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94
한자 廣域道路
영어의미역 Inter-city Road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정의]

부산광역시 내의 구·군에 걸쳐 있는 도로.

[개설]

광역 도로의 법적 정의는 「대광법」 제2조에 의거 수도권, 부산권, 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등 대도시권의 광역적인 교통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치는 도로이다. 광역 도로의 유형은 첫째, 국도 대체 우회 도로와 읍·면 지역의 일반 국도를 제외한 일반 국도, 둘째, 특별시도·광역시도, 시도, 군도, 구도, 셋째, 국가 지원 지방도를 제외한 지방도 등이다.

[도로 현황]

부산은 도로 체계가 환상 방사형이 아닌 도심 집중형으로 형성되어, 많은 교통량을 처리하는 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금정 산맥금련 산맥이 시가지의 동쪽과 서쪽을 감싸며 남북으로 뻗어 있는 지형적으로 열악한 도시 여건과 교통량의 지속적인 증가, 도심에 위치한 항만 화물 수송 차량의 시내 도로 통과 등으로 도로 교통망의 지속적인 확충에도 불구하고 도로 상황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부산광역시의 도로 연장은 2004년 2,705㎞에서 2009년 3,041㎞, 2011년에는 총 3,073㎞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1년 말 기준으로 보면 고속 도로 연장 53㎞에 일반 국도 100㎞, 광역시도 2,761㎞, 지방도 30㎞, 군도 130㎞이다. 포장률은 광역시도 97.9%, 군도 75.6%이며, 그 외 도로는 100%로 전체 포장율은 97.1%에 달한다. 도로 연장은 늘어나고 있으나, 도로율은 2010년 기준으로 20.83%로서 여전히 타 시도에 비하여 낮은 실정이다. 도로 면적은 767㎢이며, 도로 밀도는 4.01㎞/㎢, 1인당 도로 연장은 1m/인이며, 자동차 1대당 도로 연장은 2.65m/대이다.

[광역 도로 현황]

부산의 광역 도로에는 일반 국도와 도시 고속 도로, 광역시도, 군도, 지방도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은 부산~울산 축과 부산~웅상 축, 부산~양산 축, 부산~김해 축, 부산~진해 축이 있다.

1. 일반 국도

부산광역시 내의 일반 국도는 부산을 기점이나 종점으로 하는 국도 제2호선국도 제7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있고, 부산을 경유하는 국도 제14호선이 있다. 부산광역시 내 국도의 총 연장은 9만 9,720m이며, 이 중 2차선이 1만 2,820m, 4차선이 3만 3,079m, 6차선이 3만 1,155m, 8차선이 2만 292m, 10차선이 2,374m이다.

1) 국도 제2호선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서 부산 신항, 을숙도를 거쳐 낙동강 하구둑을 통해 부산 중구까지 잇는 총 연장 16.7㎞ 구간이다.

2) 국도 제7호선

동해안을 따라 연결된 도로로 부산광역시 내 구간은 중구 중앙동에서 동구를 거쳐 부산진구,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 기장군으로 이어지는 노선이다. 울산, 포항 등 주요 산업 거점을 연결하는 산업 도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3) 국도 제14호선

경상남도 거제군을 기점으로 부산광역시를 거쳐 경상북도 포항시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강서구 강동동에서 시작해 북구, 만덕 터널을 통과해 동래구에 이르며, 금정구해운대구를 지나 기장군을 통과하고 있다.

4) 국도 제31호선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에서 함경남도 안변군 위의면까지 연결된 도로로,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장안읍의 해안선을 따라 지나간다.

5) 국도 제35호선

부산광역시를 기점으로 강원도 강릉시에 이르는 도로로, 부산광역시 내 구간은 구포에서 양산에 이르는 금곡 대로 구간과 일치한다. 대동 화명 대교와 양산 낙동강교 등 낙동강을 건너는 교량이 건설되면서 김해와 연결되고 있다.

6) 국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서 강서구로 연결되어 사하구서구, 중구까지 이어진다. 낙동남로와 국도 제2호선 구간과 겹친다.

2. 광역시도

부산광역시 내의 도로로는 번영로, 동서 고가로, 관문 대로, 장산로, 정관 산업로 등의 도시 고속 도로와 광역시도가 있다. 광역시도는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주 간선 도로와 주 간선 도로와 연결되어 각 지역으로 연결되는 보조 간선 도로로 구분된다. 주 간선 도로는 하단 교차로에서 강서구 송정동 시계까지의 대영로·낙동로·낙동남로와 좌천 삼거리에서 수영 1호교 삼거리까지의 수영로·자성로, 부산 지하철 2호선 중동역에서 기장군 교리 삼거리까지의 해운로와 기장 대로, 49호 광장에서 전포 사거리까지의 황령로, 서면 교차로에서 낙동 대교 입구까지의 가야로, 명지동에서 대동 수문까지의 공항로, 범곡 교차로에서 수영 교차로까지의 신암로·동평로·연산로, 진양 삼거리에서 덕천 교차로까지의 백양로, 덕천 교차로에서 도시 철도 2호선 중동역까지의 만덕로·충렬로·해운로, 영주 교차로에서 금곡동 시계까지의 대영로·낙동로·금곡로, 낙동로에서 장림 하수 처리장까지의 다대로·강변대로, 두명 교차로에서 덕천 교차로까지의 정관로, 자갈치 교차로에서 백양로까지의 보수로, 충무 교차로에서 천마 터널 입구까지의 충무로, 충무 교차로에서 노포동 시계까지의 구덕로·중앙로·금정로, 중앙 부두 앞에서 태종대 입구까지의 태종로, 중앙 부두 앞에서 부산교육대학 앞까지의 충장로·전포로·거제로, 동천교 삼거리에서 내부 순환 도로까지의 우암로, 수영 1호교에서 동래 교차로까지의 과정로·좌수영로, 연산 교차로에서 기장군 경계까지의 반송로가 있다.

