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34
한자 潮滿江
영어의미역 Jomangang River
이칭/별칭 태야강,조마니강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하천
면적 175.4㎢
길이 19.8㎞
전구간 조만강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덕암리~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해당 지역 소재지 종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지도보기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덕암리 황새봉에서 발원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서 서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명칭 유래]

조만강은 하천 하구의 수위가 조석간만에 따라 변한다 하여 조만강으로 부른다. 명칭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주민들은 지역에 따라 태야강 또는 조마니강으로도 불렀다.

[자연 환경]

조만강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덕암리 황새봉을 출발해 남으로 흐르며, 주촌의 여러 계류들이 합류한다. 남쪽의 덕교를 지나며 내삼천이 합수하고 정천교를 지나며 장유면에서 흘러나온 직천·삼문천·대청천이 합류해 동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른다. 조만강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신문리와 칠산 평야에 농업용수를 제공하고, 곤지 나루를 지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에서 해반천·호계천·금천천과 합수하고 봉고천과도 합류해 남포 평야에 용수를 공급하며, 여기에서부터 조만강을 이룬다. 조만강은 조만교를 지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범방동을 흘러 생곡에서 지사천을 합류해 장낙 나루를 지나 서낙동강으로 흘러든다.

[현황]

조만강의 상류는 경상남도 김해시, 하류는 부산광역시 강서구로 양분되어 수계 관리를 위한 행정에 어려움이 많다. 전체 유로 연장 19.8㎞ 중 부산 권에 속하는 유로 연장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 92번지 경계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서낙동강 합류점까지의 4.8㎞이다. 조만강의 유역 면적은 175.4㎢이다.

상류부는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으로 20만 명 규모의 장유 신도시가 조성되어 있고, 주촌 산업 단지[150만㎡]가 조성되어 오염 물질이 유입되고 있으며, 하류부에도 대규모 산업 단지가 조성되어 주변에서 유입되는 생활 오수와 공장 폐수에 의한 수질 오염이 심각하다. 현재 조만강은 농업용수로서도 적합하지 못한 4급수로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