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419 |
---|---|
한자 | 神魚山脈 |
영어의미역 | Sineisan Mountain Range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해수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지나는 산맥.
[명칭 유래]
신어산맥은 신어산의 명칭에서 따온 이름이다. 신어산[경상남도 김해시 소재] 서쪽 기슭에는 은하사가 있는데, 이 은하사 대웅전 불단(佛壇)에 있는 신어(神魚)[신령스러운 물고기] 문양과 관련이 있다고도 전하고, 옛날 김해 평야가 바다였을 때 산의 형태가 바다 위에 떠 있는 고기 모양이라고 하여 불린 이름이라고도 한다.
[자연 환경]
신어산맥은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토곡산에서 시작하여 김해군의 신어산~계봉~용지봉~불모산~보개산~가덕도의 연대봉까지 연결된다. 산맥은 낙동강 삼각주의 서쪽에서 남북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신생대 제3기 밀양 단층 및 양산 단층 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부산 지역에 해당되는 신어산맥은 남서부로서 굴암산[662m]에서 동쪽으로 뻗은 옥녀봉[320m]과 금병산[241m], 남동으로 뻗은 보개산[478.9m]과 봉화산[277.7m]이다. 산맥은 서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조만강과 지사천에 의해 개석되어 낙동강 연안에서 독립 구릉으로 잔존(殘存)하기도 한다. 보개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줄기는 진해만과 낙동강 하구에서 몰입했다가 가덕도에서 솟아 연대봉[459.4m]을 이루고 남쪽으로 달리다가 가덕도의 남단 동두말에서 끝난다.
[현황]
신어산맥 주변 지역은 금정산맥과 금련산맥 주변 지역과는 달리 산지가 적고, 농경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부산의 관문인 김해 국제 공항이 들어서 있고, 경상남도를 연결하는 남해 고속 도로와 남해 고속 도로 지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낙동강을 따라서 동쪽으로 부산광역시 북구·사상구·사하구가 접하고 서쪽으로 김해시·진해시가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남해안이 펼쳐져 있다. 도시 철도 3호선과 부산 김해 경전철이 산맥을 통과하고 있다.
해안 지역은 낙동강 하구와 가덕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매립을 통하여 공단 및 주거단지로 조성되어 있다. 특히 편리한 도심 교통망과 쾌적한 생활 환경 제공을 기반으로 물류, 유통 및 해운 관련 국제 업무 단지인 부산 신항만 지역, 첨단·제조 산업, R&D, 부산 과학 산업 단지인 지사 지역을 비롯해 국제 신도시, 항공 물류 및 첨단 부품 소재 생산 기지인 명지 지역 등의 개발로 동남권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