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74
한자 釜山鎭驛-鐵道-
영어의미역 Busanjin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55[초량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차역
개관|개장 시기/일시 1905년 1월 1일연표보기 - 무배치 간이역으로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06년 7월 1일 - 배치 간이역으로 승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06년 8월 25일 - 보통 역으로 승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11월 1일 - 초량역과 부산역과 업무 통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9년 6월 10일 - 부산역과 업무 분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0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9월 18일 - 컨테이너 야드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10월 7일 - 역사 신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7월 15일 - 일반 화물 취급 중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4월 1일 - 여객 취급 중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6월 9일 - 역무 이전
최초 설립지 부산진역 -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55[초량동]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진역 -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255[초량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경부선 역사.

[건립 경위]

부산진역(釜山鎭驛)[철도]은 1905년 1월 1일 한국 철도의 중심 노선인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변천]

1906년 7월 1일 배치 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가 1906년 8월 25일 보통 역으로 승격하였다. 1934년 7월 16일에는 부산진~해운대 간의 18.9㎞ 구간이 개통되면서 동해 남부선의 시·종착역이 되었다. 1965년 11월 1일 초량역과 부산역, 부산진역의 업무가 통합되었다가 1969년 6월 10일 부산역과 분리되었다. 1970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으며, 1972년 9월 18일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컨테이너를 보관하고 인도·인수하는 항만 근처의 야적장을 말한다. 약칭하여 CY라고도 한다.]가 준공되었다.

1979년 10월 7일 역사를 신축하였으며, 1992년 7월 15일 부산진역을 컨테이너 전용 기지화하기 위하여 일반 화물 취급을 중지시켰다. 2005년 4월 1일 여객 취급을 중단하였고, 같은 해 6월 9일 역무를 이전하였으며 물류 영업부 건물이 들어섰다. 2005년 이후 일반 여객 열차는 정차하지 않으며 화물 업무만 담당하고 있다. 기존 역사는 폐쇄되고 바닷가의 충장 대로 쪽으로 입구가 만들어져 컨테이너 차량이 통과하고 있다.

[구성]

2층 건물인 부산진역사는 현재 폐쇄되었으며, 철도 노선 주변으로 화물 열차가 진입할 수 있는 CY가 있다. CY 단지로 열차가 진입하면, 트랜스 트레이너[T/T: Trans Tainer]가 컨테이너를 운반한다. 단지 내에는 약 70여 대의 승용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있다.

[현황]

부산진역은 현재 여객 수송은 중단되었으며, 화물 수송만 이루어지고 있다. 동해 남부선의 시발역이며 우암선의 분기점으로 CY가 자리하고 있다. 구 역사는 도시 철도 1호선 초량역이나 부산진역에서 내려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는데, 전시장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부산광역시에서는 2014~2023년까지 10년간 4963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부산진 CY를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신항역으로 이전하고 개발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참고문헌]
  • 세계 철도 여행기(http://blog.daum.net/zenith2)
  • KORAIL(http://www.korail.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