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39 |
---|---|
한자 | 都賣-小賣業 |
영어의미역 | Wholesale and Retain Industry |
이칭/별칭 | 도소매업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최성일 |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구입한 신상품 또는 중고품을 변형 없이 구매자에게 다시 판매하는 업종.
[개설]
도매업은 물건이나 상품을 낱개가 아닌 모개로 사들여 다시 판매하는 업종을, 소매업은 물건이나 상품을 생산자나 도매상에게서 사들여 직접 소비자에게 다시 판매하는 업종을 말한다.
[사업체와 종사자]
부산 지역의 도매 및 소매업 사업체 수는 1995년의 8만 9,407개사를 정점으로 경향적으로 감소하였다. 2004년에 8만 개사 이하로 줄어든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 현재 7만 4,795개사이다. 종사자 수는 경기 변동에 밀접한 관련을 갖고 극심한 변동을 보였다. 정점이었던 1995년에 23만 1,363명이었고, 경제 위기 직후인 1998년에는 20만 2,523명으로 감소했으나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2002년에는 23만 1,576명으로 증가하였다. 이후 경향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 현재 종사자 수는 20만 6,408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전국 대비 도매 및 소매업 비율]
부산 지역 도매 및 소매업이 전국의 도매 및 소매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사업체의 비율이 종사자의 비율보다 항상 높다. 이는 부산 지역 도매 및 소매업이 전국에 비해서 영세한 규모임을 의미한다. 비율의 추이를 보면 사업체 수는 1993년의 10.0%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 현재 8.53%에 이르고 있다. 종사자 수는 1994년의 9.45%를 정점으로 다소의 변동을 포함하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2010년 현재 7.88%에 머물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지역 내 도매 및 소매업 비율]
부산 지역의 서비스업에서 도매 및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사업체의 경우 1993년에 무려 42.16%에 달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 현재 31.96%이다. 종사자 수는 1993년의 28.02%를 정점으로 감소하여 2010년 현재 20.49%이다. 특히 2002년을 기점으로 비율의 감소가 다소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지역 내에서 사업체 수의 비율에 비해 종사자 수의 비율이 훨씬 낮은 것으로 보아 부산 지역의 도매 및 소매업이 다른 부산 지역 서비스업에 비해 영세한 규모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산출액]
부산 지역 도매 및 소매업의 총 산출액은 경제 위기 직후인 1998년의 감소를 예외로 하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2005년 이후에 급격한 증가세를 보여 왔다. 전국에서 부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경제 위기 이전에는 8.2~8.3%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경제 위기로 비율이 감소하였다. 이후 1999년을 예외로 하면 비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5년을 저점으로 비율이 다소 증가하여 2010년 현재 7.9%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 지역과 전국을 비교해 보면 전국의 서비스업에서 도매 및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 부산 지역의 서비스업에서 도매 및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훨씬 높다. 이는 부산 지역 서비스업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특히 변화의 경향을 보면 1999년에 10.0%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08년에 8.3%까지 감소했으나, 다시 지역 내에서의 비율이 증가하여 2010년 현재 9.9%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도 변화의 경향이 비슷했지만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2001년의 7.0%를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여 왔다. 부산 지역의 도매 및 소매업이 경기 변화에 따라 비율의 변화가 비교적 크게 나타나는 추세를 보여 왔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문별 소매업의 주요 지표 추이]
소매업의 부문별로 보면 사업체 수는 섬유 의복 신발 및 가죽 제품 소매업의 비중이 가장 높다. 2006년 22.7%였고, 2010년 현재 23.5%이다.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것은 음·식료품 및 담배 소매업으로 2006년 22.4%였고, 다소 비중이 감소하여 2010년에는 21.4%이다. 종합 소매점과 기타 상품 전문 소매업이 그 다음인데 각각 15% 전후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차이가 있다면 종합 소매점의 경우는 경향적으로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기타 상품 전문 소매점의 경우는 미약하지만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종사자 수의 비중과 변화 추이는 사업체 수와 다소 상이하다. 먼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고, 증가의 경향을 보이는 것은 종합 소매업이다. 2006년 18.0%에서 2010년 22.3%로 증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부문은 섬유 의복 신발 및 가죽 제품 판매업으로 2006년 15.7%에서 2010년 17.2%로 증가하고 있다. 무점포 소매업의 경우 2006년 종사자의 비중이 무려 21.2%였지만 급격히 감소하여 2010년 현재 14.0%이다. 음식료 및 담배 소매점의 경우는 2009년에 비해 종사자 수의 절댓값이 다소 줄긴 하였지만 1만 7,000명 전후, 비중으로는 14% 전후에서 비교적 안정적이다. 기타 상품 전문점 종사자의 수는 기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6년 11.9%에서 2010년 현재 13.4%에 이르고 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면 종합 소매점이 압도적이다. 2006년 35.7%에서 2010년은 전년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지만 39.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은 연료 소매업의 매출액 비중이 높다. 2009년에는 금융 위기의 여파로 11.4%까지 하락하였지만 2010년 현재 17.5%이다. 다음으로는 섬유 의복 신발 및 가죽 제품 소매업의 매출액이 다소 변동하고 있지만 10%의 추이를 보이고 있다. 반면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에서 비교적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는 음식료 및 담배 소매점의 경우는 매출액 비중이 2010년 4.9%에 불과하다. 영세성을 그대로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