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724 |
---|---|
한자 | 東西高街路 |
영어의미역 | Dongse Overroad Bridge |
이칭/별칭 | 부산광역시도 제22호선,부산 제2 도시 고속 도로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규택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 교차로에서 사상구 감전 IC까지 이어지는 도시 고속 도로.
[명칭 유래]
남구 제8 부두와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을 동서로 연결하는 고가 도로라 하여 동서 고가로라는 명칭이 붙었다. 부산에서 두 번째로 개통된 도시 고속 도로라 하여 부산 제2 도시 고속 도로라고도 불리며, 부산광역시도 제22호선이라고도 한다.
[제원]
동서 고가로는 총 길이 14.04㎞에 노폭은 19.1~42.4m로, 왕복 4차선으로 건설되어 있다. 동서 고가로의 진·출입 램프는 10개소, 고가 도로는 2개소로 길이는 13.8㎞이다.
[건립 경위]
동서 고가로는 부산항 부두에서 창원·마산 등지로 연결되는 동서 간 교통난이 심각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동서 고가로는 1988년 3월 23일 지정되어, 동년 4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4,633억 원을 투입하여 건립하였다. 1992년 12월 9일 학장 램프~문현 로터리 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
[변천]
1994년 12월 24일 문현 로터리~감전 IC의 10.9㎞ 전 구간 개통으로 준공되었다. 1993년 9월부터 개금 요금소를 설치하여 통행료를 징수하였고, 1998년 2월 28일 문현 로터리~감만동의 우암 고가로가 연장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2007년 3월 21일에 우암 고가로를 포함해 자동차 전용 도로로 변경 공고되었다. 2009년 8월 1일부터 통행료를 전면 무료화하며 개금 요금소를 철거해 현재에 이른다.
[현황]
동서 고가로는 부산광역시 남구에서 부산진구, 사상구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에서 부산 시내로 접근성을 향상시켜 컨테이너 물동량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 업무를 맡고 있으며,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 도로로 보행자와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동서 고가로의 진출입 램프는 사상, 감전, 학장, 주례, 진양, 범내골, 황령산, 문현, 제7 부두, 감만 사거리 등 10개소이다.
사상 램프는 가야 대로, 낙동 대로로 연결되어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과 직결된다. 감전 램프는 가야 대로와 연결되고, 학장 대로는 가야 대로, 학감 대로와, 주례 램프는 백양 대로와, 진양 램프는 백양 대로, 신천 대로와 연결된다. 범내골 램프에서는 황령 대로, 신천 대로, 신천 대로와 연결되고, 황령산 램프에서는 황령 대로와, 문현 램프에서는 번영로, 전포 대로, 자성로, 충장 대로, 수영로와 연결되고, 제7 부두 램프에서는 관문 대로, 번영로, 부산항 순환 도로, 감만 램프에서는 신선 대로, 우암 대로와 연결된다.
황령산 램프에서는 동서 고가로를 이용하는 모든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김해 공항 리무진 버스가 진출한다. 제7 부두 램프에서는 부산항 순환 도로를 이용해 감만동에서 부산역, 남포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동서 고가로는 종점인 낙동 대교에서 서부산 IC까지의 정체가 매우 심하다. 동서 고가로의 교통량은 구 개금 요금소를 기준으로 2012년 8만 2168대로 전년 대비 10.3%의 증가율을 보였다. 또 시간대별로는 사상 방면으로 오전 8시에서 9시에 집중률이 7.90%이며, 문현동 방면으로는 9시에서 10시에 집중률이 7.80%이다. 차종별 구성비는 승용차가 68.83%, 특수차 비율이 5.01%[다른 지역에 비해 높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