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368
한자 老圃洞遺蹟住居址
영어의미역 Dwelling of Nopo-dong Remain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142-1|142-2|142-4|142-5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동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거지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5년연표보기 - 부산직할시립박물관·부산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5년 1월 11일~6월 30일연표보기 - 경남발전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실시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142-1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142-2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142-4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142-5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

[개설]

노포동 유적 주거지는 삼한 시대의 무덤군 가운데에서 확인되었다. 노포동 유적은 동쪽으로 수영강이 흐르고, 앞으로는 충적지가 펼쳐져 있어 사람들이 살기에 좋은 환경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는 방형, 장방형, 원형 등의 형태가 있으나, 금정구 노포동에서는 주로 방형과 장방형의 주거지만 확인된다. 또한 청동기 시대 취락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은 마을의 방호와 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환호(環濠)나 광장, 저장 시설 등의 여러 시설들이 있는데, 노포동 유적 주거지는 파괴가 심해 이러한 시설들이 확인되지 않는다.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청동기 시대 주거 유적은 반여동 고분군, 노포동 유적, 방곡리 고분군, 미음동 분절 고분군 등이 있다. 한편 노포동 유적 주거지는 아주 이른 단계의 유구는 확인되지 않으며, 삼한 시대 무덤군에 의해 파괴가 심해 정확한 성격을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청동기 시대부터 삼한 시대까지의 유적들이 연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위치]

노포동 유적 주거지는 야산[125m] 북서쪽 경사면의 60~90m 사이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85년 부산직할시립박물관과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삼한 시대 무덤 연구를 위한 학술 조사의 일환으로 공동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삼한 시대 무덤군 중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 2동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직립 구연 대형호(直立口緣大形壺) 1점, 구순 각목 발형 토기(口脣刻目鉢形土器)[골아가리 바리 모양 토기], 석촉, 미완성 반월형 석도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한국도로공사가 노포 IC 구간 설치를 하기에 앞서 2005년 1월 11일부터 6월 30일까지 경남발전연구원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주거지 10동이 확인되었고, 유물은 민무늬 토기 발, 반월형 석도 등이 출토되었다.

[현황]

노포동 유적은 청동기 시대 주거지뿐만 아니라 삼한 시대 무덤 등이 대규모로 밀집 분포된 유적이다. 1996년 5월 25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노포동 유적 가운데 하나인 노포동 유적 주거지에는 현재 지하철 차량 기지와 노포 IC 등이 들어서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복원과 연구를 위한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