보조 간선 도로로는 생곡로, 공단로, 상덕로, 진남로, 용호로, 광남로, 기장 해안로, 군도 제15-1호선, 광안 해변로, 황령 2터널로, 사상로, 새싹길, 공항 진입로, 신암로, 동평로, 과정로, 덕천로, 대저로, 구만덕로, 명륜로, 반여로, 해운대 해변로·순환로, 신시가지 순환로[좌동 순환로], 달맞이길, APEC로, 학장로, 장인로, 새벽로, 광장로, 국도 제2호선, 의성로, 신평로, 용수로·학사대길, 백포 2길, 보덕로, 장림로, 구덕로, 암남 공원로, 천마로·해돋이길, 절영로, 성지로, 고분로·연잎로, 여고길, 식물원길, 체육공원로, 금정도서관길, 노포로, 장전로, 대청로, 다대로, 감천항만로, 신선로, 주지봉길[초읍 터널 연결 도로], 섶자리길, 사직로·우장춘로·금샘길, 범일로, 유엔로, 석포로·용당로, 화전로, 녹산 산업 중로, 녹산 해안로, 양운로, 개좌길, 서동 고갯길, 임랑로, 철마로, 문화로 등이 있다.

또한 주 간선 도로의 연결 또는 외곽 도로와 연결되어 부산 전체의 순환 도로망을 형성하는데,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에서 출발하여 남항 대교, 북항 대교, 남천동, 황령 3터널, 제2 만덕 터널, 강변대로 등을 경유하여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으로 돌아오는 55.52㎞의 내부 순환 도로와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에서 서부산 IC, 초정 IC, 산성 터널, 기장, 해운대에 이르는 68.69㎞의 외부 순환 도로, 녹산공단에서 한림, 상동, 좌천, 정관 신도시, 일광에 이르는 외곽 순환 도로를 형성한다.

3. 군도

군도는 기장군 내를 연결하는 도로로 제10호선에서 제35호선까지 있다. 군도의 총 연장은 130.5㎞이며 미포장 도로가 24.8㎞, 미개통 구간이 7.2㎞이다. 기장군 내 군도는 정관읍 용수리에서 병산 저수지를 경유해 장안읍 장안리에 이르는 군도 제10호선, 장안읍 좌천리에서 일광면 문중리를 경유해 일광면 문중리에 이르는 군도 제13호선, 장안읍 길천리에서 장안읍 반룡리를 경유해 장안읍 장안리에 이르는 군도 제14호선, 기장읍 당사리에서 기장읍 대변리를 경유해 일광면 삼성리에 이르는 군도 제15호선, 기장읍 청강리에서 신천 마을을 경유해 기장읍 죽성리에 이르는 군도 제16호선, 기장읍 내리에서 철마면 와여리를 경유해 철마면 임기리에 이르는 군도 제17호선, 철마면 장전리에서 철마면 장전리를 경유해 철마면 장전리에 이르는 군도 제18호선, 정관읍 방곡리에서 철마면 웅천리를 경유해 철마면 장전리에 이르는 군도 제19호선, 정관읍 방곡리에서 정관 지방 산업 단지를 경유해 정관읍 달산리에 이르는 군도 제20호선, 철마면 연구리에서 철마면 이곡리를 경유해 일광면 화전리에 이르는 군도 제21호선, 철마면 안평리에서 철마면 안평리를 경유해 기장읍 내리에 이르는 군도 제22호선, 철마면 연구리에서 석길·미동 마을을 경유해 철마면 웅천리에 이르는 군도 제23호선, 일광면 칠암리에서 칠암 어린이집을 경유해 일광면 칠암리에 이르는 군도 제24호선, 정관읍 매학리에서 달산 저수지를 경유해 정관읍 달산리에 이르는 군도 제25호선, 장안읍 장안리에서 대명 마을을 경유해 장안읍 명례리에 이르는 군도 제26호선, 기장읍 청강리에서 무곡 마을을 경유해 기장읍 교리에 이르는 군도 제27호선, 일광면 청광리에서 상리 마을을 경유해 일광면 하리에 이르는 군도 제29호선, 장안읍 길천리에서 장안읍 기룡리를 경유해 장안읍 장안리에 이르는 군도 제31호선, 장안읍 기룡리에서 신리·판곡 마을을 경유해 장안읍 오리에 이르는 군도 제33호선, 정관읍 매학리에서 달산 저수지를 경유해 정관읍 달산리에 이르는 군도 제35호선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