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049
한자 環境關聯市民團體
영어의미역 Environment-related Civilian Organizations
이칭/별칭 환경운동단체,환경시민단체,자연보호운동단체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정래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자연 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비영리 시민 단체.

[개설]

6·25 전쟁 당시 부산으로 유입되었던 많은 피난민은 풍부한 노동력을 제공하며 경공업 발달의 원동력이 되었고, 항구 도시의 이점으로 수출·입에 유리한 위치적 특성은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부산의 산업화를 이끌게 되었다. 도시화와 산업화의 결과 부산의 강과 하천은 오염되었고, 급속한 인구 유입으로 산 중턱까지 주거 시설들이 건설되면서 대규모의 산지 개간도 이루어졌으며, 컨테이너선의 부산항 출입이 증가하여 해양 환경 파괴도 심각해졌다.

[변천]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 시기에 부산은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고 산업·물류 시설이 건설되면서 한국의 제2 도시로 성장하게 되었다. 더불어 급속한 도시화·산업화의 진행은 환경 파괴 문제를 유발하여 관심이 고조되었다. 1980년대 후반 시작된 민주화와 더불어 산업화의 부작용인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 제기로 부산환경운동연합의 전신인 공해문제연구소와 부산녹색연합 등 많은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이 부산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1년 낙동강 페놀 방류 사건으로 많은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이 조직되었다. 현재는 결성 초기 ‘민주화 운동’ 성격을 벗어나 산·바다·강·하천·에너지·대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단체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부산뿐만 아니라 지구 환경의 보호와 유지를 위하여 활동하고 있다. 특히 1991년 낙동강 페놀 방류 사건은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부산을 비롯한 전국에 많은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이 조직되었다. 이후 굵직한 환경 문제들이 부산에서 발생함에 따라 부산의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연합하여 각종 문제들에 대응하여 활동하였다.

[주요 활동]

1. 낙동강 페놀 방류 사건 및 위천 공단 조성 반대 운동

1991년 3월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두산전자에서 페놀 원액 30톤이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낙동강 페놀 방류 사건이 발생하였다. 낙동강으로 흘러 들어간 페놀은 수돗물에서도 검출되어, 대구뿐만 아니라 낙동강을 상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부산·경남 시민들에게도 직접적인 피해를 입혔다.

페놀 방류가 사고가 아닌 두산그룹의 반윤리적 불법 방류에 의하여 일어난 것이 알려지자 영남 지역 시민뿐만 아니라 전 국민에게 환경 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켰다. 이 사건에 대해 부산의 환경 관련 시민 단체와 여타 시민 단체들이 연대하여 부산시에 대책을 강구할 것을 요구하였고, 전국의 시민 단체들과 연대하여 두산그룹과 정부에 항의하는 등 활동을 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달 뒤인 4월 23일 두산전자는 다시 한 번 페놀 폐수를 방류하였다. 이로 인해서 국민의 여론이 악화되자 두산전자 사장이 해임되고, 환경처 장관이 경질되었다. 정부는 ‘낙동강 대권역 수질 보전 대책’을 발표하여 강·하천의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대책을 본격적으로 강구하기 시작하였다. 이 사건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이 활동할 수 있는 당위성을 마련해 준 사건이었다.

2. 다대포 매립 반대 운동

다대포 매립은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 내항을 매립하고 1.719㎢에 목재 단지 및 9개 선석의 항만 시설을 건설하는 국책 사업이었다. 1989년부터 추진된 이 사업은 주민들의 반대로 한 차례 무산되었으나, 2000년 제2차 공유 수면 매립 계획에 또 다시 다대포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언론에 알려졌다. 이에 ‘매립반대공동대책위원회’가 결성되고, 부산의 54개 시민 단체가 참여하는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매립반대공동대책위원회는 해상 및 육상 선박 시위, 걷기 대회, 토론회, 100만 인 서명 운동, 시장실 점거 농성, 서울 해양수산부 상경 시위 등을 통해서 시민들에게 다대포 보존의 필요성과 개발의 부당성을 알렸다. 이러한 활동 끝에 2002년 5월 29일 부산시로부터 다대포 매립 계획 철회를 이끌어 냈다.

3. 낙동강 지키기 4대강 사업 저지 운동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대응하기 시작한 한반도 대운하 사업 반대 운동은 ‘낙동강 지키기’ 운동으로 이어져, 4대강 사업 저지 운동으로 계속되었다. 2009년 낙동강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라는 조직이 결성되어 부산 지역 50여 개 단체가 참여하였으며, ‘낙동강 지키기 천 인 선언’, ‘낙동강 사업 국민 검증단 활동’, ‘4대강 사업 국민 소송인단 구성’, ‘낙동강 생태 기행 및 현장 답사’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4. 고리 1호기 폐쇄 및 탈핵 운동

2007년에 설계 수명이 다한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를 폐쇄하고 신고리 5, 6호기 건설을 저지하기 위하여 부산의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은 온 역량을 다하고 있다. 특히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발생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근에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한 부산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었다. 이에 39개 단체가 참여한 ‘반핵부산시민대책협의회’가 발족하여 고리 1호기 폐쇄 문제와 반핵 및 탈핵과 관련된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현황]

2011년 현재 등록된 부산의 환경 관련 시민 단체는 74개이며, 전국적 규모의 시민단체와 지역 수준의 시민 단체들이 해양, 대기, 탈핵, 난개발, 지역 주거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환경 보호와 유지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로 부산에 인접한 고리·신고리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문제 제기와 탈핵, 에너지 전환 활동에 많은 단체들이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전국적으로 이슈화가 된 환경 관련 사건·사고들로 인하여 부산의 환경 관련 시민 단체는 지역을 넘어서 전국의 관심을 받고 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방류 사건을 시작으로 성공적인 환경 관련 활동들이 이어져 왔다. 특히 인근에 낙동강과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 관련 이슈들이 부산에서 끊이지 않아 부산의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특히 4대강 사업과 고리 1호기 수명 연장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하여 부산의 시민 단체들은 관련 대책 위원회를 구성하여 환경 관련 문제들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시민 참여 문화 행사, 시민 강좌, 환경 보호 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동 영역 및 방식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규모 큰 대부분의 단체들은 전국 조직의 지역 지부 형식을 띠고 있기 때문에 독자적인 기획 및 활동이 어려울 뿐더러, 활동에 필요한 재정과 인력이 부족하여 많은 환경 관련 시민 단체들은 항상 존폐의 위기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환경 관련 시민 단체의 특성상 국가 및 지역 자치 단체의 개발 사업을 반대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아 시민들의 참여와 후원, 연대를 얻기 힘든 상황이라 활동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각종 사건·사고에 대한 대응, 일회적인 행사 개최가 주로 이루어지며 장기적인 계획 및 실천, 그리고 전국·국제적인 연대 활동이 부족하다. 이를 위하여 환경에 대한 시민의 의식이 제고되어 적극적인 참여와 후원이 필요하며,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역시 ‘지속 가능한 활동’이 가능한 구조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