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264 |
---|---|
한자 | 海雲臺區-文化遺産 |
영어의미역 | Cultural Heritage of Haeundaeg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시대 | 선사/선사,고대/고대,고려/고려,조선/조선,근대/근대 |
집필자 | 신명호 |
[정의]
선사 시대부터 근대까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주요한 문화유산.
[개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지역의 구석기 유적으로는 청사포 유적(靑沙浦遺蹟),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 지역의 좌동 구석기 유적(左洞舊石器遺蹟), 그리고 대규모로 발견되고 있는 중동 구석기 유적(中洞舊石器遺蹟)이 있다. 이들 구석기 유적은 영남 지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구석기 문화의 규명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석기 유적의 발굴은 기원전 2만 년경부터 이미 해운대 지역에 사람들이 거주하면서 그들 나름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음을 알려 준다. 이러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유물은 주먹 도끼, 찍개, 긁개, 원형 석기, 망칫돌, 박편 등 다양하며 석기의 재질도 다양하다.
해운대 지역에서 신석기 시대의 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수영강을 중심으로 하는 충적 평야에 존재할 가능성은 높다. 해운대 지역의 청동기 시대 유적으로는 반여동 주거지(盤如洞住居地)가 있다. 반여동 주거지는 부산 지역 전기 청동기 시대의 유적으로 동북 지방의 문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주거지는 비록 고분군에 의해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잔존 상태로 보아 장방형의 수혈(竪穴)을 파고 그 내부에 기둥을 설치하여 만든 움집의 형태로 판단된다. 이러한 주거 형태는 남부 지방 청동기 시대 전기의 일반적인 주거 형태이며, 여기에서 민무늬 토기[무문 토기], 간 돌칼[마제 석검], 돌살촉[석촉], 돌도끼[석부], 가락고동[방추차] 등이 출토되었다. 조성 시기는 기원전 7~8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청동기 시대에도 해운대 지역에 사람이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삼한 및 삼국 시대 초기에 해운대 지역은 독로국(瀆盧國)의 영역에 속하였다. 이후 가야 지역이 신라에 편입되면서 해운대구를 비롯한 부산 지역은 하나의 독립된 세력에서 신라의 지방 군현으로 거칠산군(居漆山郡)에 편입되었다. 역사의 변천에 따라 통일 신라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부산의 토착적인 전통문화에는 불교문화, 유교 문화 등이 결합되었다. 그 결과 해운대 지역에서도 토착 문화와 유입 문화가 결합된 다양한 문화유산이 창출되었다.
[주요 문화유산]
현재 해운대구에는 보물 2종, 부산광역시 기념물 2종, 부산광역시 민속 문화재 3종, 등록 문화재 1종 등 총 8종의 문화유산이 있다. 이 중에서 보물 제953호로 지정된 「조숭 고신 왕지(趙崇告身王旨)」와 보물 제954호로 지정된 「조서경 무과 홍패(趙瑞卿武科紅牌)」는 조선 시대의 관료 임명 문서이고, 등록 문화재 제302호로 지정된 부산 송정역(釜山松亭驛)은 일제 강점기의 역으로서 해운대의 전통 문화유산과는 거리가 있다. 이 세 종류를 제외한 다섯 종류의 문화유산 중에서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화유산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5호로 지정된 해운대 석각(海雲臺石刻)이다.
해운대구 우1동에 있는 해운대 석각은 해운대 동백섬[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 내에 자리한 작은 바위 윗면에 ‘해운대(海雲臺)’라는 글씨를 새긴 것으로, 통일 신라 후기의 학자였던 최치원(崔致遠)의 글씨로 전한다. 최치원이 가야산으로 향하던 중 주변의 자연 경관이 너무도 아름다워 돌을 쌓아 대(臺)를 만든 후, 바다와 구름, 달과 산을 음미하면서 이 바위에 ‘해운대’라는 글씨를 새겼는데, 이때부터 해운대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 이 글씨가 최치원의 글씨라는 사실이 정확히 확인된 바는 없으나, 고려 시대 당시 문신이었던 정포(鄭誧)의 시에서 ‘대는 황폐하여 흔적이 없고 오직 해운의 이름만 남아 있구나’라고 읊고 있어, 이미 당시에도 해운대 석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는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과 파도에 씻겨 나가 ‘운(雲)’ 자가 심하게 닳아 있는 상태이다.
이외에 해운대 동백섬, 장산 마고당·천제단(萇山麻姑堂·天祭壇)[부산광역시 민속 문화재 제6호], 반송 삼절사(盤松三節祠)[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1호], 관음정사 석존상(觀音精舍石尊像)[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50호]은 해운대구의 자연과 역사에 관련된 문화유산이다. 해운대 동백섬은 해운대를 대표하는 자연 기념물이고, 반송 삼절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을 벌이다 순절한 양지(梁誌)·양조한(梁潮漢)·양통한(梁通漢) 등 세 명을 모시는 사당으로서 임진왜란과 관련된 문화유산이다. 해운대구 우동 산148번지에 있는 장산 마고당·천제단은 마을 주민들의 민속 문화와 관련된 문화유산이고, 관음정사 석존상은 불교문화와 관련된 문화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