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467
한자 體育公園
영어의미역 Sports Park
분야 문화·교육/체육,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오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11월 - 15개 시·도 생활 체육회 창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11월 30일 - 부산광역시 생활체육회 초대 회장 취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생활체육회 발족
소재지 송정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155-13지도보기
소재지 석대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74지도보기
소재지 반여 배수지 상부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1291-99지도보기
소재지 강서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체육공원로 43[대저동 2155]지도보기
소재지 낙동강 맥도 지구 생태[체육] 공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4390지도보기
소재지 낙동강 대저 지구 생태[체육] 공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1175-1지도보기
소재지 백운포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895-3지도보기
소재지 증산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산 81-28지도보기
소재지 수영 강변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1090 일원지도보기
소재지 야시곡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1325지도보기
소재지 함지골 제1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산 149-7지도보기
소재지 함지골 제2 체육공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산 149-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체육 시설을 갖춘 공원.

[개설]

정부에서는 지역 주민의 조직적이고 자발적인 조직 결성을 통한 생활 체육 진흥 시책의 일환으로 연중 수시로 동호인 조직으로 결성된 단체의 신고를 받아 이들이 우수 조직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2011년 말 현재 조직된 부산광역시 종목별 연합회는 총 40개로, 2,600개 클럽에 15만 명의 동호인이 가입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종목별 연합회 가운데 테니스가 276개 클럽, 축구가 185개 클럽, 볼링이 152개 클럽, 배드민턴이 143개 클럽에 가입되어 있어 인기 있는 종목으로 꼽힌다.

이처럼 시민들의 여가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 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시민의 여가 생활을 건전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홍보 활동을 전개하여 건전 복지 사회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생활 체육의 활발한 추진으로 시민의 건강 증진 및 건전 여가 문화 창출에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 선용과 건강 증진 및 주 5일 근무제 확산 등으로 친환경적 생활 체육 시설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이 접근하기 쉬운 등산로, 약수터, 둔치, 마을 공터 등 유휴 공간에 국민 체육 기금과 지방비로 마을 단위 혹은 구청 단위의 생활 체육 시설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체육공원의 조성 배경]

국민 생활 체육 진흥 종합 계획인 ‘호돌이 계획’에 의해 1990년 11월 15개 시·도 생활 체육회가 창립되었으며 부산광역시 생활체육회는 1990년 11월 30일 초대 회장으로 정현옥이 취임하였다. 축구 등 7개 부산시 종목별 연합회를 산하 단체로 두고 1991년 4월 1일 사직 야구장에 사무처를 마련하여 부산 시민을 대상으로 생활 체육 업무를 추진하게 되었다.

20년이 지난 현재 제8대 집행부가 결성됨에 따라 부산 생활 체육의 중흥을 위한 다양한 사업의 일환으로 지자체 지역 주민들의 생활 공간을 중심으로 운동 기구와 부대시설이 확충 정비되었다. 이러한 시설은 크게 체육 혹은 스포츠 센터 같은 신축 복합 시설과 등산로, 약수터 등 기존의 쉼터나 휴식 공간에 각종 생활 체육 시설[배드민턴, 족구, 게이트볼] 및 운동 기구를 마련해 놓은 시설을 말한다. 특히 1995년 지방자치제가 도입되면서 각 구·군은 지역 주민을 위한 체육공원을 활성화하였으며 주민의 생활 공간과 인접해 있는 산이나 강을 활용한 친환경적 체육공원을 건립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건강과 환경 보존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부산의 체육공원]

1. 해운대구

1) 송정 체육공원

송정 체육공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155-13]은 2009년에 조성되었으며, 규모는 3,500㎡[외곽 : 가로 93×세로 48m]로서 그라운드 골프장[40×32m], 테니스장[37×16m], 족구장[27×27m], 농구장[21×15m]을 갖추고 있다. 체력 단련 기구는 트위스트 머신을 비롯해 총 8종을 확보하고 있다.

2) 석대 구민 체육공원

석대 구민 체육공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74]은 2001년에 조성되었으며 테니스장 19면, 축구장 2면, 족구장 2면과 부대시설로서 컨테이너 4동, 화장실 1동을 확보하고 있다.

3) 반여 배수지 상부 체육공원

반여 배수지 상부 체육공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1291-99]은 2011년에 조성되었다. 인조 잔디[204.5㎡], 배드민턴장 2면[라인 17.5×14.6m], 파고라 2개, 평상 1개, 벤치 11점, 전망 데크[674.9㎡]가 있으며, 운동 기구 9점[양팔 높이 당기기 2, 상체 운동 기구 2, 역기 올리기 1, 달리기 운동 2, 공중 걷기 2]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장산 인조 잔디 축구장[해운대구 좌동 1371-1]과 장산 게이트볼장[해운대구 좌동 1384], 좌동 테니스장[해운대구 좌동 1340-1], 반송 3동 테니스장[해운대구 반송동 산 51-101], 반여 1동 게이트볼장[해운대구 반여동 735-1], 어르신 장애물 그라운드 골프장[해운대구 반여동 1502-16], 재송동 임시 구민 축구장[해운대구 재송동 1192], 수영강 족구장[해운대구 반여동 1477-32] 등이 있다.

