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51
한자 加德鎭城-
영어의미역 Site of Gadeokjinseong Fortress
이칭/별칭 가덕진성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길338번길 1[성북동 407]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성곽 터
관리자 부산광역시청 강서구청
건립 시기/일시 1544년연표보기 - 건립
폐지 시기/일시 1895년 - 군제 개혁 때 폐지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6년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407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가덕도에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쌓은 가덕진성의 터.

[변천]

가덕진성은 1544년(중종 39)에 사량진에 왜구들이 침입하자,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가덕진을 설치하고, 성을 쌓아 수군첨절제사가 주둔하면서 가덕도 전체를 지키고 다스렸던 곳이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함락되었다. 1656년(효종 7)에 성곽을 재정비하여 가덕진성이 복구되고 가덕진이 안골포에서 가덕도로 돌아왔다. 1760년(영조 36년) 가덕진에 첨사를 두었다는 기록이 『웅천현 읍지(熊川縣邑誌)』에 나와 있다. 1895년 군제 개편으로 가덕진성은 폐지되었다.

[위치]

가덕진성 터가덕도 선창 포구로부터 1.5㎞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6년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문 터와 방위를 위한 방책의 흔적이 남아 있다. 사방의 중앙 상부에 성문 자리가 확인되며,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성 밖은 10m 해자(垓字)를 설치한 흔적을 볼 수 있다. 총길이는 약 800m이고, 높이는 2.3m 정도의 규모이다. 성 동쪽의 병기 공장이 있던 곳에서 칼, 창, 화살촉이 수습되었다.

[현황]

가덕진성의 안팎으로 공공 기관과 민가가 꽉 들어차 있어서 대부분 파괴되었고, 천가초등학교덕문중학교의 담벽에서 성곽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천성동사무소 앞에는 수군절도사를 기리는 송덕비가 있다. 강서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가덕진성은 산꼭대기에 있는 왜성과 달리 백성들을 보호할 수 있는 시설로, 민가와 관청에 접해 있는 성곽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