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금정구의 세거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320
한자 金井區-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in Geumjung-gu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 세거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있는 성씨 세거지.

[개설]

금정구는 북쪽에 계명봉, 서쪽에 금정산, 동쪽에 공덕산·개좌산을 잇는 능선이 구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 남쪽으로 열린 분지 지형을 이룬다. 울산 구조선에 위치한 두구동-동래까지 이어지는 평지는 주택지와 도로로 이용되고, 동쪽에 수영강[동천] 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있다. 상류는 주로 논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하류는 금사 공단이 들어서 있다. 또한 서쪽에는 범어천[온천천, 서천]이 금정구의 중앙부를 흐르고 있다. 따라서 예부터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한 지역이어서 일찍부터 세거 성씨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금정구금성동, 장전동, 구서동, 남산동, 청룡동, 노포동, 두구동, 선동, 오륜동, 회동동, 금사동, 서동, 부곡동 등 13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 순서대로 성씨 세거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변천 및 현황]

금성동『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의하면 조선 중기까지 동래부 북면 산성리라 칭하였는데, “산성리는 관문에서 18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따르면 동래군 북면 산성리의 호수는 52호이고, 정씨(鄭氏) 2호, 오씨(吳氏) 7호, 이씨(李氏) 10호, 김씨(金氏) 14호, 추씨(秋氏) 2호, 지씨(池氏) 1호, 최씨(崔氏) 1호, 홍씨(洪氏) 3호, 양씨(梁氏) 1호, 장씨(張氏) 2호, 변씨(邊氏) 1호, 윤씨(尹氏) 2호, 국씨(鞠氏) 1호, 성씨(成氏) 2호, 박씨(朴氏) 1호, 도씨(都氏) 2호의 성씨가 살고 있었다.

2013년 현재 세거 성씨는 먼저 해주 오씨(海州吳氏)로 월곡공파 윤함의 현손 오석준(吳碩准)이 17세기 후반에 들어왔다. 그리고 오씨 가계보다 이른 시기에 김해 김씨(金海金氏), 국씨, 도씨가 들어왔으며, 강릉 유씨의 유청길은 12대째 이곳에 살고 있다. 또,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입향조가 11세 이유안으로, 현재 약 200년의 세거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장전동『동래부지』에는 북면 장전리만 보이고,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 따르면 장전동의 호수는 23호로 박씨 7호, 김씨 10호, 양씨 1호, 문씨 3호, 서씨 1호, 손씨 1호다. 소정동의 호수는 17호로 최씨 1호, 조씨 4호, 손씨 2호, 차씨 2호, 송씨 1호, 박씨 2호, 김씨 2호, 문씨 2호, 박씨 1호이다. 2013년 세거 성씨는 남평 문씨(南平文氏), 경주 김씨(慶州金氏), 경주 박씨(慶州朴氏), 남원 양씨(南原梁氏), 달성 서씨(達成徐氏), 개성 왕씨(開城王氏) 등이다.

구서동『동래부지』 각면 각리 원근 정도(各面各里遠近程道) 조에 동래부 북면 구세리만 나타난다. 구세리는 관문에서 12리에 있다고 하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 따르면 동래군 북면 구서동의 호수는 25호로 박씨 7호, 신씨 1호, 정씨 6호, 문씨 5호, 송씨 2호, 김씨 3호, 이씨 1호이며, 두실리의 호수는 23호로 김씨 12호, 문씨 3호, 배씨(裵氏) 1호, 송씨(宋氏) 1호, 박씨(朴氏) 3호, 정씨(鄭氏) 1호, 최씨(崔氏) 1호, 임씨(林氏) 1호가 살고 있었다.

2013년 세거 성씨로 동래 정씨(東萊鄭氏) 입향조는 정언(鄭彦)으로 300여 년 전 양산에서 이곳으로 왔고, 죽산 박씨(竹山朴氏)는 박준(朴浚)이 대연동에서 이곳으로 왔다. 은진 송씨 송창문(宋昌文)의 후손이 대연동에서 양정을 거쳐 이곳으로 왔으며, 남평 문씨, 경주 김씨(慶州金氏), 여산 송씨(礪山宋氏), 영월 신씨(寧越辛氏), 김녕 김씨(金寧金氏), 밀양 손씨(密陽孫氏), 순흥 안씨(順興安氏), 나주 임씨(羅州林氏) 등이 있었으나 마을 전체가 아파트 단지로 변하면서 많은 사람이 이 지역을 떠났다.

