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노포동 대룡 돌널무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530
한자 老圃洞大龍-
영어의미역 Daeryong Stone-coffin Tomb in Nopo-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산77|81-4|82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동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덤
양식 구덩식 돌널무덤
크기 묘광 : 97㎝[길이], 42㎝[폭]|석곽 : 85㎝[길이], 15㎝[폭]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함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산77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81-4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82
출토 유물 소장처 부산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2동 산3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대룡 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돌널무덤.

[위치]

노포동 대룡 돌널무덤금정구 노포동경부 고속 도로와 노포동~울산 간 국도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야산의 정상부 가까운 능선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7년 언양~부산 간 경부 고속 도로 확장 공사를 할 때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이 구간에 대한 문화 유적 지표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은 없었지만 주변에서 민무늬 토기편이 채집된 점이나 제반 특징을 고려했을 때 청동기 시대의 돌널무덤일 가능성이 크다.

[형태]

돌널무덤은 묘광의 길이 97㎝, 폭 42㎝이며, 석곽 내부는 길이 85㎝, 폭 15㎝로 매우 작은 편이다. 양쪽 단벽의 벽석은 없어진 상태였으며, 남북 장벽은 일부가 남아 있는 상태였다. 규모로 보아 유아용 또는 굴장이나 2차장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출토 유물]

돌널무덤 주변에서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 토기편이 채집되었다.

[현황]

경부 고속 철도가 노포동 대룡 돌널무덤의 지하를 관통하고 있으며, 경작지로 이용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인돌과는 성격상 구분되는 청동기 시대의 돌널무덤이며, 돌널무덤은 군집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이 일대에 같은 시기의 유적이 분포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