2. 강서구

1) 강서 체육공원

강서 체육공원[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2155]은 부지 면적 20만 6345㎡로, 총 공사비 861억 원을 투입하여 1999년 5월에 착공, 2002년 6월에 완공되었다. 2002년 부산 아시아드 경기 대회 펜싱 경기와 배드민턴 경기가 열린 실내 체육관과 2,000석 규모의 하키 경기장, 500석 규모의 보조 경기장 및 양궁 경기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서 체육공원은 종목별 경기장뿐만 아니라 시민 체육, 문화 센터 등 여가 시설을 위한 체육 가족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또한 천연 잔디 구장 2면은 부산 아이콘스 및 유소년 축구 클럽 전용 연습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 낙동강 맥도 지구 생태[체육] 공원

2006년에 준공한 낙동강 맥도 지구 생태[체육] 공원[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4390]은 맥도 지구의 낙동강변을 정비하여 조성한 생태[체육] 공원이다. 체육 시설로는 축구장 2면, 야구장 1면, 테니스장 6면, 족구장 2면, 배드민턴장 3면, 농구장 2면, 게이트볼장 1면, 배구장 2면, X-게이장 2면 인라인장 1면, 인라인 로드 1면을 갖추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에서 운영 관리하고 있다.

3) 낙동강 대저 지구 체육공원

2012년 5월 준공한 낙동강 대저 지구 체육공원[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1175-1]은 낙동강변을 정비하여 조성한 생태[체육] 공원이다. 체육 시설로는 축구장 3면, 야구장 2면, 테니스장 8면, 게이트볼장 4면, 인라인스케이트장 1면, 농구장 8면을 갖추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에서 운영 관리하고 있다.

이외에도 강서구에는 각 동별[대저 1동 당리 마을 체육 시설 등 11개소 44점, 대저 2동 덕두 테니스장 등 17개소 108점, 강동동 조정 카누 경기장 주변 체육 시설 등 15개소 70점, 명지동 명지 오션시티 해안 산책로 체육 시설 등 11개소 65점, 가락동 6개소 77점, 녹산동 12개소 76점, 가덕도동 7개소 46점]로 체육 시설 79개소와 운동 기구 486점이 설치되어 주민의 건강과 여가 선용을 도모하고 있다.

3. 남구

1) 백운포 체육공원

백운포 체육공원[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895-3]은 총 부지 8만 3636㎡ 규모의 시설로서 2001~2002년에 건립한 천연 잔디 구장, 마사 축구장, 테니스장, 소운동장, 2009년에 건립한 풋살 구장, 2010년에 건립한 마사 야구장, 인조 축구장, 다목적 구장[족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2012년에 건립한 다목적 구장[게이트볼장] 등을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동네[생활] 체육 시설 총 40개소, 간이 운동장 46개소, 체력 시설 652점, 편의 시설 569점을 설치 운영 중이다.

4. 동구

1) 증산 체육공원

증산 체육공원[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산 81-28]은 소규모 생활 체육공원으로서 1982년 1만 1,570㎡ 규모로 조성되어 있다. 체력 단련 기구 22종 36점, 간이 체육 시설 6종 9면, 부대 편의 시설 8종 3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산림 내 체육 시설 총 19개소가 있으며, 세부 시설물 총 24총 193점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동네 체육 시설은 증산 체육공원을 비롯한 총 25개소가 있으며, 세부 시설물은 총 79종 628점이 설치되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5. 수영구

1) 수영 강변 체육공원

수영 강변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1090 일원]은 소규모 생활 체육공원으로서 2006년 1,542㎡ 규모로 조성되었다. 체력 시설 18종 22점, 부대시설 4종 18점이 설치되어 있으며, 간이 운동 시설로 족구장과 테니스장을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동네 산지 체육 시설 총 41개소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6. 사상구

1) 낙동강 삼락 지구 생태[체육] 공원

2006년 완공한 낙동강 삼락 지구 생태[체육] 공원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변을 정비하여 조성한 체육공원이다. 축구장 5면, 럭비 구장 1면, 야구장 5면, 테니스장 15면, 족구장 8면, 농구장 6면, 게이트장 9면, 배구장 1면, X-게임장 2면, 인라인 3면, 인라인 로드 1면, 그라운드 골프장 1면, 사이클 연습장 1면, 파크 골프장 1면, 국궁장 1면을 갖추고 있다.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에서 관리 운영하고 있다.

