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92
한자 -平和人權連帶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256번길 7[전포동 193-3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봉사 기관
전화 051-818-4749
홈페이지 아시아평화인권연대(http://www.sopra21.org)
설립 시기/일시 2003년 4월 2일연표보기 -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2월 - 외국인노동자 인권을 위한 모임과 통합되어 ‘이주민과 함께’ 부설 기관으로서 해외 지원 사업 담당
최초 설립지 아시아평화인권연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56번길 7[전포동 193-38]지도보기
현 소재지 아시아평화인권연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256번길 7[전포동 193-3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봉사 단체.

[설립 목적]

아시아평화인권연대는 한국 사회가 인권과 평화를 위한 넓은 시야를 갖고, 인간과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을 안고 올바른 인식을 실천해야 함에 뜻을 모아, 이를 행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03년 4월 2일에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아시아평화인권연대로 설립되었다. 2009년 2월에 외국인노동자 인권을 위한 모임과 통합되어 ‘이주민과 함께’ 부설 기관으로 해외 지원 사업을 담당하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아시아평화인권연대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을 담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로서, 전쟁 없는 평화로운 사회, 차별 없는 평등한 사회, 어린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 기아와 문맹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회,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첫째, 2003년에 전쟁과 평화 그리고 희망이라는 주제로 아프가니스탄·이라크·팔레스타인 사진전 개최를 시작으로 아시아의 창-아시아의 평화와 인권이라는 주제로 강좌를 개설하는 등 평화로운 사회와 인권에 대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둘째, 전쟁 피해자 지원 활동을 한다. ‘어린이에게 희망을’이라는 주제로 2003년부터 아프가니스탄 난민 캠프 어린이 학교 지원, 아프가니스탄 귀환 난민 직업 훈련과 문자 교육 프로그램 지원, 캄보디아 얼릉깡안 마을 주민센터 지원, ‘캄보디아 어린이에게 희망을[하루 1달러로 한 가족에게 희망을]’, ‘베트남 어린이에게 희망을[푹호아사중학교 도서관 신축 지원 및 장학금 지원]’, 스리랑카 청각 장애 어린이 무료 교육 센터 지원 사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3년부터 현재까지 ‘압둘에게 희망을[한국에서 사망한 이주 노동자의 자녀 학비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평화 인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어린이와 함께하는 아시아, 아시아와 친구하기, 청소년 인권 학교,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과 함께하는 ‘평화와 인권’ 강좌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넷째, 평화인권아카데미를 통해 이주민 강사와 활동가 양성 및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 부설 도서관으로 민들레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마 항쟁을 지지하는 부산시민연대와 한국 원폭 2세 환우 돕기 등의 특별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현황]

아시아평화인권연대에는 4명의 상근 인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필요시 자원 봉사자들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2014년 현재 캄보디아, 베트남 등지에서 현지 봉사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아시아평화인권연대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을 담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로서, 주된 활동으로 전쟁 피해자 지원 활동[아프가니스탄 난민, 한국 원폭 2세 환우]과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평화 인권 교육 프로그램[아시아와 친구하기, 고등학교 3학년 강좌 등]을 실시하면서 인권 의식과 전쟁과 평화에 대한 이해를 드높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