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019 |
---|---|
한자 | 歷史 |
영어의미역 | Historic Period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섭 |
[정의]
부산의 역사 시대에 대한 전반적인 개관.
[고대]
부산은 고대로부터 거칠산국(居漆山國)으로 불리는 소국이 등장하여 지금의 부산광역시가 되기까지 거의 2000년 가까이 도시 발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해운대의 중동 유적과 좌동 유적에서 후기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유물이 발견되어 부산 역사의 시작이 이미 선사 시대부터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부산 동삼동 패총을 통해 신석기 유적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기원 전후 시기부터 기원후 4세기에 해당하는 부산 동래 패총이 발견되어 이 지역의 역사를 더욱 풍부히 하고 있다.
부산의 고대 역사에서 주목되는 것은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魏書東夷傳)에 보이는 변진독로국의 존재이다. 변진독로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거제도라는 설도 있으나, 대체로 부산이라는 데 대체로 수긍하는 편이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도 “독로국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왜와 접하고 있었다”라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부산 복천동 고분군의 존재는 중요하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에서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그중에서도 덩이쇠를 포함한 많은 양의 철기 유물이 주목을 끈다. 대규모의 철제 유물을 통해 당시 이 지역 지배자의 위상을 살필 수 있다. 특히 고리 자루 큰 칼[環頭大刀]·금동관·굴대두겁[筒形銅器]·미늘쇠 등의 출토는 부산 복천동 고분군에 묻힌 자의 높은 위상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에서는 거칠산국이라는 국명이 보인다. 거칠산국은 독로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삼국 시대가 열리기 이전의 삼한 시기에 부산 지역에는 거칠산국이라는 소국이 존재하였고, 거칠산국은 아마도 부산 복천동 고분군과 같은 고분을 축조하던 정치 세력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삼국사기』 권34, 잡지3 지리1 동래군조에 의하면, 신라 경덕왕 이전의 동래는 거칠산군이었다. 지금의 부산권역에 포함되어 있는 부산진구 당감동의 동평현은 대증현(大甑縣), 기장현은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으로 각각 불렀다. 아마도 이들 고을 명칭은 신라 중고기부터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의 부산 진출은 아마도 광개토왕의 남정을 계기로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고구려의 남정으로 가야 지역은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되었고, 그 결과 가야 제국의 맹주였던 금관가야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부산 지방의 경우 5세기에는 고분의 규모가 커지고 그 안에 유물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그 유물들은 경주에서 직접 받거나 경주 지방의 것을 그대로 모방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신라가 이 지역의 소국들에게 문물을 지원하고 대내적 통치권을 보장하여 가야 제국의 팽창을 저지하고 견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하였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래의 거칠산국도 신라의 영향권 아래에 들어갔을 것으로 여겨진다.
눌지 마립간 때인 5세기 전반기에 지금의 양산인 삽량주가 신라의 영토에 들어갔음을 당시 박제상의 직책이 삽량주간(歃良州干)이었음을 통해 알 수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의 유물들이 신라 계통으로 바뀌는 5세기 중반에 이르러 신라의 직접 지배에 들어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과정 속에 거칠산국은 서서히 그 명맥을 상실하고 신라의 거칠산군으로 편제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6세기 초에는 아직 거칠산군이 설치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며, 6세기 중엽까지도 남산 신성비[진평왕 13, 591]에서처럼 촌락의 유력층을 군 단위로 구분하는 것은 전 지역에 걸쳐 일반화되지 않았다는 것으로 보아 거칠산군의 설치는 더 뒤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지배는 촌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영일 냉수리 신라비[503]에 의하면 이미 촌주(村主)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으며, 울진 봉평 신라비[524]에 의하면 아대해촌·갈시조촌·남미지촌에 촌사인(村使人)의 존재가 보이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촌사인은 지역민 출신의 재지 유력자로서 중심촌과 자연촌 또는 자연촌과 자연촌을 연결하는 구실을 하였으며, 자연촌에 대한 국가 권력의 침투가 본격화되면서 편성된 직제로 보고 있다.
따라서 당시 부산 지역에도 6세기 초반 단계에 신라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촌사인과 같은 존재를 상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신라의 중앙 집권 세력은 부산 지역의 유력자로 하여금 촌사인의 구실을 맡게 하여 국가의 역역(力役) 동원, 조세 수취 등 국가적으로 필요한 일을 맡겼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부산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진출은 신라의 가야 병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질 것이다. 가락국[금관가야]은 대가야나 아라가야와 달리 532년에 자진하여 신라에 투항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가야의 투항은 부산 지역에 거칠산군의 설치 가능성을 더욱 높이며, 6세기 중엽 이후가 되면 명활 산성비에서 보듯이 군(郡)의 존재가 분명히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즈음부터 각 지역에 군의 설치가 확대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6세기 말에 이르면 거칠산군의 설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남산 신성비에 의하면 몇 개의 성촌(城村)이 하나의 군을 단위로 역역을 편성하고, 각 성촌에서 역역을 동원한 인물은 ‘군상촌주(郡上村主)’와 ‘군중상인(郡中上人)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성촌 단위에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며, 촌주를 통한 지방 행정이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단계에 부산 지역의 각 촌락은 각 지방관을 매개로 하여 신라의 직접적 지배하에 들어갔을 것이다. 거칠산군에 소속된 현은 대증현과 갑화량곡현이다. 아마도 거칠산군에 소속된 대증현이나 갑화량곡현은 대증성[촌]이나 갑화량곡성[촌]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크다. 대증성[촌]이나 갑화량곡성[촌]은 각 지역의 중심 촌으로서 나두(邏頭)나 도사(道使)가 파견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특히 대증현과 갑화량곡현은 해안 지역에 위치한 변방이므로 군사적 기능이 강조되었다면, 나두와 같은 지방관이 파견되었을 것이다.
