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736
한자 福泉洞
영어의미역 Bokcheo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개설 시기/일시 1942년 - 부산부 동래출장소 복천리가 됨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부 동래출장소 복천리에서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복천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복천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으로 개편
법정동 복천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복천동(福泉洞)의 지명은 이곳에 있던 우물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동래읍성 안에 6개의 우물이 있다는 기록이 있고, 대한제국 말의 기록에는 옥미정동·대정동·야정동 등의 우물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 동래부 읍내면 옥미정동(玉未井洞)이었다. 1942년 부산부 동래출장소 복천리가 된 뒤, 1946년 부산부 동래출장소 복천동으로 바뀌었다. 1957년 구제(區制)가 시행되면서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이 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 동래구 복천동, 1995년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이 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자연 환경]

복천동의 북동쪽은 마안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에워싸고 있으며 마안산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지 능선에 북문과 서장대가 축조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북장대에서 이어진 산지가 부산 복천동 고분군을 따라 연결되다가 학소대(鶴巢臺)에서 조그만 야산을 이룬다. 학소대는 ‘학의 둥지’라는 의미로 대조 포란형의 풍수 형국과 관련이 있다.

[현황]

복천동동래구의 중앙에 위치한다. 북으로는 명륜동, 동으로는 칠산동, 남으로는 수안동에 접한다. 조선 시대 이곳에 있던 동래읍성 내의 서쪽 지역에 해당된다. 북동쪽에는 부산 복천동 고분군과 부산복천박물관이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은 삼국 시대 수장급의 무덤으로 이곳에 형성된 부족 국가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부산복천박물관에는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조선 시대 동래 읍치가 있던 곳이기 때문에 읍성 관련 역사 유적이 많다. 북으로는 성곽과 함께 북장대와 북문, 서장대가 복원되어 있다. 북문 광장에는 동래읍성 역사관이 있다. 동래 시장은 과거에 객사가 있던 곳으로 가까이에 송공단(宋公壇)이 있다. 동헌과 장관청동래 시장 내에 현존하고 있다. 법정동인 복천동칠산동과 함께 행정동인 복산동의 관할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