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885
한자 敎育關聯民間團體
영어의미역 Education-related Civilian Organizations
분야 문화·교육/교육,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오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주민을 대상으로 교육 활동을 하는 민간단체.

[개설]

교육 관련 민간단체(敎育關聯民間團體)란 정부에 속하지 않고 사적으로 구성되어 주민들에게 교육 활동을 하는 단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변천]

부산의 교육 관련 민간단체는 2000년대 이전에는 어려운 환경에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학력 인정을 위한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교육 활동을 전개해 온, 비영리 및 비등록 단체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1960~1970년대 가정 및 사회의 어려운 환경에서 정규 교육의 기회를 얻지 못해 교육을 받지 못했던 비문해인들의 문자 해독 교육과 검정고시와 같은 학력 취득을 위한 이른바 ‘야학’의 형태로 활동해 왔다. 2000년대 이후에는 교육 관련 민간단체가 등록 단체로 변화되었으며, 성인을 중심으로 문자 해독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단체들과 평생 교육을 지향하는 단체, 전통 유교 교육을 담당하는 단체, 그리고 문자 해독 교육과 문화 이해 등 사회 참여 교육을 담당하는 단체 등으로 나뉘게 된다.

[현황]

부산에서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교육 관련 활동을 하는 민간단체에는 부산교육문화센터를 비롯하여, 한국문화센터, 성지문화원, 샛별야학, 남부야학, BGV주니어기자단, 영광평생교육원 등[2013년 3월 31일에 정리해 발표한 안전행정부의 자료에 근거]이 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이들 교육 관련 민간단체는 부산광역시 산하의 교육협력과와 교육과학기술과에 등록된 총 7개의 비영리 단체로 다양한 교육 사업을 민간인들에게 진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의 교육 관련 민간단체들은 1960년대 이후 우리 사회의 경제 발전 시기에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소외되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독해할 수 있게 문해 교육을 실시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들 교육 단체들의 활동은 우리 사회의 문맹률을 낮추고, 해당 교육 대상자들에게는 교육을 통해 삶의 질을 한 차원 높였다. 정보 사회로 나아가는 미래 사회에는 이들 민간단체들이 문해 교육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점차 사라져가는 전통 관련 교육 활동과 정보 사회의 소외 계층들에게 컴맹을 퇴치하는 다양한 교육 활동으로의 이행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