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051
한자 菉山洞
영어의미역 Noksa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행정동
면적 56.85㎢
가구수 16,742가구
인구(남, 여) 38,719명[남 22,028명|여 16,691명]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녹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녹산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으로 개편
법정동 녹산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김해군 녹산면에서 지명이 비롯되었다. 녹산은 원래 봉화산의 동쪽이 사슴이 들판을 향해 달리는 풍수 형국이라서 ‘사슴 녹(鹿)’ 자를 사용하였으나 이후 녹산(菉山)으로 변하였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산에 녹두가 잘되어서, 여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도 전한다. 녹산 지명이 처음 나오는 것은 『김해부읍지(金海府邑誌)』[1832]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1757]에는 이 지명이 보이지 않으나 첨부 지도에 녹도가 묘사되어 있어 지명은 이 섬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발달로 육지와 녹산 지역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형성 및 변천]

녹산동은 조선 후기 김해군 녹산면에 속하였다. 녹산면은 원래 바다 쪽의 녹산·화전·송정의 3리였고, 토야면은 산 안쪽의 범방·탑동·구랑·소압·미음·상룡·중곡·지사·생곡의 9리였는데 1914년 녹산·태야의 두 면을 병합하여 녹산면이 되었다. 1989년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강서구 녹산동이 되었다. 이후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북으로 생곡동구랑동, 남으로 화전동과 접한다. 동쪽으로 서낙동강과 접하며, 북쪽에 위치한 봉화산 일대의 산지를 제외하고는 서낙동강의 퇴적 작용으로 이루어진 평야 지역이다. 서낙동강 하구에는 노적봉[서낙동강 하구의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작은 섬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이 쳐들어오자, 섬 전체를 짚으로 덮어 노적더미처럼 위장하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있다.

[현황]

행정동인 녹산동은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56.86㎢이며, 인구는 1만 6,957가구에 총 3만 4,878명으로 남자가 1만 8,904명, 여자가 1만 5,974명이다. 법정동으로 녹산동, 송정동, 화전동, 생곡동, 구랑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신호동을 관할하고 있다. 법정동인 녹산동의 자연 마을로 녹산 마을, 산양 마을, 성산 마을이 있다. 녹산 마을은 1995년 이후 국가 산업 단지가 조성되면서 이곳에서 철거된 주민들이 새 동네를 형성하고 있다. 산양 마을은 산을 등지고 양지에 입지하여 지명이 비롯되었다. 공동 우물이 있으나 지금은 흔적만 남아 있다. 성산 마을서낙동강이 바다로 흘러가는 길목에 있는 취락으로 녹산동의 관문 구실을 한다.

1934년 김해평야에 바닷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대동 수문에서 들어오는 담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녹산 수문을 건설하였다. 수문 위의 녹산교는 준공 당시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개폐식 수문이었다. 2012년 현재 부산 신항만 배후 국제 산업 물류 도시가 조성 중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1.24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56.85㎢이며, 인구는 1만 5,343가구에 총 3만 6,395명으로 남자가 2만 831명, 여자가 1만 5,564명이다
2020.05.28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56.85㎢이며, 인구는 1만 4,128가구에 총 3만 5,393명으로 남자가 2만 524명, 여자가 1만 4,869명이다
2019.05.02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