남산동 지역은 『동래부지』 각면 각리 원근 정도(各面各里遠近程道) 조에 동래부 북면 남산리로 처음 나타난다. 남산리는 관문에서 18리에 있다고 하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 의하면 남산리는 42호로 한씨(韓氏) 3호, 김씨 12호, 신씨(申氏) 1호, 이씨 6호, 최씨 4호, 송씨 5호, 서씨 1호, 우씨 1호, 박씨 1호, 윤씨 1호, 강씨 2호, 장씨 1호, 정씨 1호, 신씨(辛氏) 1호, 고씨 1호, 오씨 1호가 있었다.

2013년 세거 성씨로 여러 파의 김해 김씨가 세거하고 있다. 먼저 삼족당 김대유의 5세손 김석희(金碩熺)는 1600년대 이곳에 들어왔고, 또 판도판서공파조 김세강(金世綱)의 후손이 200여 년 전 경기도에서 경주를 거쳐 이곳에 입향하여 그 후손이 세거하고 있다. 특히 이 가문은 자헌대부 행이조 판서 김세강의 교지[숭정 12년(1639) 9월 초8일]· 통훈대부 행영광 군수 김진태(金振兌)의 교지[순치 13년(1656) 6월 22일]가 있으며, 1825년(순조 25) 을유 2월의 원정(原情)과 1849년(헌종 15) 2월의 관문(官文), 1879년(고종 16) 3월의 정훈 자손 세계 단자가 있다. 이 중 관문은 충훈부에서 경상 좌도 병마절도사에게 내린 관문이다. 이것은 부산박물관 도록에 있는 한성부 관문보다 이른 시기의 것으로 부산의 주요 문화재로서 관련 기관의 관리를 요한다. 그리고 김해 김씨 참찬공파 별전 24공신인 김흘(金屹)의 후예도 지금 120여 년간 이곳에 살고 있으며, 고문서도 다량 보유하고 있다.

밀양 손씨 구세공파조(九世公派祖)인 손명윤(孫明胤)은 중조 손긍훈(孫兢訓)의 21세손으로 기장군 상서면 웅천리에서 동래군 북면 남산리 신암 마을로 이거하였으며, 만력 경술년(萬曆庚戌年)[1610] 동래 향안에 입록되어 있다. 기록상으로 보면 남산동 지역에 가장 먼저 왔다. 손명윤의 아들 손호립(孫浩立)은 장관청 초관을 지냈으며, 조선 선조 때 효자상을 받았다. 은진 송씨(恩津宋氏) 입향조는 삼성공 송응지의 6세손 송준업(宋俊業)으로, 300 년 정도 되었다. 또 다른 계열인 은진 송씨 우암 문정공파가 있는데, 21세 송흠기(宋欽基)를 입향조로 하는 가문이다.

또한 인동 장씨(仁同張氏)는 250여 년, 남원 양씨 200여 년, 태원 김씨(太原金氏) 200여 년, 김해 김씨 녹사공파는 150여 년이 되었고, 100여 년 전후로는 밀양 박씨(密陽朴氏), 파평 윤씨(坡平尹氏), 전주 최씨(全州崔氏), 영월 신씨, 영월 엄씨(寧越嚴氏) 등이 있다.

청룡동 지역은 1895년경 『영남읍지』 동래부 사례(東萊附事例)에 북면 청룡리로 비로소 나타나며, 관문에서 16리 거리에 있다고 하였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청룡동은 33호로 김씨 11호, 안씨 9호, 조씨(曺氏) 1호, 윤씨 3호, 문씨 2호, 오씨 1호, 이씨 3호, 최씨 1호, 나씨 1호, 박씨 1호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3년 세거 성씨로는 순흥 안씨, 파평 윤씨, 남평 문씨, 해주 오씨, 남원 양씨, 남양 홍씨(南陽洪氏) 등이 있다.

노포동 지역은 『동래부지』에 작장리만 보이고, 1895년경의 『영남읍지』 동래부 사례에 비로소 북면 노포리, 작장리로 나타난다. 『영남읍지』 동래부 사례 방리 조에서는 “노포리는 북면에 속하여 관문에서 15리 거리에 있다.”고 하였다. 『신구 대조 조선 전도 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에는 노포동, 대룡동, 작장동, 녹동 일부로 명기되어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 따르면, 노포리는 34호로 유씨(柳氏) 1호, 김씨 4호, 공씨(孔氏) 1호, 정씨(鄭氏) 4호, 정씨(丁氏) 1호, 오씨 1호, 송씨 1호, 양씨 8호, 최씨 2호, 강씨(姜氏) 2호, 문씨 2호, 서씨 1호, 박씨 3호, 윤씨 1호, 곽씨 1호이며, 작장동은 10호로 이씨 2호, 김씨 4호, 황씨 1호, 양씨 1호, 장씨(張氏) 1호, 최씨 1호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3년 세거 성씨로 남원 양씨, 나주 정씨(羅州丁氏), 동래 정씨 등이 있다.