[통일 신라 시대]
7세기 말에 이르러 행정 단위로서 군의 기능은 더욱 강화되었고, 경덕왕 대에는 동래군으로 개칭하기에 이른다. 동래군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23 동래군 형승(形勝)조의 표현대로 “땅은 해안가에 있고 대마도와 가장 가깝다”라고 하였듯이, 해안 방어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군을 설치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동래군 태수는 동평현과 기장현을 양 날개로 하여 동남방의 군사적 방어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였을 것이다.
동래군이 있던 군의 치소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3 동래현 고적조에 의하면 “해운포에 옛 읍성이 있는데, 동남쪽은 돌로 쌓았고 서북쪽은 흙으로 쌓았는데 둘레가 약 1.34㎞[4430자]였다”라고 하여 해운대 쪽에 고읍성(古邑城)이 있었다.
또한 현재 수영 서쪽에 있는 배산(盃山) 동남쪽 평지에 동서 약 3.05~3.16㎞[28∼29정(町)], 남북 약 1.09㎞[10정]의 넓이에 성벽은 철거되어 얼마간 유지(遺址)를 남기고 있고, 그곳에서 채취한 기와 조각에 ‘동래(東萊)’ 혹은 ‘내군(萊郡)’ 등의 문자가 들어 있으며, 석부도 1기와 부서진 탑 부재가 발견되었고, 축성 방법이 신라의 것으로 동평현성(東平縣城)과 그 결구 방식이 유사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곳이 동래군의 치소였다면, 그 후 현재의 동래읍성 지역으로 옮기기 전까지는 이곳을 중심으로 동평현과 기장현을 통할하였을 것이다.
동래군의 예하에는 동평현과 기장현이 있었으며, 『삼국사기』 지리지나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에는 보이지 않으나 현의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향촌에는 향·부곡이 설치되었다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여주목 등신장조의 기사를 고려하면 동래에 속한 고지도 부곡(古智道部曲), 조정 부곡(調井部曲), 형변 부곡(兄邊部曲), 부산 부곡(富山部曲), 생천향(生川鄕) 등이나 기장에 속한 고촌 부곡(古村部曲), 결며 부곡(結㫆部曲), 사량촌 부곡(沙良村部曲), 사야 부곡(沙也部曲) 등도 통일 신라 시대에 동래군이나 해당 현에 소속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조선 전기에 사야 부곡이 사야촌으로 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다른 향·부곡들도 현의 규모는 아니지만 촌으로 편제될 수 있는 정도의 규모였음을 알 수 있다.
통일 신라 시대 영현을 거느린 군의 직할지는 영역의 규모가 대략 현과 비슷하였다. 따라서 동래군은 군 치소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에 몇 개의 직속 촌이 있었을 것이며, 영현이던 동평현과 기장현도 신라 촌락 문서에 보이는 듯 몇 개의 촌락으로 구성되어 있었을 것이다. 동래군에는 태수와 외사정(外司正) 및 군리(郡吏)로 구성된 군사(郡司)를 중심으로 군 행정이 이루어졌을 것이며, 법당 군관도 파견되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동래군은 양주나 중앙 기관으로부터 명령을 받아 군사를 중심으로 군의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세우고 그 아래의 직속 촌이나 영현의 현령에게 명령을 하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현령은 군으로부터 하달 받은 명령을 현사(縣司)를 중심으로 논의하여 촌주를 통해 각 촌락에 전달하고, 중앙에 대한 보고 체계는 명령과는 반대의 경로를 거쳐 중앙에 전달되었을 것이다.
