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306 |
---|---|
한자 | -業 |
영어의미역 | Service Business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물자의 생산 대신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
[개설]
부산 지역 서비스업의 산출액의 추이를 보면 경제 위기 직후였던 1998년과 2009년을 제외하면 일관되게 증가해 왔다. 2005년 불변 가격을 기준으로 1985년 17조 9793억 100만 원에서 2010년 현재 80조 3065억 4200만 원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88년의 7.5%가 정점이었고, 이후 7% 전후에서 변동해 왔으며, 2010년 현재 6.7%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전국과 부산 지역의 서비스업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추이를 보면 다소 상이하다. 1986년까지는 전국과 부산 지역의 서비스업이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부산 지역이 다소 높긴 했지만 거의 같았다. 1985년에 부산 지역은 50.5%, 전국은 49.5%였고, 1986년에는 각각 48.8%와 48.1%로 오히려 비율의 차이가 줄었다. 그런데 1987년부터 서비스업이 부산 지역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비교적 급격하게 상승한 반면 전국은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1995년에는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3.3% 하락하여 58.9%를 기록하였고, 이후 다시 회복하여 1998년에는 67.0%에 이르렀다.
1998년 이후로는 다소의 변동을 포함했지만 66%대를 유지하였고, 2004년에는 완만히 증가하여 69.0%에 이르렀다. 2004년 이후로는 2004년을 정점으로 다소의 변동을 포함했지만 완만히 저하하여 2010년 현재 66.2%이다. 그런데 전국은 1998년의 54.8%를 정점으로 경향적으로 저하해 왔고, 2010년 현재 46.9%이다. 부산 지역과는 19.4%나 차이가 난다. 그만큼 부산 지역이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것이고, 이는 역으로 제조업의 성장이 전국에 비해 낮았음을 의미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서비스업 부문별 추이]
각 부문별로 보면, 우선 운수업이 부산 지역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경향적으로 보면 1995년까지는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였다. 가장 비율이 높았던 1986년의 20.1%에서 1995년에는 15.5%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변동을 포함했지만 기본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장 비율이 높았던 것은 2008년의 25.4%였고, 2010년 현재는 22.5%이다.
부산 지역 운수업이 전국 운수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전국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서 부산 지역 서비스업에서 운수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아주 높다. 2010년 현재 부산 지역 운수업이 전국 운수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7.0%이다. 또 전국은 2010년 현재 운수업의 비율이 8.9%이며, 부산 지역이 무려 13.6% 높다. 적어도 1998년 이후 부산 지역은 전국과 비교하면 항상 10% 이상 운수업의 비율이 높았다. 부산 지역은 운수업에 특화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는 부산광역시가 항만 물류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도매 및 소매업이 부산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다소의 변동을 포함했지만 14% 전후에서 변동해 왔다. 또 경향적으로는 1995년의 15.0%를 정점으로 2008년까지는 비율이 줄어들었고, 최근 다시 비율이 증가하여 2010년 현재 15.0%이다. 부산 지역 도매 및 소매업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비교적 높다. 뿐만 아니라 부산 지역 서비스업에서 도매 및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전국 평균보다도 다소 높다. 전국에서 부산 지역 도매 및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8%를 전후로 변동해 왔으며 2010년 현재 7.9%이다. 또 전국의 도매 및 소매업이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 항상 1~2% 높다.
건설업은 심한 변동을 보여 왔지만 기본적으로 1990년의 17.8%를 정점으로 비율이 감소해 왔다. 2010년 현재는 9.0%로 전국 평균인 12.8% 보다도 비율이 3.5%가 낮다. 금융 및 보험업도 마찬가지인데 부산 지역에서 금융 및 보험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6년까지는 비교적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어 비율이 감소한 이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2009년에는 가장 높은 비율인 9.1%를 기록하였고, 2010년 현재는 8.6%로 2002년과 같은 수준이다. 그러나 1991년, 1992년, 1995년을 제외하면 전국의 평균 비율보다 낮았고, 그 격차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를 보여 왔다. 2010년 현재 전국 평균은 10.4%이다.
그 외에는 전국 서비스업에서 각 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 부산 지역 서비스업에서 각 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대체로 낮다. 특히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과 정보 및 통신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 보장 행정,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1985년부터 2010년에 이르는 전 기간에 걸쳐 전국의 평균보다 낮은 비중을 보여 왔다.
다만 보건업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업은 1991년부터 부산 지역 내에서의 비율이 경향적으로 증가해온 부문이다. 또 1993년부터 부산 지역 서비스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전국의 평균보다 높아져 왔다. 2010년 현재 부산 지역에서 보건업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6.4%로 전국보다 1%가 높다. 부산 지역이 대표적인 고령화 사회인 것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사업체 수]
최근 부산 지역 서비스업 사업체 수를 보면 2008년에 다소 감소하였고, 2009년에는 회복되었지만 2010년에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구·군별로 보면 부산진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점차 감소해 왔다. 2007년에 전체의 13.4%인 1만 2929개사였지만, 2010년 현재는 12.2%인 1만 1,725개사이다. 다음으로는 사상구가 높은 비율을 보여 왔다. 2009년까지는 비율이 증가했으나, 2010년 현재는 8,707개사로 전년도에 비해 비율이 다소 감소하였다. 해운대구는 지속적으로 서비스업 사업체 수가 증가해온 지역이다. 2007년에 8,470개사였고, 2010년 현재는 9,268개사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종사자 수]
총종사자 수를 보면 사업체 수와는 달리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2007년에 69만 5697명이었고, 2010년 현재는 74만 1840명이다. 총종사자 수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7년의 55.12%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 현재 54.29%이다. 구·군별로 보면 역시 부산진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왔고, 절대 수는 증가세를 보여 왔지만, 비율은 점차 감소세를 보여 왔다. 2007년에는 전체의 14.9%인 10만 3701명이었지만, 2010년 현재는 전체의 14.1%인 10만 4446명이다.
2007년을 기준으로 하면 부산진구 다음으로 서비스업 종사자 수가 많은 곳은 동구였다. 전체의 8.6%인 5만 9781명이 서비스업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2010년 현재는 전체의 7.5%인 5만 5393명이 종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지역이 사상구인데 이 역시 2009년을 예외로 하면 비율이 감소해 왔다. 2010년 현재 전체의 7.9%인 5만 8333명이 종사하고 있다. 해운대구는 사업체 수와 마찬가지로 종사자 수가 절대적으로 증가해 왔을 뿐만 아니라 비율도 증가해 왔다. 2007년에는 7.3%인 5만 1071명이었고, 2010년 현재는 8.7%인 6만 4339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