두구동 지역은 『동래부지』에 의하면, 북면 두구리로 관문에서 30리에 위치한다고 하였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두구동임석 마을은 17호로 문씨 7호, 박씨 3호, 한씨 2호, 김씨 1호, 최씨 2호, 정씨(丁氏) 1호이며 수내 마을은 15호로 공씨 2호, 최씨 3호, 박씨 7호, 조씨(趙氏) 1호, 김씨 1호, 손씨 1호이고 태두 마을은 20호로서 양씨 4호, 유씨(劉氏) 2호, 박씨 11호, 한씨 1호, 문씨 1호이며, 중리 마을은 15호로 윤씨 1호, 구씨 1호, 송씨 1호, 박씨 2호, 강씨(姜氏) 4호, 김씨 5호, 최씨 1호이고 죽전 마을은 13호로서, 강씨(姜氏) 6호, 박씨 2호, 최씨 1호, 정씨(鄭氏) 1호, 송씨 1호, 전씨(全氏) 1호, 송정 마을은 15호로서 금씨 6호, 이씨 6호, 송씨 1호, 도씨(都氏) 1호, 정씨(鄭氏) 1호로 되어 있다. 2013년 세거 성씨로 진주 강씨(晉州姜氏), 죽산 박씨, 남평 문씨, 김해 김씨 등이 있다.

선동 지역은 『동래부지』에 의하면 북면 선동소산리에 해당된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선동 마을은 24호로 송씨 1호, 박씨 7호, 김씨 6호, 강씨 1호, 정씨 4호, 배씨 1호, 오씨 1호, 이씨 1호, 유씨(劉氏) 1호, 서씨 1호이고 현동 마을은 13호로 김씨 5호, 손씨 1호, 윤씨 2호, 서씨 1호, 정씨(丁氏) 1호, 박씨 2호, 최씨 1호가 살았다. 하정 마을은 11호로 김씨 5호, 박씨 1호, 배씨 1호, 이씨 1호, 최씨 1호, 강씨 2호이고, 신천 마을은 20호로 김씨 12호, 최씨 3호, 서씨 2호, 정씨(丁氏) 1호, 황씨 2호이다. 2013년 세거 성씨는 파평 윤씨, 영월 신씨, 은진 송씨, 경주 김씨3, 창원 황씨(昌原黃氏), 밀양 박씨 등이다.

오륜동 지역은 『동래부지』에 “오륜대리는 관문에서 20리 거리에 있으며, 동래부 동면에 속한다.”고 나와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오륜동은 30호로서 정씨(鄭氏) 4호, 금씨 11호, 송씨 2호, 이씨 3호, 박씨 5호, 문씨 4호, 강씨(姜氏) 1호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3년 세거 성씨는 김해 김씨, 남평 문씨, 여산 송씨 등이 있다.

회동동 지역은 『동래부지』에는 신천리로 나오며, “관문에서 8리 거리에 있고, 동래부 동면에 속한다.”고 되어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회천동은 19호로서 김씨 15호, 박씨 2호, 송씨 1호, 문씨 1호가 살며, 동대동은 8호로 김씨 5호, 정씨 3호가 산다고 나와 있다. 2013년 세거 성씨는 김해 김씨, 여산 송씨 등이다.

금사동 지역은 『동래부지』에는 나와 있지 않으며,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금천 마을은 11호로 박씨 5호, 김씨 3호, 전씨 1호, 어씨 1호, 송씨 1호가 살며, 사천 마을은 21호로 문씨 17호, 정씨 2호, 김씨 1호, 서씨 1호가 산다고 나왔다. 2013년 세거 성씨는 남평 문씨, 밀양 박씨 등이다.

서동 지역은 『동래부지』서동리로 나온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서동은 28호로 송씨 1호, 이씨 4호, 박씨 5호, 김씨 17호, 정씨 1호가 산다고 되어 있다. 2013년 세거 성씨는 경주 김씨, 청도 김씨(淸道金氏), 밀양 박씨 등이다.

부곡동 지역은 『동래부지』부곡리로 나온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는 부곡 마을은 39호로 장씨 2호, 김씨 9호, 박씨 10호, 문씨 8호, 이씨 3호, 정씨(丁氏) 1호, 주씨 2호, 송씨 3호, 조씨 1호가 살고 금양 마을 9호로 박씨 1호, 금씨 1호, 송씨 2호, 양씨 2호, 공씨 2호, 문씨 1호, 기찰 마을은 8호로서 전씨(全氏) 1호, 김씨 2호, 손씨 1호, 양씨 1호, 방씨(方氏) 1호, 이씨 1호, 최씨 1호가 살았다. 2013년 세거 성씨는 김해 김씨, 여산 송씨, 안동 김씨(安東金氏), 남평 문씨 등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