[고려 시대]
오늘날 부산의 일부인 동래 지역은 신라 경덕왕 대 독립된 동래군으로 동평현과 기장현을 거느리고 있었다. 그러나 신라 말~고려 초를 지나면서 동래군은 1018년(현종 9) 울주의 속현인 동래현으로 재편되었으며, 기장현도 역시 울주의 속현이 되었다. 또한 동평현은 양주의 속현으로 편성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 지방관이 파견된 동래군은 고려에 들어와 울주의 속현으로 읍격이 강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이 지역이 후삼국기 견훤(甄萱) 세력의 거점으로 기능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동국여지승람』 고적조에 의하면 동래현에는 4개의 부곡과 1개의 향이 부속되어 있었다. 고지도 부곡·조정 부곡·형변 부곡·부산 부곡 그리고 생천향이 그것이다. 고지도 부곡은 지금의 부산진 앞바다의 고지도라는 섬에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조정부곡은 금정구 선두구동에 조정언이라는 비석이 있는 곳, 형변 부곡은 신선대가 있는 남구 용당동 일대, 부산 부곡은 부산진 지역, 생천향은 남구 대연동으로 각각 비정하고 있다.
기장현에는 고촌 부곡, 결며 부곡, 사량촌 부곡, 사야 부곡 등 4개의 부곡이 있었다. 학계에서는 향·부곡의 경우는 토지와 호구의 규모가 현에 미치지 못한 곳에 설치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고려는 일반 행정 구역인 군현과 달리 향·부곡 외에 소·장·처·진·역 등 특수 행정 구역을 두고 있었다. 이들 특수 행정 구역은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초 부산은 동래현이 중심에 있으며, 동평현과 기장현이 주변의 작은 속현이었다. 동래 정씨(東萊鄭氏)는 동래현의 대표적인 토성으로 정문도(鄭文道)는 「정과정곡(鄭瓜亭曲)」을 지은 정서(鄭敍)의 증조할아버지로 동래현의 호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동래 정씨의 후예는 과거를 통해 지방의 향리 집안에서 중앙 정계로 진출하였다.
울주의 속현이던 동래현은 고려 어느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된 주현이 되었다. 동래현의 주현으로의 승격은 지방 향리 세력인 동래 정씨의 중앙 진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 동래 정씨 정목(鄭穆)은 정서의 할아버지로 1072년(문종 26)에 과거에 합격하여 중앙 관리가 되었고, 그의 세 아들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고려의 문벌 가문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정목의 아들 정항(鄭沆)은 『고려사』 열전에 이름을 올린 인물로서 정서의 아버지다. 이런 가문에서 태어난 정서는 당시 재상 임원후(任元厚)의 딸과 혼인하였고, 인종의 손아래 동서가 되었다. 동래 정씨의 중앙으로의 진출은 속현이던 동래의 주현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반해 기장현은 1250년경에 주현이 되었으며, 동평현은 고려 말까지 여전히 양산의 속현으로 남아 있었다.
고려 시대 부산 지역은 기본적으로 속현 지역으로서 지방관이 파견된 양산이나 울산에 비해 상대적 차별을 받았으며, 그 아래의 부곡제 지역은 훨씬 열악한 처지에 있었을 것이다. 속현은 12세기 이후 전국적인 민의 항쟁이 발생하면서 점차 주현이 바뀌어 갔으며 향·부곡 등 부곡제 지역도 소멸해 갔다.
고려 말에는 왜구의 침략이 극성을 부리면서 부산 지역도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고려사』 권133, 열전 46 우왕 2년[1376] 12월의 기록에 왜구가 동래·동평·기장 일대를 침략해 지역민을 죽이고 노략질을 하며 가옥을 불살랐다고 한다.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들어와 부산의 위상은 나라의 관문과 대일 외교의 중심지로 부각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현 정도의 읍격이던 동래현은 조선 초까지 동평현을 속현으로 삼았다. 1397년(태조 6) 일본에 인접한 국방의 요새로서 인정되어 부산진이 설치되자, 이전에 비해 행정적·군사적 거점으로 부각되었다. 삼포 왜란 이후 군사적 요충지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1547년(명종 2) 동래도호부로 승격되었다. 동래부에는 정3품의 당상관이 부임하여 국방 및 대일 외교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도호부사 아래에 판관을 두어 수운과 해운의 임무를 맡겼다. 1592년 임진왜란 방어의 책임을 물어 다시 동래현으로 강등되었다.
조선 전기 동래현은 원래 경상 좌병영 소속의 경주 진관에 소속되어 동래 현령이 절제도위(節制都尉)의 군직을 겸하였다. 1547년 동래도호부로 승격되면서 동래 부사가 첨절제사의 군직을 가지고 동래부의 육군을 지휘하고 그 휘하에 유방군(留防軍) 370명이 있었다. 임진왜란 이후 1655년(효종 6)에 군사권의 위상이 승격하여 동래 독진(東萊獨鎭)이 되었다.
독진의 의미와 역할은 독진 대아문의 편액에 적혀 있는 대로 ‘진변 병마절제영(鎭邊兵馬節制營)’과 ‘교린 연향 선위사(交隣宴餉宣慰司)’에서 살필 수 있다. 이는 ‘변방을 수호하는 병마절제사의 군영’이라는 의미와 ‘교린의 차원에서 연향을 베풀어 위로하는 관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동래 독진의 기능과 역할을 잘 보여 준다.
