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043 |
---|---|
한자 | 交通關聯民間團體 |
영어의미역 | Traffic-related Private Organization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정래 |
[정의]
교통안전에 대한 시민 의식 함양과 올바른 교통 정책 수립을 위한 부산광역시의 민간단체.
[개설]
1980년대 중후반 경기 호황과 함께 국민 소득이 증대되자 자동차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부산광역시의 경우에 1980년에 6만 2,419대가 등록되었으나 1990년에는 28만 7,058대, 2000년에 81만 2,369대, 2013년 7월 현재 118만 5,549대의 차량이 등록되어 있다. 차량이 증가하는 만큼 교통 체증, 교통사고에 의한 인명 사고 건수가 증가하여, 교통 문제는 현재 부산의 새로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통안전 및 질서에 대한 시민 의식을 함양하고 부산의 교통 정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민간단체들이 1990년 이후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주요 활동]
부산광역시의 교통 관련 민간단체(交通關聯民間團體)는 ‘어린이 등하교길 봉사’ 등 일상적인 활동에서부터 교통 정책의 문제점을 연구하고 정책 제언을 하는 등의 정책 및 제도 개선, 개발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통 관련 민간단체의 주요 활동은 크게 ‘교통 약자 보호’, ‘교통질서 확립 시민 캠페인’, ‘교통 정책 개선’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1. 교통 약자 보호 및 봉사
행동상의 부자유함이나 사회적 조건 위치로 인하여 생기는 불편함 때문에 교통 시설이나 차량, 기관을 이용할 때 제약을 가지는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의 사람들을 ‘교통 약자’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을 교통사고나 시설 및 차량을 이용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해 대부분의 단체들은 ‘마음 놓고 학교 가기 운동’, ‘장애인 우선 태워주기 운동’ 등의 활동을 통해 교통 약자 보호 및 봉사를 실천하고 있다.
2. 교통질서 확립 시민 캠페인
교통사고, 교통 체증 등의 교통 문제는 교통 체계 및 정책의 문제점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교통질서에 대한 시민 의식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교통 관련 민간단체에서는 올바른 교통 문화 확립을 위해 시민을 대상으로 한 ‘교통안전 교육’, ‘교통질서 및 법규 지키기 캠페인’, ‘베품[양보] 운전을 통한 교통사고 줄이기’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3. 교통 정책 개선
교통 정책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통 관련 민간단체는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에 그 문제를 일임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정책 개선 제안이나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출퇴근 시 생기는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함께 타기인 ‘카풀(Car Pool)’을 위해 카풀 중계 센터를 개소하여 자동차를 함께 타고자 하는 시민들을 연결해주고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의 편리를 돕기 위하여 ‘교통카드’를 개발하기도 하였으며, 특히 부산광역시의 교통 특징을 고려하여 도로 피로 누적으로 인한 도로 훼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컨테이너 화물차에 세금을 부과할 것을 제안하여, 부산광역시의 도로 환경 개선을 위한 세수를 증대시키기도 하였다.
[현황]
2014년 현재 부산광역시에 등록된 교통 관련 민간단체는 전국모범운전자연합회, 녹색교통운동시민추진본부 부산지부, 한국교통장애인협회 부산시지부, 한국교통장애인협회 유공친절 기사회, 교통문화운동시민연합, 한국교통시민협회 부산협의회, 부산광역시 월남참전유공자회 기초질서지킴이범시민개인택시회, 부산시 여성자전거회 등 총 8개 단체가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의 교통 관련 민간단체는 부산광역시의 교통 정책 및 체계의 미비점을 봉사 및 캠페인 활동을 통하여 보완하고 있다. 특히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등 대규모 행사 개최 시 발생할 수 있는 교통 문제는 이러한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