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392
한자 文章垣
영어음역 Moon Jangwon
분야 생활·민속/민속,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구만덕로[온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예술인
성별
본관 남평(南平)
대표경력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장|동래야류보존회 회장
출생 시기/일시 1917년 5월 11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1년 -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동래학술강습소 고등과 1년 수료
활동 시기/일시 1934년 - 「동래 야류」 동·서부 합동 놀이에 팔선녀의 마부역으로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3·1절 기념 「동래 야류」 부활 공연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47년 - 부산시 동래출장소 세무계 근무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부산시 세무과 근무
활동 시기/일시 1965년 5월 1일 - 동래야류민속예술연구회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65년 10월 31일 - 제6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서 「동래 야류」 대통령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7년 12월 21일연표보기 - 국가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원양반] 예능 보유자로 지정
활동 시기/일시 1969년 3월 24일 -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83년 6월 25일 - 『한국 일보』 주최 제1회 국립 극장 명무전 출연
활동 시기/일시 1984년 1월 21일 - 『한국 일보』 주최 제2회 국립 극장 명무전 출연
활동 시기/일시 1986년 1월 - 동래야류보존회 회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93년 5월 - 제24회 중요 무형 문화재 인간문화재 중앙 발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4년 5월 - 제25회 중요 무형 문화재 인간문화재 중앙 발표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6년 5월 5일 - 「동래 야류」 창립 제31주년 기념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97년 2월 -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97년 5월 - 제28회 중요 무형 문화재 인간문화재 중앙 발표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0년 4월 19일~4월 22일 - 국립 극장 대극장-사인 사색 나흘간의 춤 이야기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2년 9월 - 호암 아트홀 남무, 춤추는 처용아비들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2년 9월 30일 - 제5회 서울 세계 무용 축제 SIDance 2002 「동래 입춤」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3년 11월 - 「동래 야류」 미국 동부 4개 도시 순회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4년 10월~12월 - 남무 춤추는 처용아비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4년 - 인도·이집트 「동래 야류」 공연
활동 시기/일시 2005년 12월 27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4호 「동래 한량춤」 예능 보유자로 지정
활동 시기/일시 2008년 4월연표보기 - 국가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명예 보유자로 지정
활동 시기/일시 2010년 2월 -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상임 이사에 선임
몰년 시기/일시 2012년 8월 21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문장원 출생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안락동]
거주|이주지 문장원 거주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 공원로 37[온천동 189-134 반도 아파트 1301]
활동지 문장원 활동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구만덕로[온천동]

[정의]

국가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원양반과 가면 제작 보유자.

[활동 사항]

문장원(文章垣)은 1917년 5월 11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남평(南坪)이며, 호는 소암(素岩)이다. 아버지는 문무일이며, 어머니는 구남이다. 1931년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32년 동래강습학술소 고등과를 수료한 후, 동래음악동우회에 참가하였다. 1934년 「동래 야류」에 애기탈로 처음 참가하였다. 당시 「동래 야류」에는 동부의 김귀조[1886~1956], 서부의 이두상[1886~1956]이 참가하고 있었다.

김귀조는 「동래 야류」와 학춤에 두루 능통하였고, 이두상은 춤과 더불어 꽹과리·장구 등의 타악기, 걸립 할 때 부르는 지신풀이에 능한 명인이었다. 이들이 문장원의 가무악(歌舞樂)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1944년 부산부청 노동과에 취직하였다. 임무는 천막을 치고 풍류를 하던 수영의 백사장을 아스팔트로 메우는 일이었다. 일제는 당시 수영 비행장을 건설하고 있었고 그 노역을 위해 우리 동포들을 사역시켰다. 문장원은 이 일이 맞지 않아 일본인 주임과 다툰 후 그만두었다. 그리고 그해 10월에 징용장을 받고 용두산 공원에서 호국 선언을 한 뒤 전쟁터로 향하였다. 문장원은 오사카 제련소에서 10개월간 혹사당한 후 1945년 8월 13일 탈출한 끝에 9월 21일 해방을 맞아 귀국하였다.

해방 정국에서 동래음악동우회 총무를 맡았다. 1946년 「동래 야류」의 복원에 주도적으로 참가하여, 그해 3·1절 기념 동래 야류 부활 공연에 참가하였다. 1947년 부산시청 세무과에 임시 직원으로 들어갔다가, 이듬해 정식 직원으로 동래출장소 세무계로 옮긴 뒤 1948년 세무과 징수 계장이 되었다. 당시 예기인 원옥화(元玉花)[1828~1978] 및 김강남월(金江南月)[1930~?] 등과 교유하였는데, 이들은 율객(律客)인 가야금 명인 강태홍(姜太弘)의 제자들이었다. 문장원강태홍의 「가야금 산조」에 맞춰 춤을 추기도 하였다.

문장원은 서울 수복 후 부산 지역의 기업인 김지태(金智泰)의 민의원 선거 운동을 돕기 위하여 세무 공무원직을 그만두었다. 1951년 5월 동래산업주식회사의 상무이사로 취직하였고, 1954년 경남고공품회사의 경남지사장을 맡았다. 고공품(藁工品)은 곡식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로 만든 물품으로, 당시 농가에서는 필수품이었다. 1956년 한국고공품주식회사 부사장이 되었다.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고 한국고공품주식회사의 모든 권리가 농업은행으로 넘어가며 회사가 해체되자 동래로 갔다.