수군의 경우는 조선 전기 진관 체제의 완성과 함께 경상좌도에는 울산 개운포에 좌도 수군절제사영이 있었고, 그 관할에 부산진 진관이 설치되고 그 밑에 두모포 등 10여 개의 만호영이 있었다. 동래현 관내에는 부산포진·해운포영·다대포영이 있었다. 임진왜란 직전 해운포영이 없어지고 다대포영이 첨사영으로 승격되었으며, 울산 개운포의 좌수영이 동래 남촌면 수영으로 옮겨졌다.
동래의 군사상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동래 수영에 경상 좌수영을 두었다. 경상 좌수영의 최고 지휘관은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였는데, 이를 줄여 좌수사라고 하였으며 정3품 무관직이다. 좌수사는 수군과 관련된 행정과 군사적인 측면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관으로 우후(虞侯)가 있었다. 경상 좌수사가 부임한 수영성은 지금의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수군절도사영’ 또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며, 이를 줄여서 동래 수영 또는 좌수영’이라고도 불렀다. 좌수영에는 525명의 수성군과 23척의 병선이 있었다.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의 아래에 수군첨절제사로 부산진 첨사와 다대포진 첨사가 있다. 이들은 좌수사의 지휘를 받아 부산진성과 다대포진성의 수군을 통제 감독하였다. 첨사영에는 각각 9척의 병선과 2,200명의 병사가 있었으며 8개의 만호영에는 4척이 병선과 1,101명의 군사가 주둔하고 있었다.
조선은 개국 이후 일본에서 많은 내항자들이 들어옴에 따라 여러 회유 통제책을 폈다. 대마 도주에게 특권을 부여하여 통교를 위한 역할을 맡겼으며, 무역을 엄격히 제한하였다. 왜인들이 출입하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자, 1407년(태종 7) 내이포(內而浦)[제포(薺浦), 웅천], 부산포(富山浦)[부산]을 개항하였다. 이후 왜인의 수가 더욱 증가하면서 개항장의 치폐를 거듭하다가 1426년 염포(鹽浦)[울산]를 추가하여 삼포가 개항되었다.
당시 왜인은 항거 왜인(恒居倭人)·향화 왜인(向化倭人)·흥리 왜인(興利倭人)·수직 왜인(受職倭人)으로 불렸으며, 1418년 항거 왜인을 색출하여 일정 지역에 살도록 왜리(倭里)를 설정하였다. 1466년(세조 12) 부산포의 왜리에 왜관을 설치하였다. 부산포의 위치는 지금의 부산진 시장 자성대 부근이라고 생각된다. 조선 전기에는 삼포 가운데 제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1443년(세종 15) 계해약조(癸亥約條)를 맺어 대마 도주의 제한적인 무역을 허용하였는데, 이에 의하면 대마 도주는 1년에 50척의 세견선을 파견할 수 있을 뿐이며 도주의 도서(圖書)가 있어야 입항할 수 있었다. 삼포 개항 후 항거 왜인의 행동은 점차 거칠어졌고 수도 늘어났다. 성종[재위 1457~1494] 이후 엄격한 통제 등에 불만을 품고 1510년(중종 5) 제포의 항거 왜인과 대마도의 지원군이 거제 수군 기지를 공격하는 삼포 왜란이 일어났다.
이에 조선은 삼포의 거류지를 폐쇄하고 제포에만 왜관을 두었다. 이후 대마도의 국교 재개 요청에 따라 1512년(중종 7) 임신약조(壬申約條)를 맺어 계해약조에 규정된 배의 숫자와 미곡량을 반으로 줄이고 제포의 개항만 허락하였다. 다시 제포에서 왜인과 관병의 충돌이 발생하자, 제포 거주 왜인을 축출하고 1544년(중종 39) 왜관을 부산포로 옮기면서 부산포 단일 왜관의 시대가 열렸다.
이 해에 왜구는 다시 사량진 왜변을 일으켜 국교 단절에 이른다. 그러나 다시 대마 도주의 요청으로 1547년(명종 2) 정미약조를 체결하여 약속을 더욱 구체화하였다. 세견선을 25척으로 줄이고 잠상(潛商)을 금지하며 부산포를 유일한 개항장으로 하였다.
사량진 왜변 이후에도 왜구는 명종[재위 1545~1567] 말년까지 30여 차례 침략하였고, 1555년 을묘왜변은 삼포 왜란보다 피해가 심각하였다. 그러나 왜선을 효과적으로 제압하지 못하고 회유책으로 대마 도주에게 세견선을 5척을 증가시켜 30척을 승인한 정사약조가 체결되었다. 이후 전국 시대에 들어가서는 30여 년간 일본과의 정식 외교는 단절되었다.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대마 도주를 통해 조선에 ‘가도입명(假道入明)’을 교섭하게 하였다. 대마 도주는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줄다리기 외교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유지하면서 조선 왕을 일본에 오도록 하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을 변조하여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하였다. 대마 도주의 거듭된 요청에 조선은 1589년(선조 22) 정사 황윤길(黃允吉), 부사 김성일(金誠一) 등을 파견하니 1449년(세종 31) 신숙주(申叔舟) 파견 이래 150년 만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1591년 돌아온 후 정사 황윤길은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보고하였고, 부사 김성일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 하여 국론은 분열되고, 결국 임진왜란으로 귀결되었다.
