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운동장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종합 운동장. 사직 운동장이 건립되기 전까지 부산에서 유일한 종합 운동장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서구 서대신동에 있던 작은 동물원 옆의 넓은 빈터를 마을 체육 대회 장소 등으로 사용하다가 1928년 9월에 부산 공설 운동장이 건립되었다. 부산 공설 운동장으로 사용되어오다가 1971년 3월에 구덕 야구장과 실내 체...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종합 운동장. 구덕 운동장(九德運動場)이 노후하고 협소하여 늘어나는 경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자 부족한 체육 시설을 확충하기 위하여 1979년에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釜山社稷綜合運動場) 건립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공사에 착수하였다. 1985년 10월에 국제 규격의 현대식 실내 체육관과 야구장에 이어, 1986년에 체조...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주경기장이자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의 메인 스타디움.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은 기존의 구덕 운동장이 노후하고 협소하여 증가하는 경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의 면모에도 걸맞지 않는 체육 시설의 부족성을 탈피하기 위하여 1979년에 종합 운동장 건립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체육관·경기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과 철마면에 조성되어 있는 MTB 산악 경기장. 자전거 보급의 증가로 자전거 도로가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산악자전거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하였다. 이에 MTB 산악자전거의 저변 확대와 다양한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공인된 MTB 경기장을 건립하였다. MTB 산악 경기장은 2000년에 개장하였고 전국 MT...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금정 체육공원 내의 경륜 경기장. 시민들에게 여가 선용과 건전한 레저 문화를 보급하고 체육 진흥을 위하며, 안정적인 시 재정의 확충을 위한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금정 경륜장(金井競輪場)이 있는 금정 체육공원은 1996년 조성 계획이 확정되었고, 1999년에 착공하였다. 금정 경륜장은 2002년 문화관광부로부터 경주 사업 시행 허...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체육 시설. 기장 체육관(機張體育館)은 기장 지역에는 처음으로 들어선 대규모 체육 시설로 지역의 대규모 행사는 물론 농구·배구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가 열릴 수 있는 시설이자 가족 단위 놀이 공원 및 휴식 공간의 기능도 담당할 수 있도록 건립되었다.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약 48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02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종합 사격장. 부산광역시는 1971년 사격장 건립 계획을 세우고 1972년 12월에 영도구 동삼동에 부지 지정 작업을 시작으로 사격장 건립에 착공하여 2차 및 보완 공사를 거쳐 1973년 7월에 부산 종합 사격장(釜山綜合射擊場)을 준공하고, 개관하였다. 부산 종합 사격장은 1973년 7월 개관 이후 전국 체육 대회,...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궁도장. 부산 종합 운동장 궁도장(釜山綜合運動場弓道場)은 궁도 경기를 국민에게 널리 보급하여 국민 체력 향상을 도모하고, 아마추어 궁도 경기인 및 단체를 통괄 지도하며 우수한 경기자를 양성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하고자 설립하였다. 1993년 1월 1일에 새해 사업으로 건립을 계획하고, 1993년 8월 28일에 준공하였다. 199...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문화 체육 시설. 부산광역시 북구 구민들을 위한 복합 문화 체육 시설로 건립하였다. 2001년에 공사를 착공하였으나 2002년 2월에 공사를 중단하고 문화재 발굴 조사를 착수하여 완료하였다. 2002년 11월에 공사를 재개하여 2003년에 부산시장이 실내 빙상장을 현장 방문 한 자리에서 북구 문화 예술 회관의 복합 건립을 건의하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체육 시설. 부산 체육의 요람이 되고 시민 체육 진흥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며, 지역 스포츠 산업 발전의 기반 조성은 물론 부산 체육의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업비 약 199억 1300만 원[체육회관 179억 1300만 원, 전시관 20억 원]을 들여서 2008년 7월 25일에 개장하였다. 대지 면적 1만 3119㎡...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서낙동강 일대에 있는 조정·카누 경기장. 서낙동강 조정 카누 경기장은 해양 스포츠의 확대와 조정 및 카누의 저변 확대를 위해 8854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1989년 2월에 준공하여, 1989년 12월에 개장하였다. 2002년 아시안 게임 개최를 위하여 국제 규격의 조정·카누 경기장으로 전체적인 재정비를 하여 2002년 6월에 재개관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요트 경기장.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 개최의 여건을 마련하기 위하여 1982년에 수영만 매립 사업 계획을 수립한 후, 1985년에 수영만요트경기장 건설사업소를 신설하고, 1986년 4월 30일에 수영만 요트 경기장을 준공하였다. 1988년 1월 11일에 수영만 요트 경기장을 개관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수영만 요트 경기장의...
