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517
한자 駕洛洞
영어음역 Garak-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동
면적 19.04㎢
가구수 1,353가구
인구[남, 2,424명[남 1,317명|여 1,107명]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가락동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가락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으로 개편
행정동 가락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는 죽림동·식만동·죽동동·봉림동을 관할하는 행정동.

[명칭 유래]

가락동(駕洛洞)은 기원 전후부터 562년까지 낙동강 하류 지역에 있던 가락국(駕洛國)이 자리했던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조선 시대에는 김해군 가락면(駕洛面)에 속한 지역으로 식만리(食滿里)·죽림리(竹林里)·죽동리(竹洞里)·봉림리(鳳林里)를 관할하였다. 1989년 부산직할시 강서구로 편입되며 가락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가락동낙동강 하류 삼각주 평야의 서북쪽에 위치하여 동쪽은 서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강동동과 접한다. 서남쪽은 조만강을 사이에 두고 녹산동과 마주하며, 서쪽과 북쪽은 경상남도 김해시와 접한다. 낮은 산지인 오봉산이 중심에 있다. 동쪽으로 조만강이 흐른다. 가락동의 북동단 서낙동강에는 하중도인 중사도가 있고, 남동단에는 둔치도가 자리한다. 동 전체가 넓은 삼각주에 자리하며, 곳곳에 하천이 직강화되어 농업용수를 제공하는 수로로 이용된다.

[현황]

가락동은 2023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18.95㎢이며, 인구는 1,269가구에 총 2,171명으로 남자가 1,178명, 여자가 993명이다. 법정동으로 죽림동, 식만동, 죽동동, 봉림동이 있다. 동의 북쪽 경계부로 동서 대로가 통과하며, 서낙동강 변을 따라 가락 대로로 연결되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또 동의 중앙부인 둔치도 북쪽으로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이 동서로 관통하고 가락 나들목이 자리한다. 관내에 가락중학교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가락초등학교 등이 있다. 비옥한 낙동강 삼각주 평야를 기반으로 주민의 75%가량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 소득원은 쌀과 화훼 및 시설 원예 농업이다. 취락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 제한 구역으로 사회 기반 시설은 낙후되어 있으나, 부산 신항 배후 도로 건설과 주변 지역 개발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09.23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10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인구는 1,405가구에 총 2,560명으로 남자가 1,391명, 여자가 1,169명이다
2020.05.28 현행화 2019년 12월 말 현재 면적은 19.04㎢이며, 인구는 1,413가구에 총 2,661명으로 남자가 1,425명, 여자가 1,236명이다
2019.05.02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09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