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484 |
---|---|
한자 | 東萊遺族會 |
영어의미역 | Dongrae Bereaved Family Associ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진 |
[정의]
1960년 부산 동래 지역 국민보도연맹 학살 사건 피해자들의 유족이 결성한 유족회.
[설립 목적]
동래유족회는 국민보도연맹 학살 사건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가족의 유해 수습과 명예 회복을 위해 결성하였다.
[변천]
1960년 9월 5일 김세룡[당시 53세], 한원석[당시 59세], 추월량(秋月亮)[당시 56세], 송철순[당시 29세] 등 4명은 경상남도 동래군 복천동[현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대동 인쇄소에서 동래유족회를 결성하고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5·16 쿠데타가 터지면서 유족회 간부들은 혁명 재판에 회부됐고 조직도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동래유족회는 결성 직후 유족회 가입 신청서 4,000매를 만들어 지역 내에 배포하는 한편, 피해자 신고를 접수받아 360명의 명단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회동 수원지와 동래 컨트리클럽[현 동래 베네스트 골프 클럽] 등에서 유골 발굴을 했고 713구에 이르는 유골을 찾아냈다. 1960년 10월 22일 부산시 연제구 거제동[현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화지산 정상 부근에 합동 묘지를 조성하고 피해자 360명의 명단이 적힌 위령비를 건립하였다. 6일 뒤 같은 장소에서 유족과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합동 위령제를 거행하였다. 또 서울에서 국회 의장을 만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현황]
동래유족회 총무로 5·16 혁명 재판부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고 3년을 복역하였던 송철순은 2000년 12월 15일 부산일보사 10층 강당에서 창립한 ‘6·25 피학살양민 부산경남유족회[부경유족회]’ 초대 회장을 맡아 약 3년간 활동하였다. 6·25 피학살양민 부산경남유족회는 2009년 12월 부산에서 국민보도연맹 유족회가 별도로 결성되면서, 부산형무소 재소자 학살 사건 유족들과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래유족회는 1960년 당시 부산·경상남도 지역에서 금창유족회, 마산유족회 등과 더불어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유족회였다. 유족회가 대규모 합동 묘지를 조성하고 위령제를 거행한 것은 드문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