임진왜란은 조선 시대사를 가르는 분기점이기도 하지만, 부산의 역사를 통해서도 하나의 전환점이 되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1592년 4월 13일 일본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이끄는 일본군이 부산포를 침략함으로써 임진왜란은 시작되었다. 고니시 유키나가의 군사는 부산진성을 침략하여 부산진성 정발(鄭撥) 장군의 항전에도 불구하고 부산진성을 함락하고 동래성으로 향하였다, 당시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은 일본군의 항복 요구에 응하지 않고 끝까지 항전하였다.
일본군은 송상현을 향해 “싸우려면 싸우고 싸우지 않으려면 길을 비켜 달라”고 하였으나, 이에 송상현은 “싸우다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비켜 주기는 어렵다”며 끝까지 분전하였다. 부산진성을 빼앗은 일본군의 일부가 다대포진을 공격하자 첨사 윤흥신(尹興信)은 동생과 함께 분전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이처럼 부산은 왜적 방어의 일선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였으나, 역부족으로 일본군의 침략을 막아 내지 못하였다.
부산은 일본과의 교류가 끊임없이 이루어졌던 관문으로서 임진왜란 이전에는 진해 및 울산과 함께 교류의 통로가 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일본과 조선을 오가는 유일한 통로 구실을 하였다. 조선과 일본의 통교는 조선 전기에도 이루어졌는데, 처음에는 보빙사·회례사라는 이름으로 조선의 사절이 일본으로 파견되었으며, 1413년(태종 13)에 처음으로 통신사라는 이름으로 박분(朴賁)이 파견되었다. 조선 전기 통신사의 규모는 100명 정도로 두세 척의 배를 타고 교토까지 갔다.
이후 임진왜란으로 양국의 관계는 단절되었으나, 전쟁이 끝난 지 몇 년 뒤인 1604년(선조 37)에 사명 대사 유정(惟政)과 손문욱(孫文彧)을 탐적사(探賊使)로 보내 일본의 동향을 살피도록 하였다. 1607년(선조 40)에는 여우길(呂祐吉) 등을 장군의 국서에 대한 회답과 임진왜란 때 잡혀 간 포로를 데려 오기 위한 목적의 회답 겸 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파견하였다. 이후 1609년(광해군 즉위년) 국교를 회복하기 위한 기유약조를 맺고 몇 차례 사절을 파견하였으나, 여전히 임진왜란의 마무리를 위한 회답 겸쇄 환사와 회답사의 왕래뿐이었다.
통신사라는 이름으로 다시 파견된 사람은 1646년(인조 14) 임광(任絖)이었다. 이후 1643년(인조 21)부터 1811(순조 11)까지 8차례 통신사가 파견되었으며, 통신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조선 국왕의 국서를 막부 장군에게 전하고, 막부 장군이 장군직을 승계하는 것을 축하하는 일이었다.
통신사 사절단은 많은 사람으로 구성되었는데 정사·부사·종사관의 삼사가 가장 중심이었다. 그 외 통역관·외교 문서 작성을 맡은 제술관·의사·글 잘 쓰는 사자관·화가 등 다양한 사람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승마에 뛰어난 마상재·악대·군인·기수·배꾼·짐꾼 등 실무진이 포함되어 전체 인원은 450∼500명이었다. 이들은 서울에서 내려온 150명과 나머지는 부산, 경상도 등지의 사람들로 이루어졌다. 특히 부산 사람은 선장·하급 통역관·서기·소동·기수·악공·배꾼·짐꾼 등으로 참가하였다.
통신사의 여정은 왕복 거의 6∼12개월이 걸렸다. 서울 창덕궁 인정전에서 삼사 임명식을 거행한 후 영남 대로를 통해 부산에 이르렀다. 다시 통신사는 자성대 아래에 있는 부산포에서 출발하여 쓰시마~시모노세키~오사카~나고야~시즈오카를 거쳐 에도에 도착하였다. 통신사의 일행은 각 지역의 인사와 유학·문학·의술·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문화 교류를 하였다. 이때 대화는 주로 말이 아닌 글로 하였는데, 이를 필담 창화(筆談唱和)라고 한다. 그 내용은 과학·글자·결혼·장례·제사·의술·약재 등 다양하였다. 1763년 조엄(趙曮)이 통신사로 가서 가져온 고구마는 구황 작물로 널리 보급되었다.
