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121
한자 城北-
영어의미역 Seongbuk Village
이칭/별칭 북문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성북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성북리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성북리에서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성북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성북리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성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성북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성북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성북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성북리의 동쪽 입구가 가덕진성(加德鎭城)의 북문이다. 가덕진성 북문 부근에 있는 마을이라 북문 마을이라고도 하고, 마을이 성 안쪽에 있어 성안 마을이라고도 불렀지만 통칭하여 성북(城北) 마을이라 부른다.

[형성 및 변천]

성북 마을이 있는 가덕도 곳곳에 선사 시대 조개더미[貝塚]와 고분군 등이 발견되어 일찍부터 마을이 이루어졌으리라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 이곳에 가덕진(加德鎭)천성 만호진(天城萬戶鎭)이 설치되었다. 1906년 웅천군(熊天郡) 천성면가덕면으로 나누어졌다가 1908년(순종 2) 웅천군 천가면으로 통합되었다. 천가라는 이름은 천성 만호진가덕진의 머리글자를 딴 합성 지명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천가면창원군에 편제되면서 눌차리·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 의창군에 속하였다가 1989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강서구 성북동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성북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성북 마을 북동쪽에 해안 모양이 낫의 날과 같다고 하여 날카질이라 부르는 곳이 있고, 북쪽에 갈마봉이 있다. 서쪽에는 구곡산이 있으며, 남쪽에는 성북 소류지와 천성치(天城峙)가 있다.

[현황]

성북 마을은 행정동인 가덕도동 2통 지역으로 성북동의 본 마을이다. 이곳에는 1544년(중종 39)에 세운 가덕진성 터[加德鎭城址]가 있다. 가덕진성은 가덕 포구로부터 약 2㎞ 거리에 있었는데, 당시의 공공 기관과 민가를 에워싸는 형태로 축성되었다. 성의 사방 중앙 상부에서 성문 터가 확인되며, 성문 좌우에는 정방형(正方形)의 곡성을 설치하고 성 밖은 100m 간격을 두고 방위 방책을 설치하였던 흔적이 보인다. 현재는 성의 동남쪽 성축 일부만 남아 있다.

성북 마을덕문중학교 자리에는 조선 후기까지 군사용 병기인 칼, 창, 활촉을 만드는 가덕도 조선시대 병기공장 곳집이 있었다. 곳집[倉庫]은 두 채로 50여 평[165.29㎡] 정도 되는데, 조선 후기 왜병들이 침입하여 파괴하려 하였지만 우리 군사들이 완강하게 저항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우리 군대가 무장 해제될 때 이곳도 폐쇄되었다. 특히 이곳은 ‘가덕 탕건’이라는 탕건 제조로 유명하였다.

천성동사무소 앞 빈터에는 조선 시대 이곳을 다스렸던 수군절제사들을 기리는 송덕비 군이 있다. 1869년(고종 6)에 세운 ‘절제사 오후 신묵 영세불망비(節制使吳侯信墨 永世不忘碑)’, 1886년(고종 23)에 세운 ‘절제사 이후 우성 영세불망비(節制使李侯雨成 永世不忘碑)’, 1889년(고종 26)에 세운 ‘절제사 이후 두용 영세불망비(節制使李侯斗鎔永世不忘碑)’와 ‘절제사 한후 미만 영세불망비(節制使韓侯彌萬鎔世不忘碑)’가 있으며, 기미년 독립 만세 운동[1919년 4월 13일]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여 독립운동가 김근도의 흉상이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다.

마을 중앙에는 수백 년 된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곳이 바로 사정(射亭)이라 하여 조선 시대 활을 쏜 곳이라 전한다. 지금은 어린이 놀이터로 변하였다. 1950년 이전에는 가덕도에서 혼인이 대부분 도민들 사이에서 이루어져서 많은 여자가 택호를 ‘성북댁’ 등으로 썼다. 마을은 가덕도동의 행정·교육 중심지로 가덕도동주민자치회, 천가파출소, 천가우체국, 천가보건지소, 농촌지도소[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등이 있는 중심 마을이다. 덕문중학교, 덕문고등학교, 가덕교회, 천가초등학교, 성북 소류지가 있다. 주민 자치회 사무실은 1957년 건립되어 35년간 행정 업무를 보다가 1991년 지금의 형태로 신축되었다. 가덕도는 해안의 기후 여건으로 일반 주곡 작물 재배가 어려워 주로 양파를 재배하는데, 수익성이 높아 주민 소득의 50%를 넘어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