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59
한자 釜山驛-鐵道-
영어의미역 Busan Railway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06[초량동 118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차역
면적 214,365.71㎡[대지 면적]|61,483.93㎡[연면적]
개관|개장 시기/일시 1908년 4월 1일연표보기 - 개통
이전 시기/일시 1953년 - 부산광역시 제2 부두 앞 일대에서 중구 중앙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9년 6월 10일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서 동구 중앙대로 206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43년 12월 10일연표보기 - 부산역에서 부산 부두역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5년 6월 10일연표보기 - 부산 부두역에서 부산역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0년 10월 - 역사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3년 11월 27일 - 대화재로 역사 전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9월 1일 - 증기 기관차 운행 종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7년 9월 1일 - 경부선에 특급 비둘기호 운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1월 14일 - 비둘기호 운행 종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3월 31일 - 통일호 운행 종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4월 - 역사 리모델링 완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1월 - 2차 증축 공사 완료
최초 설립지 부산역 - 부산광역시 제2 부두 앞 일대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역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06[초량동]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역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06[초량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경부선경부 고속선의 기차역.

[건립 경위]

부산역(釜山驛)[철도]은 경부선이 개통됨에 따라 철도 관련 영업·관리·건설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1908년 4월 1일 임시 정거장으로 업무를 시작하였고, 부산 정거장 본관과 부대설비 공사에 착수하여 1910년 10월 역사를 준공하였다.

[변천]

동구 초량동중구 중앙동 사이를 평지로 만드는 영선산 착평 공사[1909~1912]가 완공되면서 부산역은 중구 중앙동으로 이전하였다. 1943년 12월 10일 역명을 부산역에서 부산 부두역으로 개칭하였고, 1945년 6월 10일에 부산역으로 다시 바꾸었다. 1953년 11월 27일 중구 피난민 판자촌 일대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역사가 전소하여 중구 중앙동에 가건물을 역사로 사용하다가 1969년 6월 10일 지금의 위치에 역사를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부산역에서 초기 운행하던 증기 기관차는 1967년 9월 1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1967년 9월 1일 경부선에 특급 비둘기호의 운행이 개시되었고, 1984년 1월 1일 열차 등급 및 열차명이 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비둘기호로 개정되어 운행되었다. 2000년 11월 14일에 비둘기호, 2004년 3월 31일에 통일호 운행이 종료되었다. 2004년 4월 1일 경부 고속 철도가 개통되면서 고속 전철인 KTX 운행에 맞추어 리모델링을 완료하였고, 2009년 3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2차 증축 공사를 완료하였다.

[구성]

부산역은 대지 면적 21만 4365.71㎡, 연면적 6만 1483.93㎡이며 지상 5층, 지하 1층의 철골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다. KTX와 일반 열차[새마을호·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는 5개 승강장이 있으며, 1층과 2층에 분식점·제과·커피·미용실·한식당·편의점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다.

[현황]

부산역은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소속으로, 부산역과 관련된 시설의 건설·보수·관리 업무는 한국철도시설공단 영남본부가, 열차 운행과 영업의 업무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가 맡고 있다. 현재 부산역을 이용하는 기차는 KTX·새마을호·무궁화호 등이며, 경부 고속선 전용 노선[서울~대전~대구~경주~부산]을 이용하는 고속 열차인 KTX는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데 약 2시간 20분이 소요된다.

경부 고속 철도가 개통된 2000년대 중반 이후 부산역을 이용한 승객 수[경부선]의 변화를 보면 2006년에 1620만 8264명으로 서울역, 동대구역 다음으로 승객 수가 많았다. 열차 종별로 KTX를 이용한 승객 수는 1107만 1691명, 새마을호 승객 수는 121만 8308명, 무궁화호 승객 수는 391만 8265명이었다. 2010년의 경우 부산역의 경부선을 이용한 승객 수는 1495만 9234명이었고, 서울역[경부선·경의선], 동대구역[경부선·대구선], 대전역[경부선·대전선] 다음으로 승객 수가 많았다. 전체적으로 2000년대 중반 이후 부산역을 이용하는 승객 수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열차 종별로 보면 KTX를 이용하는 승객은 증가하는 반면에 일반 열차[새마을호·무궁화호]를 이용하는 승객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