야구장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었던 야구장. 구덕 야구장(九德野球場)은 1973년 3월에 부산광역시 최초의 야구 전용 경기장으로 개장하였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부산에 지역 연고를 둔 프로 야구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1985년에 동래구 사직동에 사직 야구장이 생기면서 1986년부터는 고교 야구 대회를 비롯한 아마추어 대회가 주로...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는 한국 프로 야구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 기존의 구덕 운동장이 노후하고 협소하여 늘어나는 경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자, 우리나라 제2도시의 면모에 부합하는 국제 규격의 현대식 야구장을 건립하게 되었다. 사직 야구장(社稷野球場)은 1985년 10월에 개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6년 이래 부산을 연고로 하는 프로 야구팀 롯데...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에 있는 유소년 전용 야구장. 부산 지역에는 리틀 야구단 11개와 초등·중등학교 18개 야구팀이 있지만 유소년 야구장은 2009년에 준공된 삼락 생태 공원 내 야구장, 2010년에 준공된 화명 생태 공원 내 야구장 두 곳밖에 없어서 장소가 부족하였다. 이에 사하구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11 운동장 생활 체육 시...
골프장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에 있는 회원제 골프장. 동래 베네스트 골프 클럽은 안양 베네스트 골프 클럽, 가평 베네스트 골프 클럽, 세븐힐스 골프 클럽, 글렌로스 골프 클럽과 함께 삼성에버랜드가 운영하는 5개 골프장 중 하나로 회원제로 운영된다. 1971년 9월 동래 CC 회원제 18홀을 준공하고 개장하였다. 1978년 7월 삼성물산[전 삼성종합건설]에서 인수하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 있는 골프장. 성창기업을 모기업으로 하는 일광개발이 부산 동남권 개발과 기장군 일광면의 관광 레저 사업 개발의 일환으로 아시아드 골프 클럽과 인접한 지역에 각지의 골프 동호인의 여가 활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베이사이드 골프 클럽을 2010년에 개장하였다. 2012년에는 KB 금융컵 제11회 한일 여자 프로 골프 국가 대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18홀의 정규 골프장. 1955년 8월 31일 부산칸트리구락부 설립준비위원회를 발족하여 1956년 1월 31일 부산칸트리구락부 설립 인가[문교부 문화 제3184호]를 받았다. 1956년 10월 24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9홀의 해운대 골프장을 개장하였다. 1970년 금정구 노포동에 이전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1971년에 이전하여 1...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 있는 회원제 골프장. 관광 자원의 개발·운영 및 관광 시설물 매매·임대 등 수익 사업과 관광 사업의 운영, 관광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제14회 아시아 경기 대회 경기장 시설의 활용 등을 목적으로 2002년 8월 4일 아시아드 컨트리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하였다. LPGA 인터내셔널 부산은 총면적 1.45㎢이며 회원제로...
승마장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승마 훈련장. 1969년 12월 30일에 부산직할시 체육회는 부산시교육위원회로부터 동구 초량동 산24-8번지 임야 4외 10필 8,013㎡를 매입하여 승마장 조성을 위한 공사를 진행하였다. 그 후 1970년 3월에 인근이 일반 주택 난입으로 승마장으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영도구 동삼동 산46-7번지[임야 5,077㎡, 사무실 등 148...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있는 승마 시설. 승마 운동의 대중화를 통하여 건강 증진과 체력 향상, 건전한 여가 활동에 기여하고 승마 인구 저변 확대 및 유능한 선수 발굴,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경상남도 승마협회 승마장을 리모델링하고 2005년 5월 정식 개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에스파크 승마 클럽에는 826.45㎡의 진입로·주차장...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체육 시설을 갖춘 공원. 정부에서는 지역 주민의 조직적이고 자발적인 조직 결성을 통한 생활 체육 진흥 시책의 일환으로 연중 수시로 동호인 조직으로 결성된 단체의 신고를 받아 이들이 우수 조직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2011년 말 현재 조직된 부산광역시 종목별 연합회는 총 40개로, 2,600개 클럽에 15만 명의 동호인...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강서 체육공원은 2002년 부산 아시아 경기 대회의 펜싱 경기와 배드민턴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시민 체육 및 문화 강좌 등 여가 활동을 위한 체육 가족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1999년 5월에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서 착공하여 총공사비 861억 원을 투입, 2002년 6월 19일에 완공하였다. 강서...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공공 체육 시설. 백운포 체육공원(白雲浦體育公園)은 건강에 대한 관심과 생활 체육 인구의 급증으로 다양한 체육·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다목적 체육 시설이 필요해짐에 따라 구민의 문화 체육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건강한 삶을 향유할 권리를 충족해 주고자 2007년 6월부터 체육공원 조성을 추진하여 2009년 12월 31일에...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에 있는 체육공원. 삼락 강변 체육공원(三樂江邊體育公園)은 부산 시민들에게 운동 경기나 야외 활동 등 체육 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신체와 정신을 배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삼락 생태 공원의 일부인 삼락 강변 체육공원에는 체육 시설로 축구장 5면, 야구장 7면, 농구장 6면, 족구장 9면, 테니스장 15면...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에 있는 체육공원. 테니스와 축구, 야구, 족구 동호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운동장으로, 인근의 동래구·남구·수영구·연제구의 구민들도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석대 매립장의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2001년 석대 구민 체육공원을 준공하였다. 2012년 해운대구 석대동 24번지 일대 해운대 수목원 조성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테니스장 일부가 201...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낙동강 둔치에 있는 천연 잔디 운동장. 부산광역시 북구 구민들에게 화명 생태 공원 내에서의 휴식과 자연 학습, 레포츠 등 다양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부산광역시 특별 교부금 5억 원과 구비 8억 5000만 원을 들여 1997년 7월 2일부터 1997년 10월 10일까지 4개월간의 공사 끝에 북구 구민 운동장을...