1609년 기유약조에 의해 부산 왜관 한 곳에서 외교와 무역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 사신의 상경을 금지하고 사신이 머물던 서울 동평관도 폐쇄하였다. 1609년에는 두모포 왜관이 설치되었다. 이곳은 지금의 동구청 부근에 해당한다. 두모포 왜관은 입지가 부적합하고 부산진성과 가까이 있어서 이전 논의가 계속되다가 1678년(숙종 4)에 초량으로 이전되었다. 초량 왜관은 신관, 두모포 왜관은 구관 또는 고관으로 불렸는데, 그 이름이 지금까지 부산에 ‘고관 입구’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초량 왜관은 지금의 중구 용두산 부근에 위치하였는데, 면적이 약 33만 578.51㎡[10만 평]로 방대하였다. 초량 왜관은 동관과 서관으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동관은 관수옥(館守屋)과 개시 대청(開市大廳) 등 800칸에 이르렀다. 서관에는 동대청·중대청·서대청 등 많은 건물이 있었다.
개시 대청은 조선 상인과 일본 상인이 무역을 하던 곳으로 조선 정부의 엄격한 감시와 통제 아래 행해졌다. 처음에 매월 3일·13일·23일에만 장(場)이 섰으나, 1610년 이후 3일과 8일 정기적으로 매월 여섯 차례 장이 섰다. 왜관에는 약 500명의 일본인 관리, 상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가족을 데리고 오는 것은 금지되었다.
18세기 중엽 동래부는 읍내면·남촌면·사천면·동평면·동면·서면·북면의 7개 면과 101개의 리(里), 동(洞)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세기에는 동평면이 동평면과 부산면으로, 사천면이 사상면과 사하면으로 분리되었다. 1740년 편찬된 『동래부지(東萊府誌)』에 의하면 당시 동래부는 5,641가구에 1만 9099명으로 나타난다. 개항 이전 동래부의 인구는 대략 2만 5000∼3만 명 전후로 본다.
[근대]
갑오개혁 시기에 경상도는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로 나뉘고, 경상남도는 진주부와 동래부 나뉘며, 동래부 아래 동래군 등 10개 군이 소속되었다. 이때 동래군은 읍내면·북면·서상면·서하면·사상면·사중면·사하면·동평면·남하면·남상면·동하면·동상면으로 구성되었다.
1876년(고종 13) 조선은 일본과 조일 수호 조규를 체결하면서 이에 근거하여 1877년 부산구 조계 조약(釜山口租界條約)을 맺었다. 양국은 부산에 대외 담당 기구인 동래감리서를 설치하고 일본인의 집단 거주지인 일본 전관 거류지(日本專管居留地)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일본은 이곳에 부산거류민단, 재부산 일본영사관, 경찰서, 재판소 등 각종 기구를 설치하고 각종 법규를 만들었다. 거류지는 일본 제국주의의 자본주의 영토 확장과 투자의 전진 기지였다.
일본은 거류지 확장 사업을 계속하여 1901년에는 조계 밖 토지를 구획하여 대청정·보수정·부평정·대신정·부민정을 설치하였다. 이미 조차지 확보를 통한 관할지 확대를 꾀하였는데, 1886년(고종 23) 일본 해군용 석탄 저장 창고 부지로 절영도의 흑석암을, 1892년에는 복병산을 조차하였다. 한국 정부는 외국인의 토지 소유를 원칙적으로 금지하였으나, 조영 수호 조약에서 거류지 밖 약 3.93㎞[10리]로 확장하는 조치를 강요당하였다.
각종 기간 시설을 확장한다는 명분으로 지배 영역의 확대를 기도하였는데, 경부 철도의 부설 과정에서 착평 공사와 해면 매립 공사를 통해 경부선의 종점을 부산진에서 초량으로 변경하였다. 이는 일본에서 부산항을 거쳐 곧바로 조선과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한 구도와 연관된 것이라 하겠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인의 불법적인 토지 침탈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외국인의 토지 소유 금지법에도 불구하고 일본인은 정부의 감시망을 피해 절영도와 거류지 주변 지역에서 잠매 행위를 자행하였다. 1905년 일본인 소유는 약 18.51㎢[560만 평]나 되었으며, 특히 하자마 후사타로[迫間房太郞]는 이 지역 최대의 토지자산가가 되었다. 하자마 후사타로, 오이케 츄스케[大池忠助] 등은 1800년대 말에 부산에 와서 부동산, 고리대금, 수산업 등으로 거금을 모아 1920년대에는 부산 내 주식회사 주식의 70%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였다.
1905년 일제는 통감부를 설치하고 이사청제를 도입하여 부산에는 부산이사청을 설치하고 모든 실권을 장악하였다. 1910년 10월 1일 부산이사청을 폐지하고 부의 명칭과 관할 구역을 정하면서 동래부를 부산부로 바꾸고 동래부의 행정 사무는 부산부가 그대로 승계하였다. 1914년 1월 다시 기존의 군·면을 통폐합하는 전면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부도 조정되어 일본 조계, 청 조계와 그 주변 일대를 포함한 지역으로 정하고, 한국인이 거주하는 그 이외의 지역과 기장군 일대를 포함하여 동래군으로 재조정하였다. 이 조치는 기존의 지역 중심지인 동래, 부산포를 무시하고 일본 거류지 중심으로 부산부의 권역을 확대 재편한 것이다.