2) 사상 국민 체육 센터

2012년 5월 1일 개관한 사상 국민 체육 센터는 총면적 7,692.26㎡의 규모로 수영장, 헬스장, 다목적 체육관, 골프 연습장을 갖추고 있다. 월 평균 2,900여 명의 주민이 이용하고 있다. 셔틀 버스 5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영, 헬스, 요가, 피트니스, 배드민턴, 골프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동네 체육 시설은 야시곡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1325]을 비롯한 총 61개소에 각종 운동 기구와 체력 단련 시설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7. 영도구

1) 함지골 제1 체육공원

함지골 제1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산 149-7]은 총면적 9,408㎡ 규모로 1982년에 조성되었다. 체력 단련 시설 10종 47점과 부대 편의 시설 2종 21점을 갖추고 있다. 1990년에 건립된 함지골 제2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산 149-4]과 함께 영도구의 대표적 동네 체육공원으로서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이외에도 영도구에는 봉래산 체육공원을 비롯한 35개 체육공원이 있으며, 간이 운동장 9종 13면, 체력 단련 시설 36종 450점, 부대 편의 시설 4종 306점이 설치되어 있다.

8. 서구

1) 송도 웰빙 센터

송도 웰빙 센터[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229-10(구 임해행정봉사실 부지)]는 지상 5층, 연면적 3,043.92㎡, 대지 면적 845㎡의 규모를 갖춘 복합 체육 시설이다. 2012년 11월에 완공되어 헬스장, 수영장, 문화 및 집회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총면적 2,042㎡ 규모의 천마산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산 4-9]에는 간이 운동장 1면, 체력 단련 시설 21종 27점, 부대 편의 시설 3종 4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서구에는 총 22개소의 체육공원에 간이 운동장 13면, 체력 단련 시설 192종 230점, 부대 편의 시설 57종 184점이 설치되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도모하고 있다.

9. 기장군

1) 기장 생활 체육공원

기장 생활 체육공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서로 109번길 24]은 부지 면적 8,588㎡, 연면적 4,882㎡ 규모로 2012년 10월 17일 개장하였다. 기장 생활 체육 센터[지하 1층, 지상 3층]에는 수영장[25m×6레인]과 체력 단련실이 있으며, 야외 체육 시설로 농구장 1면과 족구장 1면을 갖추고 있다. 특히 문화·체육 강좌를 개설하여 요가, 에어로빅, 필라테스, 스탭박스 댄스, 크로스핏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정관 신도시 공원 내 40개소의 체육 시설에 체력 단련 기구 104점과 어린이 놀이 기구 133점이 설치되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도모하고 있다. 이외에도 기장군에는 2002년 개장한 테마 임도 제1 동네 체육공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 산 1, 면적 2,860㎡, 체력 단련 기구 10종 16점]을 비롯하여 총 64개소의 동네 체육공원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10. 동래구

1) 수안 시민 체육공원

수안 시민 체육공원[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7-11]은 간이 운동장 3면[농구장 1면, 게이트볼장 1면, 배드민턴장 2면]이 있으며, 체력 단련 기구 14종 31점이 비치되어 있다.

2) 온천천변 간이 운동 시설

부산광역시 중심을 흐르고 있는 온천천을 친환경적·생태적 공간으로 개발하여 각종 운동 시설과 편의 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온천천변 간이 운동 시설로 배드민턴장 7면, 인라인장 1면, 농구장 3.5면, 족구장 1면, 발지압장 2면이 운영 중에 있다. 체력 단련 기구는 총 15종 81점이 설치되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도모하고 있다.

3) 명장 배수지 상부 체육공원

명장 배수지 상부 체육공원[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419-1]에는 게이트볼장 2면, 배드민턴장 2면, 인라인장 1면, 농구장 2면, 족구장 2면, 조깅 트랙 1면이 있으며, 15종 16점의 체력 단련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2013~2014년 준공 예정인 국민 체육 센터를 건립 중에 있는데, 지하 1층, 지상 3층에 약 3,700㎡의 규모로 수영장, 체력 단련장, 다목적실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동래구에는 금강 공원 내 체육공원[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 38-2]을 비롯하여 20개의 체육 시설[공원]이 있으며 간이 운동장 39.5면, 체력 단련 기구 435점이 설치되어 있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11. 연제구

1) 연제 문화 체육공원

연제 문화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956-46]에는 배드민턴장 2면, 게이트볼장 1면, 지압 마당 1면이 있으며, 체력 단련 시설 20종 22점, 부대 편의 시설 14종 33점이 비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연제구에는 연산 9동 주공 체육공원을 비롯하여 총 26개소에 동네 체육공원을 운영하고 있다. 공원 내에는 간이 운동장 8종 31면과 체력 단련 시설 65종 514점, 부대 편의 시설 19종 281점이 설치되어 있다.

