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북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120
한자 城北洞
영어의미역 Seongbuk-dong
이칭/별칭 성안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성북리
변천 시기/일시 1989년 - 경상남도 창원군 천가면 성북리에서 부산직할시 강서구 성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강서구 성북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으로 개편
법정동 성북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법정동.

[명칭 유래]

가덕진성 북문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성북’이란 이름이 붙었는데, 성 안쪽에 있어 성안 마을이라고도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 웅천군에 속하였다가 천성면과 가덕면으로 구분되었으나 1908년 천가면으로 통폐합되었다. 1914년 천가면이 경상남도 창원군에 통폐합되면서 눌차리·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1989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강서구 성북동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성북동은 동으로는 눌차동동선동, 남으로 천성동에 접한다. 가덕도의 북서쪽에 있어 북쪽은 바다와 접해 있고, 남쪽으로 삼박봉[311m]과 구곡산[236m], 갈마봉 등의 산지가 있다. 이곳 산록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침식 분지를 이룬다. 산지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하천은 바다로 흘러들었으나 지금은 부산 신항만 부지로 대부분 복개되어 있다. 서쪽 해안에는 암석 해안으로 고직말(古直末)이 있다.

[현황]

성북동은 바다에 연한 북쪽에 부산 신항이 입지하여 급속한 지역 변화가 나타난다. 눌차동, 대항동, 천성동, 동선동과 함께 행정동인 가덕도동의 관할 하에 있다. 자연 마을로는 선창 마을, 성북 마을, 율리 마을, 장항 마을이 있다. 가덕도동주민센터, 천가파출소, 천가우체국과 천가초등학교, 덕문중학교, 덕문고등학교 등 교육기관이 있어 가덕도동의 교육·행정 중심 기능을 하고 있다. 성북동성북동·가덕도동의 관문으로 예부터 가덕도와 용원을 잇는 도선의 기점이 있던 곳이다. 이곳에 거가 대교가 지나면서 도선 기능은 없어졌다.

유적으로 가덕진성 터, 성북 고분군, 가덕도 성북 왜성 터, 오신묵 영세불망비, 이두용 영세불망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