1925년에는 통감부 때부터 계획된 진주에 있던 경상남도청의 부산부 이전 계획을 실천에 옮기고 정·동·리(町洞里)의 주민 사무를 별도로 관장하는 최하급 행정 기구로서 총대 설치 규칙을 실시하였다. 이는 오늘날 동장 제도의 전신으로 시가지의 행정 기구가 완비되어 주민 통제가 가능해지게 된 것이다.
1930년대에 들어와 통치 체계를 확립하여 지방 말단까지 장악하려는 의도 아래 행정 구역을 확대하고 통제 기구를 강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1930년 지방 제도의 개정과 1933년 부산부 방면위원회를 들 수 있다. 지방 제도 개정과 관련하여 부의 자문 기구인 협의회를 의결 기관으로 변경하고, 그 회원을 5원 이상의 지방세를 내는 자산가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부산부의 경우는 일본인 자산가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부산부 방면위원회는 일제가 군국주의 체제를 강화할 목적으로 조선민을 통제하고 협력을 강요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부산부는 생활이 빈곤한 하층 계급이 집중되어 있는 변두리 조선인 거주 지역에 주로 설치하였다. 대신정·영주정·영선정·중도정·부민정·토성정·곡정·초장정·녹정·남부정·초량정·수정정·범일정 등 8개 방면에 설치하였는데 방면위원회 위원은 대체로 친일파였다.
부산부의 행정 구역 확대 조치는 1936년과 1942년 두 차례 시행되었다. 1936년에는 서면 일원, 1942년에는 다시 주변 지역으로 부역(府域)을 확대하여 이전의 동래군 지역을 거의 포괄하였다. 이에 따라 1936년 4월 1일 부산진출장소를 설치하고 1942년 10월 1일 동래출장소와 사하출장소, 수영출장소를 설치하였다.
도시 기반 시설 조성의 일환으로 항만 시설을 대대적으로 축조하였다. 1902년 북쪽 연안 매립 공사를 시작으로 부산항 잔교 공사와 방파제 축조 공사를 비롯하여 창고, 도록, 철도와 함께 부산진 매립 공사[1913∼1918], 영도 매립 공사, 연안 무역항 어업항인 남빈 매립 공사[1925∼1940], 영도 대교[1932∼1940] 가설 공사를 시행하였다.
부산의 교통망 정비 사업으로 시가지 정비와 도로 축조 사업을 시행하였으며 전차 궤도 건설 사업을 시행하였다. 부산의 전차는 1915년 10월 부산 우체국~초량~부산진~동래 구간의 공사가 준공되어 11월부터 운행되었다. 이후 복선 공사와 연장 공사가 1935년까지 추진되어 범일동선·영도선·변천정[광복동]선·대청정선·동래선 등이 건설되었다.
그 외 상하수도 시설의 건설 일환으로 보수천 상류에 저수지와 배수지를 갖춘 근대적 수도 시설을 처음 마련하였다. 하수도는 1929년부터 건설이 추진되었는데 최초의 거류지였던 용두산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근대적인 양식 건축물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서구 부민동에 경남도청[1925], 중구 중앙동에 부산 공회당[1928], 중구 대청동에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1929], 부산산업장려관[1932], 부산부청[1935] 등이 차례로 들어섰다.
[현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한 부산은 여러 산적한 현안을 안고 있었다.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철수, 해외 동포의 귀국, 일제 잔재의 청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도 전에 남북을 미소가 분할 점령하여 남한은 미군정의 실시로 부산에 미군이 주둔하여 군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미군정 당국의 행정 체계는 일제 강점기의 것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이후 1947년 10월에는 일본식 동명을 우리말로 바꾸어 동명의 기본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하면서 부산은 새로운 행정 체제 속에서 민주적 법치 행정의 시행을 추진하였다. 1949년 8월 15일 부제(府制)가 시제(市制)로 개칭되어 비로소 부산시가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50년 6·25 전쟁의 발발로 정부 부처의 부산 이전으로 부산이 임시 수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또 다른 시련을 겪었으나, 그 와중에도 1951년 9월 중부, 서부, 영도, 부산진, 초량, 동래 등 6개 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3년에는 대연출장소가 부산진출장소[1936년 설치]에서 분리·설치되었고, 해운대출장소도 수영출장소에서 분리되어 출장소는 8개로 늘어났다.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6개구[중구·동구·서구·영도구·부산진구·동래구]가 설치되었다.
