심 재개발 등이 대표적이며, 새로운 공간 조성은 혁신 도시 조성 등이 해당된다. 유휴 공공시설 재생은 창조 공간 조성 중 창조 시설 부분의 재생형 시설 계획에 해당되는 사업으로, 기존의 문화 자산과 버려진 공간 및 유휴 공공시설을 사회 문화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 공간 등으로 재생하여 시민의 문화적 욕구 충족하고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사업 현황]

1. 가압장 재생

산복 도로 지역 등의 고지대에 상시 급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된 수정산 터널식 배수지가 2007년 3월 26일 완공됨에 따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등 4개소의 상수도 가압장이 용도 폐지되었다. 부산광역시는 이 폐가압장을 문화·예술·교육·창업 지원 등의 주민 친화적 창조 복합 공간으로 재생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1년 8월부터 10월까지 폐가압장 활용 계획을 수립하였고, 2012년 1월부터 실시 설계 및 리모델링 공사가 실시되었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범천4동주민센터 인근의 가압장은 북 카페와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생되고, 범곡 사거리 인근의 가압장은 청소년 복지 공간으로 재생된다.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문현3동주민센터 인근의 가압장은 문현 고동골 아트센터로 재생되며, 사상구 주례동 가야대로 인근의 가압장은 문화 예술 학교로 재생된다.

2. 폐교 재생

‘창의 문화촌 @ 감만’ 프로젝트 사업으로 구 동천초등학교 폐교 시설을 재생하는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2010년 3월 1일 동천초등학교가 신축 학교로 이전함에 따라,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의 폐교 시설 중 교사는 문화 예술 공간[창작+교육+창업 지원]과 지역 주민 복지 공간으로, 운동장은 공원과 주민 편의 주차장 등으로 재생하여 다양한 주민 참여형 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