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224 |
---|---|
한자 | 老圃- |
영어의미역 | Nopo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마을1길 12[노포동 252] 노포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진모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노포(老圃)란 오래된 ‘채전[밭]’이란 뜻으로, 농사를 잘 짓는 농부 또는 경험이 많은 늙은 농부를 의미한다. 즉 농사가 잘되는 마을, 다른 곳에 비해 농토가 풍부한 마을이라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 다른 설로는 노포 마을 뒤쪽 당산이 쥐가 채전에 먹이를 구하러 내려오는 형상을 하고 있어 ‘늙을 노(老)’ 자와 ‘채전 포(圃)’ 자를 쓴 것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노포 마을이 속한 노포동에는 청동기와 삼한 시대의 복합 유적지인 노포 고분군이 있어 거주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지명 확인은 늦다. 노포 마을이 속한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작장리로 나타나고, 『영남읍지(嶺南邑誌)』[1895]의 『동래부 사례(東萊府事例)』에서는 북면 노포리, 작장리가 기록되어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노포리에 유씨(柳氏) 1호, 김씨(金氏) 4호, 공씨(孔氏) 1호, 정씨(鄭氏) 4호, 정씨(丁氏) 1호, 오씨(吳氏) 1호, 송씨(宋氏) 1호, 양씨(梁氏) 8호, 최씨(崔氏) 2호, 강씨(姜氏) 2호, 문씨(文氏) 2호, 서씨(徐氏) 1호, 박씨(朴氏) 3호, 윤씨(尹氏) 1호, 곽씨(郭氏) 1호 등 34호가 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정씨가 1550년경의 입향조로 알려져 있다.
1963년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속하였다가 1975년 동래구로 편입되었고, 1988년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노포 마을이 되었다. 1999년 청룡동, 노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청룡노포동이 설치되었다. 노포동의 본동 마을은 작장 마을이었으나, 부산~울산 간 국도 7호선이 들어서며 노포 마을이 본동 마을로 변화되었다.
[자연 환경]
노포 마을 서쪽은 산지, 동쪽은 평지이다. 서북쪽 야산에는 부산컨트리클럽 진입로가 위치해 있는데, 그 인근 산지에 노포 고분군[노포동 142-1·2번지]이 있다. 산지의 정상부는 높이 114.8m로 비교적 낮고 평탄하며, 정상부를 중심으로 고분의 봉분이 드문드문 솟아 있고 주변에 석재들이 흩어져 있다. 마을의 동쪽으로 큰 들이 있었는데 현재는 스포원 파크[금정 체육공원]가 들어서 있다. 사배야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소하천이 마을의 남쪽으로 길게 흐르며 동류하여 수영천으로 유입된다. 또한 양산 물금에서 취수한 낙동강 물이 금정산 터널을 통과하여 노포 마을에서 방류되어 오륜대 수원지로 들어가고, 일부는 계명산(鷄鳴山) 아래로 통과하여 범어천(梵魚川) 상류에서 방류되어 범어천 하류를 정화시키고 있다.
[현황]
노포 마을 인구는 2012년 4월 현재 181가구에 총 446명으로 남자가 247명, 여자가 199명이다. 자연 마을의 형태가 잘 유지되어 와가(瓦家)가 많이 남아 있다. 서쪽은 완만한 경사지로 개발 제한 구역에 속하며, 동쪽은 약간의 평지가 이어지며 논과 과수원, 양어장, 화훼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주변에 남광 사회 복지원·스포원 파크·부산컨트리클럽·노포산성·계명 봉수대·노포장·농수산물유통공사 등이 있으며, 경부 고속 도로 노포동 나들목·부산 종합 버스 터미널·노포동 공영 주차장·1호선 전철 종점·국도 7호선이 마을 옆으로 지나고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