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4429 |
---|---|
한자 | 現代 |
영어의미역 | Contemporary Times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하유식 |
[정의]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산 지역의 역사.
[개설]
부산은 부산부(釜山府)로 해방을 맞이하였다. 1949년 8월 부제(府制)가 시제(市制)로 변경되면서 부산시로 개칭되었다. 부산은 6·25 전쟁 발발 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임시 수도로서 대한민국 정치·경제·행정의 중추 역할을 하였다. 전쟁 전 47만 여 명이었던 인구는 1951년에 84만 여 명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피난민이 대략 40만 명이나 되었다. 1955년에 이르러 부산 인구는 100만 명을 넘었다.
1963년에 정부 ‘직할시’로 승격하였다. 이후 급격하게 팽창하여 1960년대 중반 부산의 인구는 150만 명으로 늘어났다. 1970년대에는 경제 발전과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인구가 점차 급증하기 시작하여 1972년에 200만 명을 넘겼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경부 고속 국도와 남해 고속 국도가 1970년과 1973년에 개통되었다. 김해 국제공항이 1976년에 개설되어 다른 지역과의 연결망도 빠르게 구축되어 갔다. 1978년 행정 구역 확장으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고, 1979년에 이르러 300만 명을 넘겼다. 1983년 경상남도청이 창원시로 옮겨갔다. 1989년에는 인구 400만 명을 수용하는 세계적 도시로서의 위상을 갖추었다.
1995년에 ‘부산광역시’로 재편되었다. 부산광역시 청사는 1998년 2월 중앙동 시대를 마감하고 부산광역시 연제구 새 청사로 이전하였다. 인구는 1990년대 중반 약 400만 명 안팎에 달했다가 2000년 이후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2010년 11월 기준 부산 인구는 341만 4950명이다. 1996년 9월 13일에 첫 ‘부산 국제 영화제’가 개최되어 한국의 대표적인 국제 영화제로 자리 잡았다. 2002년 5월 31일에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하였고, 2005년 11월에는 ‘APEC 정상 회담’을 개최하는 등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 하고 있다.
[정치]
1. 해방~1950년대
해방 직후 1945년 8월 1일에 건국준비위원회 부산지부가 발족되었다. 건국준비위원회는 한글판 신문을 발행하고 우리말 방송을 하였으며 귀환 동포의 귀환을 돕고 구호 활동을 전개하였다.
부산에 진주한 미 제24군단 제6사단은 경상남도청과 부산부청 등 관공서와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등을 접수하고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였다. 미군정은 1945년 9월 17일 부산 시장에 존 P. H. 케리 소령을 임명하여 군정을 실시하였다. 이어 1945년 11월 26일에 최초의 한국인 부산부 윤으로 양성봉(梁聖奉)이 임명되었다.
1948년 5월 10일의 제헌 국회 의원 선거에서 부산 지역 국회 의원으로 당선된 인물은 문시환(文時煥), 허정(許政), 한석범(韓錫範), 박찬현(朴璨鉉)으로 우파 인사였다. 1950년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중도 좌파 인사 장건상(張建相)과 김칠성(金七星)을 비롯하여 무소속의 김지태(金智泰), 정기원(鄭基元), 최원봉 등이 당선되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부산은 임시 수도가 되었고, 정부 청사가 경상남도청에 설치되었다. 부산시 청사에는 각종 행정 기관, 부산지방법원에는 사법부, 부산 극장에는 국회가 자리 잡았다. 3년의 부산 임시 수도 시기 동안 국민방위군 사건, 거창 양민학살 사건, ‘부산 정치 파동’, 정부통령 선거, 지방 자치제 선거 등의 중요한 정치적 사건과 일들이 연이어 발생하였다.
1952년 4월에 실시된 부산시 의회 선거에서 8개 선거구 35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 대부분 무소속이 당선되었다. 역시 1956년의 제2대 지방 의회 선거에서도 이러한 양상은 나타나 부산시 의회 29명 가운데 4명을 제외한 25명이 무소속이었다. 이후 개발 독재를 지향했던 5·16 군사 정부에 의해 지방 자치제는 사라지게 되었다.