어수선한 정국에서 지금은 한국 민속 예술 축제로 명칭이 바뀐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가 시작되었다. 당시 이를 주도하던 위원장이 동래 출신 최상수(崔常壽)였는데, 그는 부산시에 「동래 야류」의 출품을 권유하였다. 이에 대해 부산시는 불가하다고 하였으나, 동래기영회를 중심으로 문장원「동래 야류」를 복원하였다.

그리고 1965년 5월 1일 동래야류민속예술연구회를 설립하였다. 그해 10월 31일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서 「동래 야류」가 대통령상을 받았고, 2년 후인 1967년 12월 21일 국가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원양반과 가면 제작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1969년 3월 24일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가 발족되어 이사에 선임되었다. 1974년 「동래 야류」 전수관 완공을 주도하였으며,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가 복원한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3호 「동래 학춤」[1972년 9월 19일 지정], 제4호 「동래 지신밟기」[1977년 12월 11일 지정], 제10호 「동래 고무」[1993년 12월 31일 지정], 제14호 「동래 한량춤」[2006년 12월 27일 지정]을 발굴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1983년 4월 국립 극장과 한국일보사가 공동 주최해 시리즈로 진행된 국립 극장의 명무전에 출연하여 안채봉·한진옥·장금도와 함께 「동래 입춤」을 추었다. 기예와 교유하며 배운 기방 춤과 탈판에서 뛰던 마당춤을 습합(習合)하여 시나위 가락을 타고 춤을 추었다. 문장원은 이후 몇 차례의 명무전에 초대되었다. 1986년 동래야류보존회 회장에 선임되었다. 1993년 5월과 1994년 5월에 제24회 및 제25회 중요 무형 문화재 인간문화재 중앙 발표 공연에 참가하였고, 1996년 5월 「동래 야류」 창립 제31주년 기념 공연을 하였다.

1997년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장으로 취임하여 매주 하는 무형 문화재 전수 교육 및 전승, 해외 및 중앙·지방 공연과 본인의 전국 순회공연 등을 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2000년 4월 19일~4월 22일 국립 극장 대극장 ‘사인 사색 나흘간의 춤 이야기’를 공연하였다. 2002년 9월 호암 아트홀 ‘남무(男舞), 춤추는 처용아비들’을 공연하였고, 2002년 9월 30일 제5회 서울 세계 무용 축제 SIDance 2002에서 「동래 입춤」을 공연하였다.

2003년 11월 미국 동부 4개 도시[시카고·뉴욕·워싱턴·버팔로] 순회공연, 2004년 인도·이집트 공연으로 「동래 야류」를 세계에 널리 알렸다. 그리고 2004년 10월~12월 ‘남무, 춤추는 처용아비들’을 공연하였다. 2005년 12월 27일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4호 「동래 한량춤」 예능 보유자, 2008년 중요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명예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2010년 2월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상임 이사로 취임하여 일하던 중 2012년 8월 21일 94세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동래 들놀음』[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1989, 2001년 재판 발행], 세원문화재단에서 제작비의 일부를 지원받아 2004년 1월 31일 「동래 학춤」「동래 고무」 반주 음악 CD를 제작하였다.

[묘소]

한평생을 동래의 무형 문화재 발굴과 전승·전수를 위해 몸 바친 고인을 기려 유골은 금강 공원 내에 있는 부산 민속 예술관 뒤편에 뿌려졌다.

[상훈과 추모]

1965년 10월 31일 제6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야류」 원양반역] 대통령상, 1968년 7월 5일 눌원 문화상 「동래 야류」 단체상, 1970년 12월 31일 전국 문화 예술 공로상[문화공보부 장관상], 1971년 10월 30일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지신밟기」] 장려상, 1971년 10월 30일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 개인상, 1972년 10월 22일 제13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지신밟기」] 문화공보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1976년 10월 31일 제17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학춤」] 장려상, 1978년 10월 31일 제19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지신밟기」] 장려상, 1980년 10월 20일 시민의 날 공로상[부산시장상], 1981년 10월 24일 제22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학춤」] 장려상, 1985년 10월 제26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학춤」] 장려상, 1988년 10월 23일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고무」] 장려상, 1993년 11월 3일 제3회 부산늘솔회 문화상, 1996년 6월 1일 제25회 부산 민속 예술 평가 대회[「동래 한량춤」] 연기상, 1996년 10월 18일 제37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 민속 무용 부문[「동래 한량춤」] 문화체육부 장관상을 받았다.

또한 1998년 9월 4일 제3회 공주 아세아 1인극제 제1회 소민 연극상, 1998년 10월 16일 제39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한량춤」] 문화관광부 장관상, 제39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동래 한량춤」] 개인 지도상, 1999년 5월 13일 제2회 PSB 부산 방송국 문화 재단 예술 부문 문화상, 1999년 12월 2일 제129호 옥관 문화 훈장[대통령 김대중], 2000년 10월 4일 부산광역시 제16회 자랑스런 시민상 대상, 2010년 10월 부산광역시 문화상[전통 예술 부문] 등을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