생활 체육 센터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에 있는 문화 체육 시설. 2007년 고리 원자력 발전소는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을 통하여 전력 산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전원 개발 촉진과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 및 지역 주민들의 복지 향상을 도모하고자 2005년 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약 22개월 동안 총공사비 366억 원을 사용하여 고리 스포츠 문화 센터를 건립하게 되...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금정 국민 체육 센터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금정구민들의 생활 체육의 활성화 및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총사업비 82억 6500만 원[체육 기금 30억 원, 시비 23억 5000만 원, 구비 29억 1500만 원]을 들여 건립하였다. 2005년 8월에 착공하여 2007년 8월에 준공하였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체육 시설. 남구 국민 체육 센터는 생활 체육의 활성화 및 지역 주민들의 건전한 여가 선용을 위하여 총사업비 108억 원을 투입하여 건립되었다. 2010년 3월에 개관한 이후 한국스포츠서비스협회에 시설을 위탁하여 운영하였다. 2011년 8월에 부산광역시 남구청에서 직영 체제로 변경하고 재개관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2가에 있는 실내 인공 암장. 올바른 산악 문화 발전과 클라이머들의 실력 향상 및 스포츠 클라이밍의 저변 확대에 역점을 두고 산악 등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암벽 등반을 인공 시설물을 이용하여 즐길 수 있도록 실내 인공 암장으로 건립되었다. 부산등산문화연구소에서 2008년 1월 부산 스포츠 클라이밍 센터를 개관한 이래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장애인 종합 체육 시설. 부산광역시에서 2002년 부산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경기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뒤, 장애인들이 체육 문화 활동을 할 공간 시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2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복합 체육·문화 공간으로서 장애인과 시민들이 체육·문화 활동을 통하여 재활과 여가 활동 및 전문 체육 등 장애인...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체육 시설. 서부산 사회 체육 센터는 사회 체육을 활성화시키고 지역 주민의 건강하고 명랑한 여가 생활을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0년에 개관한 이래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서부산 사회 체육 센터의 부지 면적은 2만 1214.2㎡이며, 지하 2층·지상 5층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2층에는 25m 길이의 9레인...
-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있는 체육 시설. 전국 최초의 BTL 사업[민간 투자자가 공공시설 등을 지어 정부에 빌려준 뒤 임대료를 받는 건설 사업 방식]으로 시작된 엄궁 사회 체육 센터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엄궁초등학교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건전한 사회 체육을 보급하고자 건립되었다. 2010년 11월에 개관한 이래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엄궁 사회 체육...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체육 시설. 영도 국민 체육 센터는 지역 주민의 건강하고 명랑한 여가 생활을 위하여 건립되었다. 2009년 12월에 개관한 이래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영도 국민 체육 센터의 건축 면적은 약 869㎡이며, 지하 2층·지상 4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에는 수영장, 안내 데스크, 헬스장이 있고, 지상 1층에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올림픽 기념 체육 시설. 제24회 서울 올림픽 대회의 성공을 기념하고 지역 사회의 체육 활동과 문화 예술 활동을 위한 다목적 복합 시설로 활용하여 시민의 심신 단련 및 건전한 의식의 함양으로 명랑한 지역 사회 건강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올림픽 잉여금으로 각 시도에 1개소씩 설치하였으며, 부산직할시는 1989년 12월에 착공...
해양 레포츠 센터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에 있는 해양 레포츠 센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 해양 레포츠를 보급하고 시민들에게 대중적인 기초 지식을 습득시키고, 건전한 해양 레포츠의 기반 조성 및 국민 해양 사회 체육의 기초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고 광안리 해양 레포츠 센터가 건립되었다. 14억 8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11년 4월 15일에 개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 해수욕장에 있는 해양 스포츠 센터. 다대포 해양 레포츠 센터는 해양 레포츠의 대중화를 담당하고 국내외 동호인들의 사랑방 역할은 물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다대포 해수욕장이 사계절 관광지로 거듭나기 위해 사업비 2억 8400만 원을 들여 건립하고, 2011년에 개관하였다. 다대포 해양 레포츠 센터의 총면적은...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해양 레포츠 센터. 대중들에게 해양 레포츠 보급 및 기초 지식 습득을 도모하고, 건전한 해양 레포츠의 기반 조성 및 국민 해양 사회 체육의 기초를 다짐과 동시에 낙동강을 아름답고 깨끗한 강으로 바꾸는 계기를 만들고자 을숙도 해양 레포츠 센터를 건립하였다. 2009년에 개관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을숙도 해양 레포츠 센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