1954년의 국회 의원 선거는 지방 의회 선거와는 달리 김지태, 정기원, 이영언(李榮彦), 김동욱, 전진한 등 이승만(李承晩) 계열 인사들이 전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58년의 제4대 국회 의원 선거는 다른 양상이었다. 2명을 제외하고는 8명이 모두 민주당 소속이었다. 4·19로 다가갈수록 이승만 정부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도가 점차 하락하였던 것이다.
2. 4.19 혁명~1978년
3·15 부정 선거와 이승만 독재에 대해 부산 시민들은 강력하게 저항하였다. 이에 대해 경찰은 부산진경찰서 앞에서의 총격을 시작으로 무력으로 진압하려 하였고 격분한 학생과 시민들은 경찰서를 습격하였다. 4·19 혁명으로 부산에서 19명이 사망했으며 약 17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이후 실시된 1960년 7·29 총선에서 부산 지역은 민주당 의원들이 모두 당선되었다.
부산은 1963년 직할시로 승격된 후 행정 구역 확장, 인구 증가, 공무원 정원 폭증 등의 현상과 함께 정치면에서도 많은 변동이 있었다. 5·16 군사 쿠데타 후 처음 실시된 1963년 11월의 제6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7명 중 6명이 박정희(朴正熙)의 공화당 소속이었다. 그런데 1967년의 제7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은 2명만 당선되었고, 나머지 5명은 야당 인사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는 야도(野都) 부산이라는 말을 본격적으로 회자시킨 선거였다.
1969년 3선 개헌안 국민 투표에서 부산은 서울 48.2%에 이어 58.6%의 낮은 찬성률이 나왔다. 3선 개헌에 따라 실시된 1970년 5월의 제8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부산은 신민당이 6개 의석을 차지한 반면 공화당은 2석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부산이 야도라는 것을 한 번 더 입증한 셈이다.
1978년 제10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부산은 5개 선거구 10개 의석으로 조정된 가운데 부산직할시 영도구[현 부산광역시 영도구]를 제외한 전 선거구에서 신민당이 1위를 했고, 공화당이 2위를 하였다. 이처럼 유신 체제에 대한 민심 이반 현상은 부산에서도 현저히 나타나고 있었다.
3. 1979년 이후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에서 마침내 유신 체제와 긴급 조치에 대한 저항 시위가 발생하였다. 부산 지역 대학생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수만 명이 시위대를 이루어 도심 시위를 전개하였다. 1979년 10월 26일 유신 체제가 무너진 후 치러진 1981년 제11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부산은 6명의 여당 의원과 7명의 야당 의원이 당선되었다. 1985년 2월의 제1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야당인 신민당 소속 후보가 6개 선거구에서 전원 당선되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기간 부산에서는 연일 가두시위가 전개되었다. 6월 민주 항쟁의 민주화 물결은 7~9월 노동자 대투쟁으로 이어졌다. 1988년 제13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부산은 금정구를 제외한 14개 선거구에서 야당 통일민주당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90년 3당 합당 이후 실시된 제14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1석을 제외한 전 선거구를 여당인 민자당 후보들이 석권하였다.
1995년 6월 단체장 선거를 포함하는 제1회 동시 지방 선거가 실시되면서 지방 자치가 부활하였다. 부산은 직할시라는 명칭을 벗고 부산광역시로 탈바꿈하였다. 부산광역시장에는 민선 초대 시장으로 민자당 소속 문정수(文正秀)가 유효 투표의 51.4%를 얻어 당선되었다. 시의원 61명 중 54명, 16개 구청장 중 14명이 여당인 민자당 소속이었다. 이러한 여당의 싹쓸이 구도는 1996년부터 2010년까지 치러진 역대 국회 의원 선거와 동시 지방 선거에서도 변함없이 나타났다. 이러한 여당 세력 편중의 정치 구도는 부산 지방 정치 발전을 위해서 앞으로 부산이 해결해야 할 중대한 과제이다.
