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68
한자 市民社會團體
영어의미역 Civil Society Organizations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일

[정의]

사회적인 주장이나 요구를 개진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서 결성된 시민들의 자발적인 결사체.

[개설]

시민 사회 단체는 시민 사회의 의견을 반영하는 사회 조직으로서 비정부 기구, 비영리 단체를 포함한다.

[변천]

부산의 경우 1980년대 초반 ‘환경문제연구소’, ‘미주시민협의회’, 기독교 단체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19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시민 단체들이 시민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이후 1991년 지방 자치의 제도화를 계기로 시민 사회 단체가 급속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부산YMCA, 부산YWCA를 중심으로 시민 단체들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1991년 3월 경제실천연합회, 5월 참여자치연대가 연이어 발족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

부산의 시민 단체들은 1997년 이후 조직을 재정비하면서 지역 주민의 이익 대변, 권력 감시 단체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시민 사회가 다양화되면서 시민의 참여가 활발해지고 사회적 역할이 커지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시민 사회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시민 사회 운동의 급성장과 운동 내용과 방식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민·관의 경계도 허물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 사회 단체의 현황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현황]

부산의 시민 사회 단체는 건강과 보건 의료, 경제, 교육, 교통, 국제, 문화와 예술, 민족과 통일, 보훈, 봉사, 복지, 시민 일반, 아동과 청소년, 여성과 노인, 장애인, 의식 개혁과 학술, 종교, 평화와 인권, 환경 해양, 풀뿌리 등의 단체로 분류 할 수 있으며 2013년 1월 현재 621개의 비영리 민간단체가 등록되어 있다. 부산광역시에 활동 중인 부산의 시민 사회 단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건강, 보건 의료 관련 시민 사회 단체[34개]

한국금연교육협의회, 참의료실현부산청년한의사회, 사랑실은 교통봉사대 부산지대, 부산등산연맹,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전국천만인자전거타기 부산운영지부, 대한안마사협회 부산지부, 부산경남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한국무학치료상담연구소, 여성복지문화센터 등이 있다.

2. 경제 관련 시민 사회 단체[8개]

조방경제인연합회, 부산지역건설노무자무료취업센터, 부산지역중소기업지원봉사단, 부산생활협동조합, 부산지구JC, 한국화훼소비자회, 한국소비생활연구원 부산광역시지부, 부산실업극복센터 등이 있다.

3. 교육 관련 사회 시민 단체[23개]

새교육공동체 부산북구협의회, 부산지역 사회교육협의회, 부산지성회, 부산광역시 교원단체총연합회, 교통문화운동시민연합, 교육개혁시민연대, 미래창의영재교육원, 행복을 여는 문 상담센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부산지부 등이 있다.

4. 교통 관련 사회 시민 단체[7개]

한국교육시민협회 부산남지부, 한국교통시민협회 부산금정지부, 한국교통시민협회 부산서사하지부, 전국모범운전자연합회 부산동래지회, 부산광역시 월남참전유공자회 기초질서지킴이, 한국교통시민협회 부산협의회, 녹색교통운동시민추진본부 등이 있다.

5. 국제 관련 사회 시민 단체[11개]

동남아국제협력진흥센터, 지구촌재난구조단 부산시구조단, 부산여학사회, 한국숲해설가협회 부경협회,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어린이희망학교, 환태평양 국제교류연맹, 한국·아제르바이잔/동티모르/시리아 친선협의회, 해외동포 민족문화·교육 네트워크, 캄보디아의 친구들, 베트남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한국티벳센터 등이 있다.

6. 문화, 예술 관련 사회 시민 단체[28개]

해운대문화예술원, 한국원예문화교육협회, 크로스예술단, 청소년문화공동체, 절영문화회, 송도문화축제위원회, 성재문화원, 부울경사랑, 부산자연예술인협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 등이 있다.

7. 민족, 통일 관련 시민 사회 단체[17개]

범민련 부경연합, 민족사랑회 부산지부, 남북공동선언 부산실천연대,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부산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 통일시대 젊은 벗, 부산경남울산지역 열사정신계승사업회, 부산어린이 어깨동무, 통일여성회, 우리겨레 하나되기 부산운동본부 등이 있다.

8. 보훈 관련 시민 사회 단체[12개]

해병대 6·25 참전 전우회, 대한민국특수임무수행자회 부산지부, 국기사랑회, 공군전우회 부산지회봉사회, 4·19희생자유족회 부산지부, 한국UDU 부산동지회, 충호안보연합 부산지부, 대한민국상훈회 부산광역시회, 해병대전우회 부산광역시연합회, UN전물용사추모 잎사귀회, 부산광역시 특전동지회 사회봉사대, 부산광역시 월남전참전 용사회 등이 있다.