12. 부산진구

1) 황령산 레포츠 공원

황령산 레포츠 공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산 29]은 생활 체육 센터[지하 1층, 지상 2층, 다목적 강당 및 휴게 공간]와 대운동장 1면, 테니스장 3면, 게이트볼장 2면, 씨름장 1면과 운동 시설[체력 단련 시설] 15종 15점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어린이 놀이 시설, 주차장, 쌈지 공원 등이 운영되고 있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문화 활동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부산진구에는 30개소의 동네 체육공원이 있으며 간이 운동 시설로는 축구장을 비롯하여 총 30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체력 단련 시설 총 477점, 부대 편의 시설 386점이 설치 활용되고 있다.

13. 북구

1) 화명 지구 생태[체육] 공원

화명 지구 생태[체육] 공원[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1718 일대]은 2010년 준공되었다. 축구장 4면, 야구장 2면, 테니스장 10면, 족구장 4면, 풋살 경기장 3면, 농구장 4면, 게이트볼장 4면, 민속 놀이 마당 1면이 조성되어 있다.

2) 덕천 생활 체육공원

덕천 생활 체육공원[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457-49]은 총면적 4,532㎡ 규모로 인공 암벽장, 실내 암벽장, 족구장 2면, 그라운드 골프장 1면 인라인스케이트장, 체력 단련 기구 11종 11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북구에는 구포 3동 백양산 체육공원을 비롯하여 총 55개소의 동네 체육 시설과 체력 단련 기구 58종 695점, 편의 시설 6종 333점을 보유하고 있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문화 활동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14. 중구

1) 복병산 체육공원

복병산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1가 6-4]에는 운동 시설 16종 34점과 부대시설 6종 16점, 배드민턴장 1면을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중구에는 복병산 배수지 체육공원을 비롯하여 11개소의 체육공원이 있다. 전체적으로 게이트볼장 2면, 테니스장 2면, 배드민턴장 6면, 족구장 1면, 다목적 구장 1면과 운동 기구 168점을 갖추고 있다.

15. 금정구

1) 스포원 체육공원

부산지방공단에서 운영하는 스포원 체육공원[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399번길 324] 내 시설은 스포츠 센터와 야외 체육 시설로 구분된다. 실내 스포츠 센터에서는 수영장, 게임 존, 실내 골프장, 피트니스, 탁구 클럽 등이 운영되고 있다. 야외 체육 시설로는 테니스장 16면, 풋살장 4면, 축구장 1면, 인공 암벽장 1곳이 운영되고 있다. 이외에도 조깅장과 자전거 순환로가 조성되어 있어 구민들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충족시키고 있다.

2) 수영강 하류 체육[공원] 시설

수영강 하류 체육[공원] 시설[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517-1]은 총면적 2,300㎡에 농구장 1면, 배드민턴장 2면, 풋살장 1면, 배구장 1면을 갖추고 있다. 체력 단련 기구는 13종 18점, 편의 시설은 2종 11점이 비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금정구에는 물망골 동네 체육 시설[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산 8]을 비롯하여 50개소의 동네 체육 시설[공원]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간이 운동장 6면 54종, 체력 단련 기구 46종 531점, 편의 시설 10종 308점을 보유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과 건전 여가 활동을 도모하고 있다.

16. 사하구

1) 에덴 체육공원

에덴 체육공원[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786-1]은 총면적 5,000㎡ 규모로 체력 단련 기구 33종 41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신평 레포츠 공원[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651-9]을 비롯하여 총 34개소의 동네 체육공원을 운영하고 있다. 체력 단련 기구는 총 371종 588점이 비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의 체육공원은 지역이나 자치구별로 시설 혹은 센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지만 대부분 신축 복합 체육 시설과 기존의 동네 및 등산로·약수터·쉼터 등을 재개발하여 주민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자체별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주민들의 생활 체육 활성화와 명랑하고 밝은 지역 사회 건설을 위한 건전 여가 문화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지역 주민의 삶과 밀접한 강과 산을 재정비하여 친환경적·생태적 휴식 공간을 개발함으로써 독창적인 체육공원을 조성하고 있으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운동 시설 및 체력 단련 기구들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유지 및 보수도 원활하여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부산의 체육공원은 각종 생활 체육 대회 개최 및 범시민 체육의 생활화, 동호인 체육의 건전 육성을 위한 디딤돌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부산 시민 1인 1생활 체육 참여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