[경제 구조]
1. 해방~1950년대
1945년 8월 일제가 패망하면서 일본인 자본과 대외 의존적인 원료 및 시장 구조는 붕괴되었다. 자본과 기술이 부족해 공장 운영에 한계가 많았고, 부산 경제 전체가 운영 부진 상태에 빠져 있었다. 1947년에 들어 해외로부터 원료 공급이 이루어진 고무, 섬유 등과 국내에서 원료 조달이 가능했던 목재 분야에서 가동이 재개되고 새로운 기업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6·25 전쟁기에는 부산이 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점과 원조 및 무역으로 원료 조달이 가능해지면서 기존 업체의 가동률이 높아지고, 새로운 제조업체가 등장하였다. 6·25 전쟁 중 대표적인 부산의 제조업체는 원조 원료를 배경으로 하는 섬유, 제분, 제당 분야 공업이었다. 또한 부산에 집중한 피난민들의 생활필수품 생산업인 연탄, 비누, 식료품 업종과 전쟁 복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재료를 생산하는 목재, 도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하였다.
휴전 후 원조 원료가 본격적으로 수입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분야로의 투자가 급증하였다. 원조 원료 조달 비중이 높았던 섬유 공장과 인견 직물 생산 공장들의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신설 공장도 급증하였다. 1953년 설립된 제일제당에서 생산되는 설탕은 전국의 60%를 차지했고, 이를 원료로 하는 과자 산업도 발달하였다. 제분업은 극동제분, 조선제분 부산 공장, 신한제분, 남선곡산 등으로 국내 생산 능력 40%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1950년대 원조 원료를 배경으로 하는 한국의 ‘삼백 산업’ 붐은 부산이 주도하였다.
1957년 무렵부터 부산 제조업의 과잉 생산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해외 수출을 모색했으나 수출 경쟁력이 낮아 한계가 많았다. 1950년대 삼백 산업의 원조 자금은 생산 시설을 기준으로 배정되었기 때문에 각 업자들은 원조 자금을 많이 받기 위해 무리하게 시설을 확충하였다. 1958년부터 원조 자금이 줄어들자, 1960년 현재 부산의 2차 산업 성장률은 점차 낮아졌고, 생산은 급속히 떨어져 적자를 면치 못하였다.
2. 1960년대 이후
1960년대 초반 기존 섬유와 고무 공업에 의존하던 부산 경제는 신화학 공업과 기계 공업으로 대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중화학 공업에서 1962년 전자 공업을 주도하는 금성사가 온천동에 생산 공장을 확장하였고, 화학 분야에서는 성창기업이 포르마린 공장을 신설하였으며, 제비표 페인트로 유명한 건설화학이 재도약을 시작하였다. 이 결과 1960년대 전반 부산의 주요 공업 구성비를 보면 섬유 분야는 약간 감소하고, 기계와 화학은 조금 상승하였다.
1960년대 후반에는 대우실업 부산 공장, 한창섬유 등 섬유 업체, 기린·우성식품 등 식품 회사가 새로 진입하면서 섬유와 식료품 업체의 강세가 뚜렷해졌다. 기계, 화학 부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1968년 현재 부산 제조업 부가 가치는 전국 비중 22.3%라는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비중은 1970년 41.6%까지 상승하였다.
1973년 정부의 중화학 공업화 선언에 따라 전국이 이 분야로 구조 전환을 시작하고 있을 때, 부산은 기존 섬유, 고무, 합판 등 경쟁력이 떨어지던 노동 집약적 분야에 계속 투자하였다. 동아타이어, 명진고무, 태화고무장갑, 인디안 상표의 세정, 동명목재 등이 대표적인 업체였다. 197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이러한 부산의 공업 구조는 문제점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부산 제조업의 전국 비중은 점차 하락하여, 1975년 27.5%에서 1980년 18.8%로 급속히 하락하였다.
1980년대 부산 제조업은 1950년대부터 시작된 대외 의존형 경공업 중심의 구조가 지니고 있는 모순을 한꺼번에 드러내었다. 1980년에 동명목재와 태창목재가 몰락하였고, 1985년에는 국제그룹이 해체되었다.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에는 부산 고무 공업 또한 몰락하였다. 수도권으로 제조업의 이동이 심해지면서, 부산 제조업 생산액의 전국 비중은 1980년 11.3%였으나 1990년 7.7%, 1995년에는 4.8%로 추락했다.
