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223
한자 老圃洞
영어의미역 Nopo-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북면 노포리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동래군 북면 노포리가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66년 -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 노포동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동래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8년 - 금정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노포동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으로 개편
법정동 노포동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노포(老圃)란 오래된 채전[밭]이란 뜻으로, 농사를 잘 짓는 농부 또는 경험이 많은 늙은 농부를 의미한다. 즉 농토가 풍부한 마을 혹은 농사가 잘되는 마을이라서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또 다른 설로는 노포 마을 뒤쪽 당산이 쥐가 채전에 먹이를 구하러 내려오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늙을 노(老)’ 자와 ‘채전 포(圃)’ 자를 쓴 것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노포동(老圃洞)『동래부지(東萊府誌)』[1740]의 기록에 따르면 북면 작장리소산리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영남읍지(嶺南邑誌)』[1895]의 『동래부 사례(東萊府事例)』에는 북면 노포리와 작장리로 기록되어 있으며, 『동래군지』[1937]에는 작장리와 소산리의 지명이 보이지 않은 대신 노포리가 등장하고 있다. 1910년 동래부에 속하였고, 1914년 동래군 북면 노포리가 되었으며,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어 북면출장소에 속하였다. 1966년 노포동이 되었고, 1975년 동래구로 편입되었다가 1988년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이 되었다. 1999년 청룡동노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청룡노포동이 설치되었다.

[자연 환경]

금정구의 북쪽에 위치하며, 북서쪽으로 경상남도 양산시, 서쪽으로 청룡동, 동쪽으로 두구동과 접한다. 서쪽에는 금정 산지의 계명봉(鷄鳴峰)[602m]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계명봉에서 이어진 산줄기가 청룡동과의 경계를 이룬다. 계명봉수영강, 온천천과 낙동강으로 유입하는 소하천의 분수계를 이룬다. 북쪽에는 양산과 교통로 역할을 하는 지경 고개[조선 시대에는 사배현으로 부름]가 있으며 이곳으로 경부 고속 도로가 지난다. 서쪽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수영강과 합류하는 유역에 넓은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현황]

노포동은 울산과 양산 방면으로 가는 도로와 경부 고속 도로가 있고 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 지하철 시발지인 차량 기지창이 위치하는 등 교통의 중심지이다. 많은 지역이 개발 제한 지역에 속하여 벼농사 중심의 농업과 화훼 농업이 이루어진다. 지하철 노포동역 앞에는 2일·7일에 열리는 5일장인 오시게장이 열린다. 조선 시대 동래 읍성에서 열리던 장시가 여러 곳을 거쳐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노포동의 행정동은 청룡노포동이다. 자연 마을로 노포 마을, 작장 마을, 대룡 마을, 녹동 마을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