9. 봉사 관련 시민 사회 단체[54개]

With Together, 진려봉사단, 좌동주민문화교실자원봉사회, 자원봉사리더십교육센터, 자봉자원봉사지원협의회, 수지봉사회, 부산진재향경우회, 반딧불, 둘하나봉사단, 동백봉사단 등이 있다.

10. 복지 관련 시민 사회 단체[33개]

한마음모성회, 한국원예복지협회, 절영한글배움터사랑회, 이웃과 함께 하는 아름다운 사람들, 열린마음, 부산점자도서관, 동구이웃돕기 자원봉사 장학회, 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 생명나눔실천 부산지역본부 등이 있다.

11. 시민 일반 관련 시민 사회 단체[118개]

참여마당 신문고, 참개혁시민회의, 부산NGO포럼, 부산청년회, 부산정보연대, 부산시민패널단, 민주화교수협의회 부울경지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국민통합시민연합 등이 있다.

12. 아동, 청소년 관련 시민 사회 단체[24개]

밝은미소사랑회, 그루터기, 국제청소년연합(IYF) 부산지부, 21C공동체개발원, 한국BBS 부산광역시연맹, 대한적십자사 부산광역시지사, 행복을 여는 문 상담센터,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좌천지역아동센터, 부산여학사회 등이 있다.

13. 여성, 노인 관련 시민 사회 단체[111개]

NGO무궁화회, International 꽃예술 부산연합회, 한국여성경제인연합회 부산지회, 여성재활용품 솜씨 자랑 주부9단, 세상에 빚진자들의 모임, 민들레자비원, 한국노인의 전화 부산지회, 사상구 여성단체협의회, 동래구 여성단체협의회, 부산여성단체협의회 등이 있다.

14. 장애인 관련 시민 사회 단체[39개]

사하두바퀴자립생활센터,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부산시 장애인정보화협회,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부산시지부, 한국교통장애인협회 부산시지부, 부산지체장애인단체협의회, 부산장애인다사랑회, 부산시 장애인체육회,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부산지부, 부산광역시 장애인축구협회, 부산광역시 장애인청년연합회 등이 있다.

15. 의식 개혁, 학술 관련 시민 사회 단체[29개]

일심충효회, 인간성회복운동추진 부산울산경남협의회, 사랑의 일기쓰기보내기운동협의회, 부산사랑모임, 부산미래경영연구소, 국민의식개혁 국민운동 부산시본부, 공동체의식 국민개혁추진본부, 한민족대국민화합연합회 부산시지부, 충효국민운동본부 부산시지부, 부산포럼 등이 있다.

16. 종교 관련 시민 사회 단체[13개]

청정화합시민연대, 참여불교운동본부, 부산종교인평화회의, 부산기독청소년협회, 가톨릭노동상담소,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부산여성불자회, 부산종교지도자협의회, 부산기독교 윤리실천운동, 맑고 향기롭게 부산모임, 자비원봉사회, 부산정토회, 부산개인택시 선교회 등이 있다.

17. 평화, 인권 관련 시민 사회 단체[9개]

삼산거주외국인지원협회,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이주민과 함께, 부산반빈곤센터, 부산YMCA,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어린이희망학교, 열린 네트워크, 부산인권상담센터, 아시아평화인권연대 등이 있다.

18. 환경, 해양 관련 시민 사회 단체[71개]

녹색도시부산21, NGO환경보호운동 부산시본부, 환경을 생각하는 노인들의 모임, 환경수호운동연합회,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 부산광역시 지역본부, 환경보전연맹, 해운대 환경포유회, 해양환경오염감시협의회, 한국해양특수구조단, 한국장애우환경운동본부 등이 있다.

19. 풀뿌리 관련 시민 사회 단체[20개]

희망세상, 화명포럼, 해운대를 사랑하는 모임, 우리누리 공부방, 부산북구공동육아 협동조합, 동원종합복지관 품앗이 사업단, 늘푸른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금샘사랑방문화센터, 금샘마을도서관, 영도참사랑부모회 등이 있다.

20. 기타 시민 사회 단체[33개]

한국재난구조단 부산지부, 한국관광통역안내사 부산협회, 평상필름, 인제대민주동문회, 부산시 재난안전네트워크, 부산대 민주동문회, 부경지역대학생연합, 부경대민주동문회, 과학사랑부산경남울산모임, 21C부산울산경남지역대학생연합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부산 광복 60년』(부산광역시, 2006)
  • 부산시민센터(http://www.ngocenter.or.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인터뷰(부산시민단체 센터장 김해몽, 2013. 11)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