1990년대 초반 부산 제조업은 거의 파탄에 이르고, 반면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개편되고 있었다. 제조업은 1990년 현재 31.5%에서 2003년 15.5%로 급격하게 하락하였다. 반면 서비스업 및 기타는 55.7%였던 것이 70.6%로 급상승하였다. 부산 제조업의 붕괴는 3차 산업으로까지 확대되어 태화쇼핑·미화당·세원·신세화 등 부산의 전통적인 백화점과 국제종합토건, 자유건설, 해강 등 부산의 중견 건설 업체들까지 부도를 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부산의 제조업 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보였다. 1995년 삼성자동차가 설립되면서 자동차 부품 업체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첨단 기술 집약 공업이 조금씩 등장하면서 부산의 공업 구조가 중화학 공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조금씩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들어 중공업과 관광, 영화 산업으로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역(市域)과 인구]
1. 행정구역 변천
해방 후 부산의 시역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다가 1951년에 중부출장소, 서부출장소, 초량출장소, 영도출장소, 부산진출장소, 동래출장소의 6개 출장소가 설치되면서 변화하였다. 1957년에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종전의 출장소가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로 각각 바뀌었다. 1963년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시역은 대규모로 확장되었다. 이때 동래군의 구포읍, 사상면, 북면과 기장군의 송정리를 편입하여 그 면적이 360.l25㎢로 늘어났다.
1975년 남구가 설치되고, 1978년에는 북구, 1980년에는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되었으며, 1983년에는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되었다. 1988년에 금정구가 동래구에서 분리·신설되었고, 1989년 강서구가 설치되면서 시역은 526㎢로 확장되었다.
1995년에 광역시로 재편되었다. 종전의 동래구 거제동과 연산동을 분리하여 연제구를 설치하였고, 남구의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을 분리하여 수영구를 신설하였다. 또한 종전의 북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사상구를 새로 설치하였다. 경상남도 양산군[현 경상남도 양산시]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기장군으로, 경상남도 진해시 일부를 강서구로 편입하였다. 이에 따라 시역은 748.92㎢로 확대되었다. 2005년 현재 부산의 인구가 전국 총인구의 7.49%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부산의 시역은 763.46㎢로 전 국토 면적의 0.766%에 불과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규모라 할 수 있다.
2. 인구
해방 전 1942년에 33만 4318명이던 부산 인구는 1945년 해방이 되어 일본인이 물러감에 따라 28만 1160명으로 일시 줄어들었다. 1949년 8월 부산시 개칭과 1950년 6월 6·25 전쟁이 반발하자 전국 각지에서 피난민이 몰려들고 임시 수도가 되면서 인구는 급증하여 1951년 84만 4134명이 되었다. 1955년 104만 9363명이 되어 처음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후 1963년 1월 직할시 승격과 행정 구역 확장으로 인구는 136만 630명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경제 발전과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인구는 점차 급증하였다. 1970년에는 184만 2259명으로 불어났고, 1972년에 200만 명을 넘겼다. 1978년 행정 구역 확장으로 김해 일부 지역이 편입되면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났고, 1979년에 이르러 300만 명을 넘겼다.
1980년대 이후 부산은 제조업 부분의 고용 기회 성장률이 감소되고, 전입 인구율의 감소에 따라 인구 증가 속도가 크게 떨어졌다. 1985년 350만 명을 넘겼으며, 1989년 강서구 편입으로 385만 7312명이 되었다. 1995년 1월 광역시 개칭과 3월 행정 구역 확장으로 경상남도 양산군의 5개 읍·면이 편입되면서 인구는 389만 2972명으로 최고점에 달하였다. 이후 경제 침체에 따른 영세 기업의 역외 이전과 출산율 감소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부산 인구는 2000년에 381만 2392명이었고, 2003년 371만 1268명으로 줄어들었다. 최근 몇 년간 계속하여 1.0%대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2005년 10월 말 기준으로 부산의 1일 출생은 72명, 1일 사망은 52명이며, 인구 이동은 1일 2,646명으로 나타났다. 2009년 출산율은 0.94명으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그나마 2010년 출산율은 1.04명으로 종전 전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났고, 1997년 통계 이래 출산율 최하위 도시라는 오명에서 벗어났다. 2010년 11월 현재 부산 인구는 341만 4950명이다. 부산의 인구 과밀성은 6개 광역시 가운데서 첫 번째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