1963년 1월 1일 정부 직할시 승격으로 제3차 행정 구역이 확장되어 동래군의 구포읍과 사상, 북면, 기장읍 송정리를 편입하여 6구[중구·서구·동구·영도구·부산진구·동래구], 7출장소[대연·사상·사하·북면·수영·구포·해운대], 136동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부산은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1960년 중반 부산의 인구는 광복 당시보다 무려 5배 증가한 150만 명에 시역이 373.23㎢로 확장됨으로써 대도시의 기능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72년 2월 부산시 제3차 5개년 종합개발계획이 확정되었고,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고 기장 지역이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부산직할시 직할 사하출장소와 북부출장소가 설치되고, 구포출장소와 사상출장소, 북면출장소가 폐지되었다. 또한 남구가 설치되었다. 1976년 4월 9일 동래구 해운대출장소가 부산직할시 직할 해운대출장소로 승격되고, 10월 4일 부산 국제공항이 김해로 이전하여 김해 국제공항으로 개칭되었다.
1978년 2월 15일 제4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낙동강 삼각주의 대부분 지역인 김해군 대저읍, 가락면 북정리 외 3개리, 명지면 중리 외 5개리가 시역으로 편입되면서 면적은 432.32㎢로 늘어났다. 또한 북구가 설치되었다. 9월 30일 부산항 제5부두인 자성대 컨테이너 부두가 개장되어 부산이 동북아 항만 물류 도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1979년 10월 1일 부산직할시 인구가 300만 명을 돌파하여 우리나라 제2 도시로서 국제적인 위상을 드높이게 되었다.
1980년 4월 해운대구가 설치되었고, 10월 부산항 부두 도로[충장로] 확장 및 제1도시 고속 도로인 번영로가 개통[1977년 5월 착공]되어 부산항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과 시내 교통의 교통 체증을 해소하게 되었다. 1985년 7월 19일에는 부산 도시 철도 1호선 1단계 구간[노포동∼범내골]인 16.2㎞의 개통[1980년 19월 20일 착공]으로 서울에 이어 부산에도 지하철 시대가 열렸다.
1988년 1월 금정구가 설치되었고, 1989년 1월 1일 제5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과 녹산면, 창원군 천가면 등이 편입되며 면적 525.95㎢로 거대 도시의 면모를 보여 주게 되었다. 또한 강서구가 설치되어 12개구로 늘어났으며, 강서구 직할 천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이로써 부산은 인구 400만을 수용하는 세계적 도시로 발전하여 국제도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1991년 3월 26일 부산직할시 시의원 및 자치구 기초 의원 선거가 시행되어 시의원 51명과 기초 의원 303명이 선출되었고, 6월 26일 제1대 부산직할시의회가 개원되어 부산은 지방 자치제의 실현과 함께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만들어 가는 진정한 민주 사회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지방 자치법」 개정으로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었고, 제6차 행정 구역 확장으로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 5개 읍면[기장읍·장안읍·일광면·정관면·철마면]을 편입시켜 기장군에 편제하였고, 진해시 웅동 2동 등 일부가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되며 면적은 749.17㎢로 확장되었다. 3월 1일에는 기존의 동래구를 분구하여 연제구를, 남구를 분구하여 수영구를, 북구를 분구하여 사상구를 신설하여 16개 구·군이 되었다.
1995년 5월 23일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 총회에서 2002년 제14회 아시아 경기 대회 유치가 확정되었고, 9월 30일 부산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 발기인 대회 및 창립총회가 열렸다. 1998년 1월 부산광역시 청사가 62여 년의 중앙동 시대를 마감하고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 개청하여 연산동 시대가 열렸다.
2000년 1월 12일 4개 시·도 관할 구역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행정 구역이 조정되며 강서구 녹산동 일부[1.03㎦]를 김해시에 편입하고, 김해시 일부[1.03㎦]를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하였다. 2001년 5월 23일 BEXCO[부산 전시 컨벤션]의 준공으로 국제회의 도시의 서막을 열게 되었다. 2005년 12월 낙동강 지역 사빈지를 등록하는 등 시역을 확장하여 면적이 763.46㎢에 이르렀다.
부산은 2001년 12월 월드컵 조 추첨, 2002년 9월 제14회 부산 아시아 경기 대회 개최, 2002년 10월 세계 합창 올림픽 개최, 2004년 9월 ITU 총회 개최, 2005년 11월 아시아 태평양 정상 회의[APEC] 개최 등으로 컨벤션 중심 도시로 부상하게 되었다. 2006년 1월 19일 부산 신항 개항과 2009년 5월 20일 부산 신항 2-2컨테이너 부두가 개장하며 북컨테이너 부두가 완전히 개장되어 우리나라 컨테이너 물동량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세계 5대 항만 도시로 발전하였다.
2010년 6월 G20 재무 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개최, 2011년 3월 유엔 기구 산하 해양 기후 변화 국제 심포지엄, 11월 부산 세계 개발 원조 총회, 2012년 9월 2012 TWA 세계 물 회의 부산 총회가 개최되어 부산의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드높여 세계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제 부산은 우리나라 제1의 항만·해양 관광·국제회의 중심 도시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로써 부산은 21세기 동북아의 중추 도시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2012년 12월 31일 현재 행정 구역은 16개 구·군에 법정동은 5개 읍·면 187동 62리이고, 행정동으로 210읍·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768.41㎢이며, 인구는 358만 6079명[외국인 3만 5116명 포함]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